글사랑
2월 여행 / 김옥인
오세영 시인의 2월 제목의 시구를 인용하면
외출을 하려다 말고 돌아와
문득 털외투를 벗는 2월은
현상이 결코 본질일 수 없음을
보여 주는 달,
'벌써'라는 말이
2월처럼 잘 어울리는 달은 아마
없을 것이다.
.
.
처럼
어느새 2월도 중순을 넘고 있다 .
해마다 2월 이즈음에는 한 친구의 2월 13일 생일을 기념으로 여행을 다닌다.
인원수가 많으면 아홉 명, 적으면 네 명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올해는 여섯 명이 체코의 올로모우츠를 다녀왔다. 여행목적을 생일 기념으로 했듯이 목적지를 정하는 것에 있어서 생일 당사자의 뜻이 으뜸이다.
우리의 2월 여행은 2008년에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를 당일 왕복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아침일찍 비엔나 남부역을 떠나 한시간 남짓하는 역에 도착하여 아홉 명이 거리를 활보하며 맞이했던 다뉴브강의 바람이 아직도 선명히 추억된다. 입장료,음식가격및 모든 가격이 비엔나에 비하여 저렴하다며
낄낄 끌끌 웃음이 넘치며 하루를 만끽하다가 밤늦게 귀가행 기차를 탔었다.
(브라티슬라바행 기차안에서 생일 축하노래와 더불어)
( Bratislava 역에 도착하여 도보행진 시작 )
(브타티슬라바 성 위에서 )
(시청앞광장에서... 8년전이라 확실히 젊은 듯.. )
귀가행 기차 안에서 하루는 너무 짧으니 다음부터는 며칠 밤을 같이 보내며 주말여행을 하자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그리하여 다음 해 2009년에는 체코의 프라하를 여섯 명이 눈 내리는 날씨에 새벽기차를 타고 갔다.
기차 안에서 생일맞은 친구를 위하여 팡파레를 울리며 동심에 젖어 보았다.
프라하에 도착하여 칼다리의 네포묵상 아래 조각을 만지며 소원을 빌어 보았고,
몰다우 강가에서 칼다리를 조망하며 카페를 즐기었다.
일행들 취미에 따라 흩어져무하, 쿠푸카 미술에도 취해보았다.
이 캄파 미술관에서 보이는 프라하성 조망이 일품이다.
야경의 프라하성도 감상하고 ... 등등..
유난히 추웠던 프라하였지만 처음으로 삼박사일을 같이 지낸 2월 여행이었기에 더욱 기억에 남는 것이다.
2010년에는 쇼팽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며 폴란드의 크라카우를 다섯 명이,
2011년은 생일당사자의 사정으로 쉬고,
2012년에는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트를 여섯 명이,
2013년에는 독일의 드레스덴을 여덟 명이,
20 14년에는 헝가리의 부다페스트를 일곱 명이,
2015년에는 체코의 브르노를 네 명이,
그리고 올해는 2016년 2월 11일부터 14일까지 체코의 모라비아 지방의 OLOMOUC를 6명이 다녀왔다
기차 안에서 샴페인을 터트리며 여행의 시작을 자축!!!
중간 기차역 브레츨라브역에서 갈아타고
올로모우츠에 도착하여 호텔에 짐을 풀고 거리로 나서는데
바로 모퉁이를 도니 길이름이 작곡가 "말러의 길"이라는 표시가 보인다.
구스타프 말러가 이곳 모라비아극장에서 지휘를 할 당시 머물렀던 집 팻말을 보니 그의 음악과 더불어
이번 여행의 시작에 잠시 흥분이 되었다.
현재는 레스토랑, '바'로서 피아노 라이프연주 되고 있다.
바로 건너편에 당시의 극장이 현재 모라비아 필하모니로 이용되는 것이 보인다.
저녁 식사 후 산책을 하는데 필하모니가 인접한 광장에는 2000년부터 유네스코에 등재된 삼위일체탑이 조명빛에 우뚝 서 있는 것을 보았다.
시청의 시계탑도 본 다음 호텔로 돌아오며 여행 첫 날을 마무리한다.
(참조; 다음 사진들은 아래 댓글난에...)
올해로 여덟 번째의 여행을 맞이하며 일행의 구성요소가 다소 바뀌기도 하지만 여행의 성격은 변함이 없다.
첫 번째가 스트레스 없이 여유를 가진다라는 것이다. 잠자고 싶은데로 맘대로 자고, 같이 산책하고 싶으면 동행하고, 혼자 지내고 싶으면 혼자대로..즉 비엔나의 직업적 일로 부터 탈출하여 다른 도시에서 쉬면서 새로움도 즐긴다는 것이다. 허나 생일 저녁 2월 13일 저녁식사는 모두 같이 한다.생일 기념 여행의 실증을 남기는 것이다.
초창기에 나는 이런 성격의 여행에 나 자신을 맞추기가 어려웠다. 왜냐하면 여행을 하면 샅샅이 살펴보는 것에 익숙한 나의 자세때문이었다. 아침을 먹고나면 빨라야 10시반부터 시작되고,늦은 오후( 4시정도)에 해지면 귀숙한 다음 쉬고 나서, 저녁식사를 7시30분에서 8시 정도에 시작하면 두시간 이상의 식사를 마치면, 저녁산책을 한 다음 거히 11시 즈음에 귀숙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가는 곳곳에 음악회를 미리 예약하던지, 그날 그곳에서 매표하여 연주를 꼭 보았다. 그러나 그러는 것이 전체와의 저녁모임에 불참하면서 부조화가 된다는 것을 깨달으며 햇수가 거듭되며 절제하게 되었다. 즉, 이제는 나도 시간에 스트레스 없이 쉰다는 여행의 성격에 융화되어 즐기게 되었다.ㅎㅎ
그런데, 올해는 여행구성원에 변화가 와서 좀 서먹했었다. 한 친지 올리버가 작년가을에 부인과 이혼하고 이번에 새로운 젊은 연인 '다니엘라'를 동반하게 된 것이다. 그들이 따로 승용차로 도착했기에 호텔방 앞에서 처음 그녀를 보는 순간, 전 아내인 '마르티나'가 떠올랐던 것이다. 그러나 올리버가 독감감기 고열로 방에만 머물러야 했으므로 다니엘라와 계속 다니며 그녀를 보호해야 한다는 자못 의무감이 생기면서 첫 번째의 서먹한 느낌이 해소되어가기 시작했다.
이렇게 시작한 올해의 2월 여행도 어느 새 지나가고 이제 집에 돌아 와 추억하는 것이다.
'벌써'라는 말이
2월처럼 잘 어울리는 달은 아마
없을 것이다.
2016년 2월 15일에
- Bratislava 2008 _011.jpg (26.3KB)(25)
- Bratislava 2008_056.jpg (39.5KB)(25)
- Bratislava 2008_140.jpg (58.5KB)(32)
- Bratislava 2008_ 028.jpg (92.0KB)(28)
- Prag 2009_02 P1130771.jpg (40.5KB)(29)
- Prag 2009_02 P1130776.jpg (51.9KB)(26)
- Prag 2009_02 P1130755.jpg (32.8KB)(24)
- Prag 2009_02 P1130804.jpg (46.6KB)(27)
- Prag Moldau 2009_02 P1130968.jpg (38.3KB)(29)
- Prag Moldau 2009_02 P1140014.jpg (36.0KB)(23)
- Prag Mucha 2009_02 P1130861.jpg (43.2KB)(24)
- Prag Museum Kampa 2009_02 P1130997.jpg (38.8KB)(28)
- Prag Nacht 2009_02 P1130885.jpg (25.8KB)(22)
- Birthday travel IMG_9225.jpg (37.8KB)(27)
- Breclav IMG_9235.jpg (33.2KB)(21)
- Mahlerova IMG_9422.jpg (21.5KB)(30)
- Mahler Wohnhaus IMG_9249.jpg (44.0KB)(35)
- Mahler IMG_9270.jpg (32.4KB)(36)
- Philharmonie IMG_9252.jpg (112.9KB)(21)
- 삼위일체탑IMG_9266.jpg (99.7KB)(31)
- Rathaus IMG_9267.jpg (43.7KB)(26)
- Rathaus Uhr IMG_9268.jpg (168.4KB)(18)
기차를 타고 이나라에서 저나라를 여행할 수 있는 것이
유럽에 사는 사람들의 큰 축복인 것 같네요.
유럽의 건축과 예술은 가히 독보적이라 할 수 있어요.
맘껏 그런 예술과 문명을 즐기며 사는 선배님이 부럽습니다.
오늘은 엘에이에 하루종일 비가 내렸습니다.
가뭄에 아주 단비이기도 하고 이런 비오는 날이 귀해서
선배님이 보내 주시는 음악과 사진이 더 감미롭군요.
감사합니다.
벌써 이월도 하순으로 접어 들고 있네요.(벌써라는 말이 어울리는 ---)
그리고 세월도 육십마일로 달리고 있어요.
봄비 내리는 엘에이!
벌써 3년이 지나간 엘에이 동문회 여행이네요.
그 때,동문회를 마치고 좀 더 머물던 며칠중에
몇분 선배님과 낮에 만났던 날에도 촉촉이 비가 내렸었어요.
경수후배가 그런 분위기속에 한가히 지내는 모습이
그래서 그런지 더 상상이 잘 됩니다.
말 그대로 대국인 미국보다
유럽전체가 올망졸망 아담하게 붙어있다보니
아무래도 열차여행이 쉽지않나 싶어요.
나는 뉴욕과 엘에이및 서부쪽 미국여행을 통해,
역시 큰 나라! 라는 이미지뿐만이 아니라
미국나름의 문화와 풍광을 더 찾아보고 싶은 의욕을 받았었어요.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한 두달내지는 서너달정도 지내면서 미국대륙을 횡단하고 싶어요.
하긴 이제는 장기여행이 건강상 무리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과욕은 금물! 그래도 꿈을? ㅎ
위에 올린 말러!
그는 건강이 무척 안 좋았었답니다.
요즘처럼 의학이 발달 안 되었었기에 고생을 더 했었겠지요.
그의 음악을 듣다 보면 가슴 한 쪽이 아르르 멍해지는 때가 있어요.
그리고는 서서히 풀려지지요.
경수후배! 건강히 지내다가 우리 또 만납시다. 안녕!
참고:
비오는 날의 엘에이 추억과 더불어 인사 드립니다.(클릭)
경수후배 답글 단 다음 계속해서 해외지부에 오랫만에 추억의 글을 올렸어요 ^^
Cafe Mahler:
이튿 날 올로모우츠를 산책하며 전반적으로 둘러 본 다음 호텔로 돌아 가기전에 '말러카페'를 찾아가 쉬면서 '아르 누보 양식' 시대의 카페를 음미하였다.
주소는 호르니 광장 11번지 이다. (Horni Namesti 11, Olomouc, Czec)
바로 건너편에 말러가 지휘하던 음악극장이 있고 카페에서 오른쪽 골목으로 돌아서면 말러가 살았던 집이 보인다.
- cafe Mahler IMG_9429.jpg (91.0KB)(28)
- cafe Mahler IMG_9430.jpg (37.3KB)(27)
- cafe Mahler IMG_9431.jpg (60.6KB)(21)
- cafe Mahler IMG_9432.jpg (59.6KB)(21)
- cafe Mahler IMG_9433.jpg (60.9KB)(24)
- cafe Mahler IMG_9434.jpg (59.1KB)(24)
- cafe Mahler IMG_9435.jpg (51.7KB)(34)
- cafe Mahler IMG_9436.jpg (59.4KB)(26)
- cafe Mahler IMG_9437.jpg (65.8KB)(27)
- cafe Mahler IMG_9438.jpg (78.9KB)(25)
- cafe Mahler _MG_9158.jpg (39.4KB)(32)
첫 날 저녁 늦게 산책을 마치고 잠자리에 들었으나 제대로 잠이 안 왔다.
저녁식사 후에 커피를 마신 탓일까 ?
잠자리에서 지척이다 차라리 무엇인가 읽어 보아야 싶어지자 바로 일어났다. 그러며 조금 전에 팻말을 보았던 '말러' 에 대하여 돌이켜 보았다.
체코 보헤미아 지방의 '칼리슈트' 유태인가정에서 태어났으나 , 얼마 후 모라비아 지방의 '이글라우'로 이주했다.말러생존시대에는 이 곳들을 모두 오스트리아가 지배하였었기에 말러가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지금까지 불리어 지고 있다.
4세부터 아코디온을 배우고 얼마 후에 피아노공부를 하였으며 6세부터 작곡을 시작하고 초중등시절부터 많은 서적들을 읽었다. 자연히 자신의 뿌리인 민속음악과 역사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런 것들이 후에 그가 작곡한 곡들의 저반에 두고 있다.
10세에 처음으로 무대에서 피아노 독주를 하였으며 12세에는 리스트와 탈베르그의 협주곡 연주를 하였다. 15세에 비엔나 음악원에 입학하여 안톤부르크너의 강의를 들으며 작곡에 정진하였다.
동시에 그는 음악뿐만이 아니라 철학에도 관심을 많이 가졌었다.
졸업시기에 상금이 걸린 작곡대회에 작품을 출품하며 대망을 품었으나 안타깝게도 수상자는 다른 사람이었다. 음악역사가들은 이 시점에 대하여 말러의 작곡낙선이 그를 지휘자로 대성시키는 전도였다고 말한다.이런 지휘자의 초입기 1880년에 바트할, 1881 류빌리아나, 그리고 1883년 23세에 이곳 올로모우츠에서 지휘를 했던 것이다.
바로 광장 건너 보이는 음악극장에서 가까운 집에 살았던 말러, 그가 거닐었을 거리를 거닐던 늦 저녁을 상기하며 호텔방 발콘으로 나가니 시청탑 불빛이 옅은 안개 속 어둠에 잠긴 지붕들 너머 아직도 빛나고 있었다.
다시 방으로 들어와 말러의 음악을 찾아 듣다가 날이 밝으면 그의 발자취를 더 찾아 보리라.. 생각하며 잠자리로 들었다.
Mahler - Piano Quartet in A Min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