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소감 얘기하랄 땐 제대로 못하고 집에서 생각해보니 나도 하고픈 말이 많았던거야. ^^

친구들 모두 고맙고 사랑해♥♥

 

 여행을 하면서 멀리 아름다운 풍경을 눈에 담아두고 마음으로 느끼기도 하지만 이젠 풀숲이나 땅 밑을 보며 걷는 습관이 생겼어.  내가 소중히 여기는 꽃들은 자세히 살펴봐야 눈에 띄는 작은 풀꽃이 많거든. 그래서 이번 여행에서 본 꽃 얘기 좀 할게.

 

 이번 여행에서 우리의 눈을 호사시켜준 은은하면서도 화려한 배롱나무. 목백일홍이라고도해. 요즘은 남도 어딜가도 볼 수 있는 꽃. 가로수로도 가꾸어지는 꽃이 되었지. 기억나니?  인일여고에도 배롱나무가 있었단다. 분수에서 원형교사로 들어가는 곳에 서무실 (지금 행정실)이 있었잖니?  그 앞에 배롱나무가 두어 그루 있었어.  왼쪽엔  대나무가 쭉 늘어서 있고 오른쪽에 있었어. 사월이 다가도록 잎을 틔우지 못해 겨울에 얼어죽은 나무인가 궁금했는데 뒤늦게 잎을 틔우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어 정말 인상깊었던 나무였단다. 그래서 지금도 배롱나무를 보면 반갑고 그 시절이 생각나 그리운 꽃이야.

 또 너희들도 잘 알고 있는 꽃. 요즘 산야에 지천으로 피어있는 꽃.  금계국. 우리말로는 노랑 코스모스야.  그 꽃보단 작고  꽃심 근처가 자주색에 가까운 기생초가 있지. 봉오리가 기생의 입처럼 예쁘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래.  비슷한 모습이지만 큰 꽃.  작년에도 알려줬던 꽃  이름은 누드베키아야. (누드~베끼어)  외우기 쉽지?

 하회마을에선 큰 무궁화같은 넉넉한 모습의 부용.  부용과 비슷하지만 색이 화려하고 층층히 피는 꽃은 접시꽃이었어.  초막이 있는 유씨 종가집에서 본 긴 줄기에 연분홍색으로 피어난 꽃은 상사화란다.  잎이 져야  꽃이 피어서 서로를 그리워 하는 꽃이래.

 닭실마을 돌담아래 피어있던 꽃 중 흰꽃은  설악초야.  무리지어 피면 눈이 내린 것 같이 보인다고 해서 이름 지어졌대.  특히 밤에 더욱 희게 보여.  석천정사 가는 길에 모감주 나무도 있었어. 우리 말론 황금비 나무야. 낙화할 때 노란 꽃비가 내리는 것 같기 때문이지.

 

 한꺼번에 너무 알려하면 과부하 걸리지?   그래서 요기까지^^

다음 여행도 모두 같이 하게 되었음 좋겠어. 많은 것을 맛보고 느낀 시간. 정말 좋았어. 모두 고마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