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회 | 포토갤러리 | - 게시판담당 : 박화림
글 수 1,334
2008.05.21 12:40:59 (*.34.65.215)
이 시 정말로 좋아요.
공감 또 공감...
경선 언니 ~
저는 이 5월이 너무나도 바빠서 정신이 없어요.
홈피도 그저 휘리릭 눈팅만 해요.
우째 이리 바쁠까요잉 ~
내일은 한남대에서 참관수업도 있는데 준비하기도 귀찮아요.
휴우...
한숨 한번 쉬고 나가서 좀 쉴래요.
방금 집에 들어왔거든요.
암튼,
이 시를 올려준 경선 언니께 감사.
보고싶고 궁금하고....
무소식이 희소식이라 믿고 또 씩씩하게 하루를 살게요.
참 ~
어제 우리 작은 아이가 제대했어요.
이로써 저는 아들 낳은 벌로 하는 숙제 끝 ~~~
두번씩이나 하느라 쬐끔 억울했는데 무사히 끝나서 정말로 감사해요.
여긴 5기 언니들 방이지 참....
언니들~
잠시 수다 떨고 가도 되지요?
언니들 모두 사랑해요 ~
2008.05.21 15:58:29 (*.16.127.122)
어린이날,어버이날엔 공식적인 행사가 정해져 있지만
부부의 날엔 뭘 해야 되는 걸까
남편의 의미를 아내의 의미를 서로 생각해보는 날?
춘선이가 많이 공감하니 좋은 시인가부다.
그렇게 바빠서 어쩌니?
아들 군대 무사하게 마친 것 축하축하.
러시아 여행 같이 하게 되겠지?....기쁘구나
담 주 여행 모임엔 만날 수 있으려나?
2008.05.21 16:14:59 (*.16.127.122)
늙어가는 아내에게
- 황 지 우 -
내가 말했잖아.
정말, 정말, 사랑하는, 사랑하는, 사람들,
사랑하는 사람들은,
너, 나 사랑해?
묻질 않어.
그냥, 그래.
그냥 살아.
그냥 서로를 사는 게야.
말하지 않고, 확인하려 하지 않고
그냥 그대 눈에 낀 눈꼽을 훔치거나
그대 옷깃의 솔밥이 뜯어주고 싶게 유난히 커보이는 게야.
생각나?
지금으로부터 14년 전 늦가을
낡은 목조 적산 가옥이 많던 동네의 어둑어둑한 기슭
높은 축대가 있었고, 흐린 가로등이 있었고
그 너머 잎 내리는 잡목 숲이 있었고
그대의 집, 대문 앞에선
이 세상에서 가장 쓸쓸한 바람이 불었고
머리카락보다 더 가벼운 젊음을 만나고 들어가는 그대는
내 어깨 위의 비듬을 털어주었지.
그런 거야, 서로를 오래오래 그냥, 보게 하는 거..
그리고 내가 많이 아프던 날
그대가 와서, 참으로 하기 힘든, 그러나 속에서는
몇 날 밤을 잠 못 자고 단련시켰던 뜨거운 말
“저도 형과 같이 그 병에 걸리고 싶어요.”
그대의 그 말은 에탐부톨과 스트렙토마이신을 한 알 한 알
들어내고 적갈색의 빈 병을 환하게 했었지.
아, 그곳은 비어 있는 만큼 그대의 마음이었지.
너무나 벅차 그 말을 사용할 수조차 없게 하는 그 사랑은
아픔을 낫게 하기보다는, 정신없이
아픔을 함께 앓고 싶어하는 것임을
한밤, 약병을 쥐고 울어버린 나는 알았지.
그래서, 그래서, 내가 살아나야 할 이유가 된 그대는 차츰
내가 살아갈 미래와 교대되었고.
이제는 세월이라고 불러도 될 기간을 우리는 함께 통과했다.
살았다는 말이 온갖 경력의 주름을 늘리는 일이듯
세월은 넥타이를 여며주는 그대 손끝에 역력하다.
이제 내가 할 일은 아침 머리맡에 떨어진 그대 머리카락을
침묻은 손으로 짚어내는 일이 아니라
그대와 더불어, 최선을 다해 늙는 일이리라.
우리가 그렇게 잘 늙은 다음
힘없는 소리로, 임자, 우리 괜찮았지?
라고 말할 수 있을 때, 그때나 가서
그대를 사랑한다는 말은 그때나 가서
할 수 있는 말일 거야
- 황 지 우 -
내가 말했잖아.
정말, 정말, 사랑하는, 사랑하는, 사람들,
사랑하는 사람들은,
너, 나 사랑해?
묻질 않어.
그냥, 그래.
그냥 살아.
그냥 서로를 사는 게야.
말하지 않고, 확인하려 하지 않고
그냥 그대 눈에 낀 눈꼽을 훔치거나
그대 옷깃의 솔밥이 뜯어주고 싶게 유난히 커보이는 게야.
생각나?
지금으로부터 14년 전 늦가을
낡은 목조 적산 가옥이 많던 동네의 어둑어둑한 기슭
높은 축대가 있었고, 흐린 가로등이 있었고
그 너머 잎 내리는 잡목 숲이 있었고
그대의 집, 대문 앞에선
이 세상에서 가장 쓸쓸한 바람이 불었고
머리카락보다 더 가벼운 젊음을 만나고 들어가는 그대는
내 어깨 위의 비듬을 털어주었지.
그런 거야, 서로를 오래오래 그냥, 보게 하는 거..
그리고 내가 많이 아프던 날
그대가 와서, 참으로 하기 힘든, 그러나 속에서는
몇 날 밤을 잠 못 자고 단련시켰던 뜨거운 말
“저도 형과 같이 그 병에 걸리고 싶어요.”
그대의 그 말은 에탐부톨과 스트렙토마이신을 한 알 한 알
들어내고 적갈색의 빈 병을 환하게 했었지.
아, 그곳은 비어 있는 만큼 그대의 마음이었지.
너무나 벅차 그 말을 사용할 수조차 없게 하는 그 사랑은
아픔을 낫게 하기보다는, 정신없이
아픔을 함께 앓고 싶어하는 것임을
한밤, 약병을 쥐고 울어버린 나는 알았지.
그래서, 그래서, 내가 살아나야 할 이유가 된 그대는 차츰
내가 살아갈 미래와 교대되었고.
이제는 세월이라고 불러도 될 기간을 우리는 함께 통과했다.
살았다는 말이 온갖 경력의 주름을 늘리는 일이듯
세월은 넥타이를 여며주는 그대 손끝에 역력하다.
이제 내가 할 일은 아침 머리맡에 떨어진 그대 머리카락을
침묻은 손으로 짚어내는 일이 아니라
그대와 더불어, 최선을 다해 늙는 일이리라.
우리가 그렇게 잘 늙은 다음
힘없는 소리로, 임자, 우리 괜찮았지?
라고 말할 수 있을 때, 그때나 가서
그대를 사랑한다는 말은 그때나 가서
할 수 있는 말일 거야
2008.05.21 16:41:46 (*.12.199.161)
춘선아~!
축하한다.
막내가 제대했구나....!
얼마나 노심초사하며 기도하는 맘으로 보냈겠니?
군인의 에미가 제일 힘들고 애틋했다니
그맘 이해한다.
이젠 숙제 다끝났으니 다리 쭈~ㄱ 뻗고 자거라.
아참참~~~!
아직 멀었어 야~
장개를 보내야지...
부부의 사랑이란~
끝없는 인내같다.
계속들 사랑해라~~~~
아버지도 아니고 오빠도 아닌
아버지와 오빠 사이의 촌수쯤 되는 남자
내게 잠 못 이루는 연애가 생기면
제일 먼저 의논하고 물어보고 싶다가도
아차,
다 되어도 이것만은 안되지 하고
돌아 누워버리는
세상에서 제일 가깝고도 제일 먼 남자
이 무슨 원수인가 싶을 때도 있지만
지구를 다 돌아다녀도
내가 난 새끼들을 제일 사랑하는 남자는
이 남자일 것 같아
다시금 오늘도 저녁을 짓는다
그리고 보니 밥을 나와 함께
가장 많이 먹은 남자
나에게 전쟁을 가장 많이 가르쳐 준 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