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어여쁜 동기 인영이가 여성 최초로 남극 극지연구소 대장이 되어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되었단다.
신문에 난 것을 한 친구가 알려 줘서 너희들에게도 알린다.
자랑스럽고 기쁜 일이다.
부디 건강하고 힘차게 임무를 잘 마치고 오기를 바랄 뿐이다.
에이구.... 우리 12기 남극도 가야겠네~~^^
-신문에 난 기사 전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는 7일 “세종과학기지에서 올해 말부터 1년간
상주하며 17명으로 구성된 월동연구대 활동을 지휘할 제28차 월동연구대장에
안인영(58) 책임연구원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생물학자인 안인영 신임 남극기지 대장은 1991년 남극하계연구대 첫 여성 대원으로
10여 차례 남극을 오갔고 극지연구소 극지생물연구실장, 선임연구본부장 등을 지냈다.
안인영 연구원은 “연구소에 여성연구원이 많이 늘어나 80여명 중 여성이 20% 정도”라면서 “올해 장보고기지 운영을 시작하면서 여성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많았다”고 전했다.
이어 “과거에는 남극에서의 무사귀환에 방점을 뒀지만 이제 교통이나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있다”며 “대원들이 고립된 남극기지에서 장기간 머물러야 하는 만큼 대원들의 심리적 안정에 신경 쓰고 개선점을 찾을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극지연구소에 따르면 남극기지 여성대장 임명은 1988년 세종기지가 출범한 후 최초일 뿐 아니라 아시아 국가 가운데도 장기간 남극에 머무는 첫 사례다.
이는 남극기지의 시설이 남성 위주로 돼 있는데다 생리적 문제 등으로 여성이 극지에서
생활하기 힘들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도 드문 사례로 꼽힌다.
17명으로 구성된 28차 월동연구대는 다음달 24일 출국해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1년간
상주하면서 기지 운영과 연구 활동을 수행할 예정이다.
남극조약 협의당사국인 우리나라는 현재 남극의 킹조지섬과 남극대륙에 각각 세종기지와 장보고기지 등 2개 과학기지를 두고 있다.
‘남극기지’ ‘안인영 대장’ ‘아시아 최초’[사진 극지연구소]

극지연구소(소장 김예동)는 지난 7일 남극세종과학기지 제28차 월동연구대장에
안인영 책임연구원(58)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남극기지 첫 여성대장으로 임명된 생물학자 안인영 대장은 1991년 우리나라 여성으로선 처음으로 남극하계연구대 일원으로 남극에 첫 발을 들여놓았다. 이후 안 대장은
극지해양생물 연구 분야에 몸담으며 극지생물연구실장(1998년), 선임연구본부장(2010년)을 역임했다.
앞으로 안 대장은 17명으로 구성된 월동연구대를 이끌며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1년간
기지 운영과 연구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극지연구소는 남극의 혹독한 환경 때문에 남성들 중심으로 구성됐던 월동연구대에
첫 여성대장이 선임되면서 여성 고유의 포용력과 친화력, 세심함으로 기지에
새로운 분위기가 조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안 대장은 “첫 여성 월동대장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기대를 하고
있다”며 “남극이라는 혹한 환경이지만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게 역할을 해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안인영 후배!!!대단합니다!!
여성으로 최초라!!! 더 멋져요.
1년이란 긴 시간동안 임무 수행 잘하고 건강히 금의환향하길 빕니다.
인터넷신문에서 기사제목을 읽다가 '최초의 여성 남극 월동대장'이라는 귀절을 보는 즉시, 이는 필시 안인영에 대한 기사일 거라고 생각했어.
어쩌면... 그렇게 우아하고 기품있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외모 속에, 그렇게도 강인하고 자기일에 철저한 파워가 풍성히 담겨있을까?
삼십년이 가까와 오는 해외생활 가운데, 내 기억으로는 처음으로 참석했던 우리 동기들의 모임에서 너와 같은 테이블에 앉아 점심을 먹었던 것이 내 기억 속에 크고 선명하게 남아있단다. '바다'를 동반자로 지금까지 삶을 일구어왔다는 점에서, 그리고 특히 '남반구'에서 살아 왔다는 점에서 나와 동질감을 느꼈었나봐.
자랑스런 우리의 친구 안인영~! 이제 조국을 대표하여 남극이라는 어려운 환경과, 좋은 결과를 내어야 하는 연구 과업, 그리고 17명의 대원을 원활하게 이끌어야 하는 결코 쉽지않은 책임을 맡아, 가족과 떨어져 13개월을 보내야 하는 대장정에 나서는구나.
난 너에 대해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잘 알지 못하면서도, 너라면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반드시 극복할 수 있을거라는 믿음이 괜히 생기는 것은 어쩐 일일까?
건강 잘 챙기고~! 화이팅~
이야, 멋있다.
근데 1년이나 있어야 돼?
아들은?
누구보다 멋지게 하고 오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잘 해.
우리들이 뒤에서 응원하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