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시>
크리스마스 꽃으로
이정원
그대들, 알고 있나요.
단발머리 우리의 웃음이 삼년 동안 머물렀던
인일의 교목이 대나무이고 교화가 개나리인 것을.
대나무 잎에 앉은 바람이 개나리의 꽃가지가 되고
초여름 줄장미의 넝쿨로 이어져 국화 향기에 맘 설레던
원형교사의 햇빛 반짝이는 창문들.
그 기억이 늦가을 강물처럼 차고 맑게 영글어
한 해를 닫아야 하는 문 앞에서 서성이는 오늘.
한발 한발 다가와 어느새 가슴으로 파고든 따스한 손을 잡고,
사십 년 전 울타리를 떠난 우리가
각자 삶의 여정에서 모아들인 기쁨과 슬픔들을
빨강과 초록으로만 말하는 포인세티아-크리스마스 꽃으로 피워
눈밭을 달리는 사슴처럼 마냥 신이 나도 좋은,
바로 그런 저녁인 것도 알고 있나요.
지금은 너무 커버린 바닷가의 한 도시에서
언젠가는 돌아와 만나겠노라 분수가 자갈돌에 남겨두었던
고운 이야기들을 되살려 축제의 불꽃으로 터뜨린다 해도
누구 하나 말릴 이 없는, 그래서 마음 놓고 춤추어도 좋은
그러한 저녁이라는 것 또한.
일생에 단 한 차례 꽃을 피워 목숨을 마무리하는 대나무와
잎보다 먼저 얼굴을 내미는 꽃으로 봄의 전령사가 되는 개나리.
제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강인하고 절개 있으며 소박하고 희망찬 그들의 상징을 받아들여
예까지 온 우리야말로, 천년 미추홀의 딸들이
되고도 남는다 여기지 않나요.
파도에 쓸리고 또 쓸려도 끝내 보내지 못한
아니 결코 보내지 않은 단 하나의 이름, 인일을 이제는
가슴 저린 우리 그리움의 화신이라 일컬어도 되지 않겠나요.
흘러간 시간과 상관없이 무조건 아름다운 그대들이여.
그러기에 열두 다발 크리스마스 꽃으로 피어도
정녕코 모자람이 없을 그대들이여.
고마워.
친구들이 좋아해주니,
하루 머리 쥐어짠 보람이 있네.
문인 친구가 있어
그냥 맘 통한다는 생각이 들어.
힘내길.
정원아, 축시를 다시 보니 너의 존재감을 더 실감하겠다.
덕분에 우리도 교목이 대나무이고 교화가 개나리인 것을 알게 되었네.
네 글을 읽다보니 어느새 마음은 교복을 입은 여고생이 되었네.
통일동산도 생각나고, 옥고시 열심히 먹던 모습, 분수대에서 저녁노을 바라보던 생각
고등학교때 서울 간 친구가 온다하여 학교갔다 길이 어긋나 발을 동동 구르던 생각...
고맙다 친구야! 너의 총명한 기억 덕에 순간에 수십년을 뛰어넘어
행복한 마음으로 오늘 밤을 맞는다.
우리 내내 지금처럼 서로를 아끼며 지내자. ^^
?
정원아~
곱고 낭랑한 목소리로 읽어내려 가던 네 축시를 들으며 내 마음도 잠시 인일 교정으로 되돌아가 있었단다.
집으로 돌아와 네 책 '은전 세 닢'을 꽃값 아홉까지 읽고 잤단다.
너의 여정과 함께 따라 다녔어. 몇 군데 나도 갔던 그 곳을 떠올리면서.
네 마음이 느껴지고, 피어있는 꽃이 눈앞에 그려지고 잔잔한 평화가 왔어.
예쁜 책 . 고마워!
정원아~
너의 진실되고 아름다운 시를 다시 읽으니 우리의 빛나던 모임이 꽃으로 피어나는 것 같구나.
대나무가 꽃을 한 번 피우고는(심지어는 100년에 한 번) 사라진다는 말을 며칠 전 책에서 읽었는데
너의 글에서 다시 보니 새삼스럽구나.
그 동안 사라진 원형교사와 분수를 생각하며 살아오지 않았는데
흘러가는 사진에서 그 모습이 보이면 가슴이 뛰더구나.
이상하게도 말이지 난 원형교사를 보면 앞치마 두르고 머릿수건 쓰고 청소하던 생각이 나고
원형교사 앞에 서 있던 큰 상수리나무가 떠오른단다.
내가 인천여중에서 교생실습을 할 때도 친구 문제로 눈물짓던 우리반 애랑 그 상수리나무 아래에서 이야기 했었지.
내가 선생을 해 볼까 이런 생각을 처음 했던 곳도 그 원형교사 옆에 있던 상수리나무 아래서란다.
시를 쓰는 친구가 있어서 좋구나.
시를 쓰는 마음을 가진 너를 옆에서 늘 지켜 보고 싶다.
잘 지내렴~~
정원이가 이 축시를 읽을 때
난 어인일인지 졸업식 날 우리들에게 “내 사랑하는 장한 인일의 딸들......”
하시던 이성룡 교장선생님의 인자하신 모습이 떠오르더라.
정원이와 은혜회장을 비롯한 우리 멋진 친구들은 정말
교장선생님께서 자랑스러워하실 만한 장한 인일의 딸들이 맞아.
그림처럼 아름다운 환경과 좋은 친구들, 훌륭하신 선생님들...축복받은 시절이었지.
참 감사해.
신영아,은화야. 고마워.
누군가가 인정해줄 때 그 값이 더해진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 그들이 순수한 친구일 때는 더더욱.
?
정원아 ~
빨강과 초록으로 단장하고 만난 우리들을 일컬어
크리스마스 꽃이라고 불러주니 참 좋구나.
낭랑한 네 목소리가 글에 스며 있는것 같다.
은발의 루돌프 아가씨 ~
그대가 있어서 우린 행복했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