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만난 죽음의 사건들

초등학교 5학년때 꾸지 큰집에 다녀오신 아버지께서 큰아버지의 죽음에 대해서 말씀하셨다.
큰아버지께서는 “왜 이렇게 캄캄하냐 불좀밝혀라” 하시며 운명하셨단다.
팔을 내휘두르시며 고함을 치셨다는 그말은 어린 내 마음에 비수같이 꼿혔고
평생 잊지 못하는 말한마디로 내뇌리속에 남게 되었다.
그 무서움, 그 외로움이 고스라니 느껴지는 말이었기 때문이었다.
그해 큰댁에는 삼대의 죽음이 있었다.
월남파병 갔던 사촌 오빠가 지뢰를 밟고 먼저 죽고, 할아버지께서 곧 돌아가셨다.
할아버지는 연로해서 돌아가셨겠지만 큰아버지는 두번의 상사후에 많이 괴로워했을 것이 틀림 없다.
뱀을 잘못 잡숴 뱀독이 올라서 식중독으로 돌아가셨다지만 술을 잡수며 그 안주로 뱀을 드셨으니
집안의 불운을 삭일수 없었던게 틀림없다.

내 여동생은 서울대학 병원에서 간호원으로 근무한적이 있는데 그때 사람 죽는것을 많이 보았다고 한다.
죽을 때 어찌 죽는것을 보면 신앙이 있었나 없었나 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고 한다,
신앙안에 성숙한 사람의 경우, 죽을때 몸의 경직이 심하지 않고 부드럽고 얼굴이 편안하며,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두려움과 고통속에 경직되어 죽기 때문에 시체만 봐도 무서웠다고 했다.

내가 미국와서 십년쯤 되었을때 내 바로 밑의 남동생이 한국에서 자동차 사고로 죽었다.
30대에 어린 두 아들을 남기고 갑자기 죽은 동생 때문에 급히 한국에 나갔었다.
그때 큰아들을 잃은 엄마를 어찌 위로해야하나 고민하며 나갔었다.
내가 나갔을떄 이미 시체는 막 파묻은 후였고, 엄마는 더이상 울지 않으셨다.
그런데 넙적다리가 완전히 까맣게 멍들었던것을 보았다.
너무나 많이 때려가며 울었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다.
동생이 다니던 교회 식구들이 와서 위로를 해주는데 젊은 올캐는 별로 울지 않았다.
캐톨릭 다니는 사촌이 꿈을 꾸니 내동생이 기쁜 모습으로 올라 가더라는 말이 위로가 되었다.

내 나이 51세에 두째 남동생이 간암으로 죽었다.
내 곁에 시카고에서 살던 동생이라 가장 가까왔던 동생이었다.
그의 나이 46살이었다. 일년을 암과 싸우다 결국 그 많은 돈과 시간을 병원에 바치고 가버렸다.
마지막까지 살아남을수 있다고 믿고 그렇게 했다.
그가 죽던날, 그날이 그날인지도 모르고 나는 병원에 찾아가서 하루밤을 함께 지냈다.
올캐가 아주 다정하게 남편 손을 붙들고 위로해주니 내가 할일도 없고 나는 너무나 피곤해서 엎드려 잠을 잤다.
동생의 배가 불러 왔는데 복수를 뺀다했으나 물 대신 피가 나왔고 급기야 혈압이 잡히지 않았다.
자다깨보니 그 마지막까지 스캔을 한다 검사를 한다고 간호원들이 끌고 나가고 있었다.
그때 동생은 우리 둘에게 손을 들어 인사를 했다. 예감이 있었던 모양이었다.  
그리고 침대로 돌아오자 얼마 안되어 얼굴을 잠간 들어 누구를 바라보는듯하더니 고개를 숙이고 가 버리는 것이었다.

내가 성경을 몇구절 읽어주었는데 “누나 읽지마, 머리에 안 들어와” 해서 나는 어찌할바를 몰랐었다.
나중 들으니 마지막시간에는 찬송을 불러주고 잘 지켜야한다던데 나는 임종이 처음이었고
그렇게 쉽게 갈줄은 몰랐다.
고통의 몸을 벗은 죽은 동생의 얼굴을 보니 천사같이 깨끗하고 평화로웠다. 안심이 되었다.

세탁소를 하고 있을때 단골 손님 한사람이 갑자기 잠을 자다가 돌아가셨다.
일주일에 꼭 한번씩 넥타이, 와이셔츠, 다 낡은 신사복 한벌을 세탁해가는 분이었다.
큰 교회 주일학교 교사라했는데 그렇게 몇년을 똑같은 것만 그렇게 세탁해 갔던 사람이었다.
아주 건장하고 50대 후반으로 젊었는데 그렇게 가다니 나는 믿기지 않았다.
인자하게 웃는낯의 그를 떠올리며 그의 장례식에 찾아갔다.
그랬더니 세상에, 그가 관에 누워있는데 웃고 있지않은가?
입가에 가득 웃음을 물고 잠이 들은 것이었다.
그렇게 웃는 시체는 한번도 본적이 없었다.

위의 사건들 말고도 여럿 죽음을 지나왔다.
내나이 벌써 이만큼 되어, 내 차례도 언제일지 알수없이 많이 가까왔다는 뜻이겠다.

나는 내 두동생과 그 미국사람이 틀림없이 천국에 갔을 줄로 믿는다.  
한번씩은 죽는 길, 친구 희자 말엔 죽음을 친구로 생각하란다.
참 좋은 말이다.
좋은 곳에 가는지 확실하다면 우리 큰 아버지처럼 무서워하지 않아도 될것이다.(2006년 12월 27일)     (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