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회 - 게시판담당 : 구창임
글 수 2,041
?
고려대 강병화 교수가
17년간 전국을 돌아다니며 채집한
야생들풀 100과 4439종 씨앗을 받아
종자은행을 세웠다고 합니다.
신문에 ‘고맙고 자랑스러운 일’이라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기사 끝에 실린 강교수님의 다음 글이
마음에 크게 와 닿았습니다.
“엄밀한 의미에서 ‘잡초’는 없습니다.
밀밭에 벼가 나면 잡초고,
보리밭에 밀이 나면 또한 잡초(?)입니다.
상황에 따라 잡초가 되는 것이지요.
산삼도 원래 잡초였을 겁니다.
사람도 같습니다.
있어야 할 곳에 있으면 산삼보다 귀하고,
뻗어야 할 자리가 아닌데
다리를 뻗고 뭉개면 잡초가 된답니다.”
- 김동자(전국 MOU 전문가/새벽편지 가족) -
--------------------------------------------
지인이 보내 준 이 글 덕분에
제 자존감을 회복시킬 수 있었습니다.
- 누구에게나 존재가치와 삶의 이유가 분명히 있습니다 -
잡초는 없습니다

고려대 강병화 교수가
17년간 전국을 돌아다니며 채집한
야생들풀 100과 4439종 씨앗을 받아
종자은행을 세웠다고 합니다.
신문에 ‘고맙고 자랑스러운 일’이라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기사 끝에 실린 강교수님의 다음 글이
마음에 크게 와 닿았습니다.
“엄밀한 의미에서 ‘잡초’는 없습니다.
밀밭에 벼가 나면 잡초고,
보리밭에 밀이 나면 또한 잡초(?)입니다.
상황에 따라 잡초가 되는 것이지요.
산삼도 원래 잡초였을 겁니다.
사람도 같습니다.
있어야 할 곳에 있으면 산삼보다 귀하고,
뻗어야 할 자리가 아닌데
다리를 뻗고 뭉개면 잡초가 된답니다.”
- 김동자(전국 MOU 전문가/새벽편지 가족) -
--------------------------------------------
지인이 보내 준 이 글 덕분에
제 자존감을 회복시킬 수 있었습니다.
- 누구에게나 존재가치와 삶의 이유가 분명히 있습니다 -
2014.10.09 08:24:45 (*.120.115.12)
한글날이 함께 하는 9기 선배님들의 홈피 방문일
축하드려요.
늘 따스한 마음으로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18일에 뵈어요.
2014.10.09 12:46:45 (*.70.102.14)
?? 주향 후배님 이렇게 찾아주니 반가워요~!!
18일에 여러가지 행사가 겹쳐서 못 가지만
마음만은 달려갈 겁니다요~~
2014.10.09 19:24:54 (*.48.112.78)
한글날~~~!
그리고 우리의 날!
산삼으로서 가치도 적재적소라니
자신의 적재적소도 깊이 생각하게 되는 좋은 글이구먼!
역시 옥인인 적재적소라니까!!!ㅎㅎㅎ
송창식의 가나다라~~~~
여기서 살면서도 생각못하고 사는 것을
똘똘이(?) 덕분에 또 깨우친다!
주향후배님도 와줘서 고마워요^^
??어느덧 아침저녁이 서늘한 가을이 되었네
위의 글을 보면서 관점을 다르게 보면
그럴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