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수 2,259

[이사람] 한국 온 최주원 미 파운데이션센터 부센터장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에 자리잡은 ‘파운데이션 센터’ 교육서비스 부문 부센터장으로 일하는 최주원(47)씨 명함 뒷면엔 “Knowledge to build on.”이 눈에 확 띈다. 최씨는 “고기를 잡아주는 것보다 고기잡는 법을 가르쳐주는 게 더 중요하다는 뜻”이라고 한다. 그가 일하는 ‘파운데이션 센터’는 이름 그대로 재단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엔지오와 미국내 8만5000여 재단들이 각각 최선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정보를 제공하는 일을 한다고 최씨는 전했다. “중세 유럽의 의적 로빈 후드 같은 역할이죠. 도움을 받으려는 단체나 개인에게 도움을 주려는 사람 혹은 재단을 연결시키는 일을 하는 겁니다.”
센터는 꼭 50년 전인 1956년 설립됐다. “당시 거부들이 탈세를 위해 재단을 만든다는 의혹을 받았지요. 매카시 선풍 등으로 불신이 가득 차 있던 상황에서, 록펠러 재단과 카네기 재단 등 대표적인 5곳이 공동출자해 도서관을 설립했습니다. 우리 센터의 뿌리가 된 것이죠.” 현재 뉴욕 외에 샌프란시스코·클리블랜드 등에 지부를 두고 있다. 풀타임 직원만도 156명, 컨설턴트까지 합치면 2배 가까운 사람들이 있다.
최씨는 23년 전 대학 졸업 후 미국으로 건너가 컬럼비아대에서 평생교육학을 전공했다. 뉴욕시립대 등에서 강의하던 그가 센터에 합류한 것은 2000년. 그 직전 2년간 비영리기관에서 컨설턴트로 근무하면서 “더 좋은 세상을 만들고 싶어” 인연을 맺게 됐다고 한다.
“80년대까지는 대부분 기업 등의 기부에 의존했지만 이후 출판 등의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돈으로 엔지오를 지원합니다. 연간 우리 센터를 통해서 엔지오로 전달되는 돈은 1900만달러 정도 됩니다.”
그는 25일 서울문화재단 주최 ‘문화기부 세미나’에서 ‘미국 기업의 문화기부와 기부효과 분석’이라는 주제발표를 했다. 그는 “일부에선 돈 많은 사람들만 기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돈 있는 사람은 돈으로, 시간이 많은 사람은 시간으로, 재능 있는 사람은 이것을 상대적으로 부족한 이들과 나누는 게 진정한 기부”라고 했다. 그는 “기부는 일종의 역할분담”이라고 말했다.
“서양에 십일조 전통이 있다면 우리는 품앗이 문화가 있습니다. 고학력 우리 사회가 서구에 비해 기부문화가 훨씬 뒤떨어진 것은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소극적이어서 그런 측면이 많은 것 같아요.”
최씨는 “수재성금 때 보면 한국은 돈 규모가 큰 것 같다”며 “그런데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반짝기부’로 그치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그는 이를 ‘반짝문화’라고 했다.
이상은 한겨레 신문 홈페이지에 있는 우리의 친구 주원이 인터뷰 기사야.
어제 아침 주소록에 있는 전화번호를 긴가민가하면서 통화를 시도했는데 드디어 또박또박 명쾌한 그 옛날 주원이 목소리 그대로인 말소리가 대답을 했다.
미국에 유학가서 결혼하고 고등학생인 아들이 하나 있단다. 무슨 일을 하느냐는 질문에 위의 기사를 일러줘서 알게 되었다.
반갑고 자랑스러웠다.
이번 행사에는 참석못하지만 이제 연결이 되었으니 살다보면 만나지기도 하리라.
주원이를 궁금해 했던 많은 친구들이 함께 반가워할 것 같다. 그치?
인터뷰 기사에 함께 실린 주원이 사진 첨부한다.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그 모습 속에 여고시절 주원이가 살아있다.
2007.09.19 18:23:35 (*.111.166.112)
주원아 반갑다.
널 보고 싶어하는 친구들이 많던데 모두 좋아하겠구나.
어딘가에서 야물게 지내고 있으리라 생각했었단다.
옛모습이 그대로 떠오른다.
뉴욕이라... 쉽게 만나질 것 같은 곳이구나.
널 보고 싶어하는 친구들이 많던데 모두 좋아하겠구나.
어딘가에서 야물게 지내고 있으리라 생각했었단다.
옛모습이 그대로 떠오른다.
뉴욕이라... 쉽게 만나질 것 같은 곳이구나.
2007.09.20 09:49:58 (*.215.44.156)
Juwon!!! God bless you!!! You made it!!!
Do you remember the day when we met unexpectedly after the graduation in 1977 at the coffeehouse?
The words that you gave me encouraged me a lot!!! You were always a thoughtful girl!!!
We were at the same school from the primary to the high school.
Do you remember the day when we met unexpectedly after the graduation in 1977 at the coffeehouse?
The words that you gave me encouraged me a lot!!! You were always a thoughtful girl!!!
We were at the same school from the primary to the high school.
2007.09.20 11:35:12 (*.252.228.243)
사진을 보고, 한참 기억을 더듬었는데....
아, 유학 간 뒤로 늘 궁금했던 주원이로구나 하고 머리를 스치네.
훌륭하게 멋지게 좋은 일을 하고 있어 너무 좋구나.
아, 유학 간 뒤로 늘 궁금했던 주원이로구나 하고 머리를 스치네.
훌륭하게 멋지게 좋은 일을 하고 있어 너무 좋구나.
2007.09.21 11:39:45 (*.114.54.209)
아~.
자그마하고 야물지던 주원이.
8월 모임에서 보고 싶다고 말들하더니....
우린 근래들어 평생교육에 대한 의식이 생기고 있는데 23년전 평생교육을 전공했다면
혜안이 있는 거지. ㅉㅉ(박수^^)
해외에 있는 친구들의 행적까지 찾아내는 우리의 주경이! ㅉㅉ(기립박수^^)
소림이가 드뎌 손을 걷어 부치면 혹시 우리반이 최다인원동원상 타서
뒷풀이까지 걸죽하게 하는거 아닌지 몰라^^
주경이 반 별 장기자랑 연습은 필요없나.
평소실력으로..ㅎㅎ
도와줄 응원부대 있으면 말씀하셤.
2부 사회문제는 잘 된겨?
모쪼록 조금만 더 힘내길.....(x1)
자그마하고 야물지던 주원이.
8월 모임에서 보고 싶다고 말들하더니....
우린 근래들어 평생교육에 대한 의식이 생기고 있는데 23년전 평생교육을 전공했다면
혜안이 있는 거지. ㅉㅉ(박수^^)
해외에 있는 친구들의 행적까지 찾아내는 우리의 주경이! ㅉㅉ(기립박수^^)
소림이가 드뎌 손을 걷어 부치면 혹시 우리반이 최다인원동원상 타서
뒷풀이까지 걸죽하게 하는거 아닌지 몰라^^
주경이 반 별 장기자랑 연습은 필요없나.
평소실력으로..ㅎㅎ
도와줄 응원부대 있으면 말씀하셤.
2부 사회문제는 잘 된겨?
모쪼록 조금만 더 힘내길.....(x1)
3-6반 친구들 소식 모으느라 애쓰는거 무지 감사 하다!
글구 최주원이 소식 넘넘 반갑다.
주원이랑 나랑은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까지 동창인데 대학 졸업후 한번도 못만났으니................
역시 똑부러지게 야무지던 주원이었으니 지금의 활동이 새삼스럽지 않구나.
그럴줄 알았지~
어쨌든 훌쩍 가버린 세월이지만 옛시절을 추억 할 수 있다는것에 행복을 느끼게 된다.
어제 상임위원회의 일정을 끝내고 추석연휴까지는 숨돌릴 여유가 생겼으니 애쓰는 주경이에게 다소나마 힘을 보태줄 수 있도록 노력할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