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3 : 조선 그림과 글씨를 하는 날이다.

내용이 워낙 방대하여 독서모임이 아니라면 따라가기 힘들었을 책이다.

오늘은 독서지원단에서 사람이 나와 우리와 함께한다고 한다.

친구들에게 미리 알릴까 하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 좋을 듯하여

알리지 않았지만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안 오면 어떻게 하나 하는 염려가 되었다.

그래서 한 명 한 명 올 때마다 더더욱 반갑다.

 

숙희는 조상들의 삶에 대한 생각을 보며 노후의 건강한 삶에 대해 생각했다고 한다. 여유자적함도 좋고 작가로써 최고의 경지에 이르는 것도 좋으나 어느 정도 노동으로 내 삶을 책임지며 통달 보다는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함께하는 삶 속에서 서로 기대며 나누는 삶을 꿈꾼다 했다.

다른 친구는 우리가 서양화 위주의 교육을 받았어서 동양화는 낯설게 보였는데 이 책을 읽으며 우리 옛 그림의 멋을 느끼게 되었다 한다.

초상화에 흉배 이야기가 나와 옥규는 우리나라 고대 의상 연구가로 유일한 존재이며, 선생의 개인 수집품은 어느 것 하나 국보적인 존재 아닌 것이 없다고 평가받고 있는 석주선 박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어 지금 우리가 조상들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은 이렇듯 뜻 깊은 분들의 피나는 노력에 의한 것이었음을 생각하니 숙연한 마음이었다.

정인이는 그동안 세계여행을 하며 서양미술사는 관심이 많았지만 정작 한국미술사는 잘 모르고 있었는데 우리 것에 대해 눈을 뜨게 되어 더 열심히 읽었다고 한다.

조상들이 그 옛날에도 비평이 있었다는 것이 놀라웠고, 정선의 박연폭포는 놀라움으로 다가왔다 한다. 관아재 조영석의 그림이 매력적이었고, 집에 걸어 놓고 싶은 그림들도 소개하였다.

다른 친구는 독서모임의 좋은 점은 모르는 것을 배우는 즐거움이라 했다. 이 말을 들으며 우리 친구들의 삶의 태도가  참 멋지구나했다.

 

이 책은 1권 선사·삼국·발해, 2권 통일신라·고려에 이어 29장부터 시작한다. 조선시대 회화와 서예를 초기(1392~1550년 중종 연간까지),

중기(1550~1700년 숙종 연간까지),

후기(1700~1830년 순조 연간까지),

 말기(1830~1910년 대한제국까지)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기존 미술사에서는 다소 미흡하게 다룬 궁중미술초상화에도 많은 비중을 두었다.

화가의 이름이 밝혀져 있지 않고 작가의 개성이 드러나지는 않지만

당대의 뛰어난 화원들이 제작한 조선시대 고유의 장르인 만큼

그 예술적 의의를 부각시킨 것이다.

조선시대 서화, 그중에서도 그림은 아름다움을 적극 표현한 본격적인 예술 작품일 뿐만 아니라 화가의 작가의식이 명확하게 들어 있어 한국미술사의 꽃이라 할 수 있기에 다른 장르보다 비중 있게 다루었다한다. 특히 조선시대 글씨그림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상 할 수 있게끔 생생한 도을 실고 있으며 본문에 언급된 그림은 가능한 모두 수록하여 540여 컷의 도판은 한국미술사의 특징과 흐름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유홍준은 우리에게 인문학적 소양을 갖게 하고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남겨 대중화에 앞장선 분이지만 여러가지 구설수에 관한 이야기도 나왔다. 사람은 어느 시점에서 잘못을 할 수도 있지만 그것만으로 그 사람을 평가해서는 안되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리가 배웠던 신숙주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야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나왔다.

옥규는 예전에 소개했던 <기적을 그리다>라는 이란 영화를 소개 했다.

폐쇄 된 환경 속에서 오십대에 우연히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여인이 우여곡절 끝에 프랑스에서 전시회를 하게 되었을 때 외부의 그림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었지만 대가들의 그림을 보고  심장이 터질 것 같아요!’ 라며 더는 못 보는 장면이 나온단다.

범인들이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경지! 해본 사람들, 아는 사람들이 아는 세계가 있는 것 아닐까?라는 말을 했다.

그런 느낌을 따라가려는 우리 친구들이 아름답게 생각된다.

다른 친구는 그동안 우리 그림은 잘 안쳐다 봤구나.’ 생각하니 미안한 마음이 들었단다.

두껍고 무거운 책을 읽는 모습을 보고 딸아이가 독서대를 마련해 주기도 했단다. 그 엄마에 그 딸! 참 예쁘다!

또 다른 친구는 이렇게 좋은 책을 읽을 수 있는 재밌는 세상에 감사하고 현재를 재밌게 사는 것의 중요성을 얘기했다.

또한 우리 선조들이 얼마나 노력해서 경지에 다다랐는지 그 일례로 추사 김정희는 칠십 평생에 벼루 열 개를 밑창 내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고, 겸재 정선은 무덤을 쌓을 정도였다고 한다.

하여 우리민족의 자랑인 추사체의 형성 과정과 특징에 대해 박규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추사의 글씨는 어려서부터 늙을 때까지 그 서법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어렸을 적에는 오직 동기창에 뜻을 두었고,

북경을 다녀온 후에는 옹방강을 좇아 노닐면서 열심히 그의 글씨를 본받았다.

그래서 이당시 글씨는 너무 기름지고 획이 두껍고 골기가 적은 흠이 있었다.

그 후 소동파와 미불을 따르고 이옹으로 변하면서 더욱 굳세고 신선해 지더니

드디어는 구양순의 신수를 얻게 되었다.

만년에 귀양살이로 바다를 건너갔다 돌아온 다음부터는

남에게 구속받고 본뜨는 경향이 다시는 없게 되고

여러 대가의 장점을 모아서 스스로 일법을 이루니

신이 오는 듯, 기가 오는 듯, 바다의 조수가 밀려오는 듯하였다.

그렇게 제주도 귀양살이 중에 완성된 것이 추사체인 것이다.

 

이렇듯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의 오늘도 힘들지만 서로 힘을 함께하며 부단히 노력함에 길이 생기는 것 아닌가 생각하며 나라의 큰 어른 위창 오세창을 소개한다.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1864~1953)

이 분의 이름이 세상 사람들로부터 점점 잊혀져 가고 있는 것은 참으로 미안한 일이다.

돌이켜보건대 위창은 자신의 안목을 민족을 위해 남김없이 베풀며 문화보국에 평생을 바친 분이다. 그 위업에 대해 만해 한용운은 위창 탐방기 마지막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그 나라의 문화유산[古物]은 그 국민의 정신적 생명의 양식이라고 듣고 있다. 나는 위창이 모은 고서화들을 볼 때에 대웅변의 연설을 들은 것보다도, 대문호의 소설을 읽은 것보다도 더 큰 자극을 받았노라. 만일 훗날 조선인의 기념비를 세울 날이 있다면 위창도 일석(一石)을 차지할 만하도다.”

 

그런 점에서 유홍준도 '미술사의 사회적 실천을 위하여' 자료를 집대성하고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게 함으로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기틀을 다지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끝으로 독서지원단에서 나오신 분은 

 우리의 모습을 보고 참으로 대단하다. 덕분에 배우고 간다. 그런데 매우 진지하다. 하며

독서지원단에서 지향하는 바는

1. 누구든지 언제든 참여 할 수 있는 오픈 된 독서모임.

2. 독서모임을 하다보면 책의 수준이 점점 올라가서 새로 들어오는 회원은 적응하기 힘들다. 난이도를 조절해서 내가 관심이 없는 분야도 읽는 계기가 되기 바람.

3. 책을 다양하게 읽기위해 다양한 사람이 추천바람.

4. 모두 대화에 참여하고 표현 다 같이 나누며 우리의 삶의 이야기도 하며 정서적 체험을 중시하기 바람.

 

* 다음 모임엔 김인숙의 화살 맞은 새 인조대왕’으로 하기로 했다.

그 날은 작가인 김인숙의 강의로 이루어 질 것이다.

 

* * 알림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

<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

전시기간 : 2019-07-23~2019-09-22

전시장소 : 상설관 특별전시실

강의 : 7.23 14~16추후 심정인 안내

 

* 고궁박물관

문예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6.28~9.22

오늘 점심 식사 후 관람

 

우리의 만남은 언제나 서로의 마음을 나누며

호기심 가득한 눈빛으로 젊음 못지않게 멋지다.

자신의 자리에서의 역할을 생각한다.

다음 모임이 기다려진다.IMG_E3973.JPG IMG_E3969.JPG IMG_E3972.JPG IMG_E3999.JPG IMG_E3974.JPG IMG_E3975.JPG IMG_E3976.JPG IMG_E3979.JPG IMG_E3986.JPG IMG_E3987.JPG IMG_E3990.JPG IMG_E3991.JPG IMG_E3992.JPG IMG_E3993.JPG IMG_E3994.JPG IMG_E399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