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종이 땡땡땡

33년전 미국에 막 와서 오마하에 사시던 외삼촌댁에 인사하러 간일이 있었다.
그 집에 5,6살 짜리 아이들 둘이 영어만하고 우리말을 전혀 못하는데 나만 이방인의 느낌이었다.
그당시는 어찌 한국말을 못하는 아이들을 만들수가 있을까 의아했었다.
외삼촌댁이 하시는 말이 “너도 키워보면 알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아이들 넷을 연년생으로 키울때 둘이다 나가서 뛰어야 생계를 유지할 판에
아이들을 잘 돌보는 것은 사치스런 일일수 밖에 없었다.
제대로 먹이지도 못하고 입히지도 못하고 키웠던것이 늘 미안하다.
다행히 아이들 넷이 다 좋은 크리스챤이 되었고
남들 부러워하는 대학을 나와서 사짜가 들어가는 직업들을 갖게 된것은
정말로 하나님의 은혜라고 밖에는 표현할 수가 없다.

오직 문제라면 남들처럼 돈을 많이 벌어놓지 못했다던가
아이들이 학자금 떼 빚장이가 된것이라던가 등등이 있지만
아이들에게 한글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것이 제일 맘이 아프다.
사실 시간을 충분히 할애하지 못하여 한국 말을 따로 가르칠 염도 못냈다
평생에 부러운 것 하나는 부모 자식간에 한국말로 완전히 통하는 것이다.
한국 책을 같이 읽거나, 이런 홈페이지도 같이 들어갈 정도면 얼마나 좋을까?

요즈음같이 한국의 위상이 올라가고
이곳에도 한국사람들이 시시 각각으로 숫자가 느는 판에
한국말을 못하는 우리 애들을 불쌍히 보는 사람들도, 경멸하는 사람들도 생긴다.
더구나 전도사를 하는 큰 아들에 관해서는 나도 정말 할말이 없다.
한국말 못하는 우리 아이들이 한국에 나갔을때 동네 아이들이 따라 다니며 원숭이라고 놀렸단다.  
어른들도 한국말 안가르쳤다고 눈쌀을 찌푸린다.
.
부모님을 모시고 살면 저절로 되는 일인데 부모님이 남동생 차지지 우리차지가 안되었던 것이 핑계가 될까?.
물론 교회에서 하는 한글 학교에 보내는 것은 기본적으로 했었다.
뿐만아니라 아이들마다 한국에 한두번씩 방학동안에 내보내기도 했고…
그래서 큰아이는 한국말로 선교보조금을 얻는 편지도 도움을 얻어 가며 혼자 쓴 일도 있었다.
그러나 점점 세월이 가고 밑의 아이들로 내려 갈수록 한국어 실력이 줄어서 완전히 제로이다.

“한국말을 못가르친 이유”라고 변명할때 써먹는 이야기가 있다.
첫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갔을때의 일이다.
발음이 나쁘다며 선생이 “집에서 한국말을 쓰지말라”라고 우리를 따로 불러 주의를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애만 데리고 특수교육을 시켜 발음 교정을 해 주었다.
선생들이 그 동네에 한국아이가 거의 없는 곳이어서
한국아이들이 얼마나 우수한지 아직 몰랐기 때문이어서 그런 쓸데 없는 짓거리를 했을 것이다.

경험이 마찬가지로 없었던 우리 부부는 기겁을 했다.
자존심이 상한것 보다는 미국애들에게 뒤질까가 겁이난것이었다.
아이의 장래가 달린 문제로 생각하고 한국말 사용을 단번에 그만 두었다.
워낙에  아이들은 힘든 한국말을 하려고 하지않았다.
자기들끼리 영어를 사용하는게 훨씬 쉬웠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제 부모까지 의도적으로 영어를 하니 한국말은 발붙일 곳이없었던 것이었다.

또 다른 변명은 우리가 충분히 무식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유창하지는 않지만 영어로 소통하기에 그렇게 불편하지 않아서 자꾸 영어로 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말을 쓸일이 너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근본적이 문제였음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란다.
한글학교에서 배운 말을 어디서 쓸수 있는가?
내가 만약 영어가 전혀 안되거나  집에서 살림만하고 지냈으면 아이들과 한국말을 많이 했을 것이다.
아이들과 한국말로 맘놓고 이야기하는 부러운 가정이되었을 게다.
함께 한 찬송가를 부르고 함께 기도하고 예배드리고.. 얼마나 좋았을까?

이번에 딸애가 어린 손주 아들을 데리고 시카고에서 피닉스로 왔다가 돌아갔다.
오는 길엔 아기가 보채지 않고 아주 쉽게 왔다고 했다.  
가는날은 그렇지 못했다. 아침녘에 낮잠을 안자더니 비행기안에서 힘들게 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찌했냐?했더니 하다하다 안되어 “학교 종이 땡땡땡”을 불러주었더니 잠이 들었다고… .
나는 깜짝 놀랐다.
언제 그노래를 가르쳐 준적이 있었을까?
그걸 기억해내고 불렀다니 얼마나 딸아이가 장하고 신기한가?

아이들에게 한국말을 제대로 못가르친 죄인이 그 아이 무의식 속에서 살아나온 노래때문에 기가 났다.
그래 언젠가 나도 한국말을 가르치긴 했던거야!
다 잊어버렸어도 언젠가 다시 생각나는 날도 있을거야!

그렇지만 노래 한마디 가지고도 이리 기쁜데,
정말 모든것을 다 나눌수 있게 한국말을 유창히 가르쳤으면 얼마나 더 좋으랴
때 늦은 후회가 다시 목을타고 올라왔다.
코리언 비데오라도 보고 한어를 익히라고 다시 졸라대야겠다.
소귀에 경 읽기지만….
(2007년 2월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