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은 조선 9대 임금인 성종이 1483년(1484년완공) 창덕궁 동쪽에 세운 궁궐이다.

창덕궁과 경계없이 하나의 궁궐로 사용하여 둘을 합쳐 동궐(東闕)이라 칭하였다 

 

 

 20121120_140136.jpg

 

 

 

 

 

 20121120_142029.jpg

 

 

 

 

 

  20121120_140406.jpg   

 

 

 

 

 20121120_144236.jpg

 

 

 

 

 

20121120_140413.jpg

 

 

 

 

20121120_140253.jpg

 

 

 

 

 

 20121120_140228.jpg

 

 

 

 

 

 20121120_144358.jpg

 

 

 

 

 

20121120_141124.jpg

 

 성종의 태실

 

 

 

20121120_145634.jpg

 

 

 

 

 

20121120_145607.jpg

 

 

 

 

 

20121120_145735.jpg

 

 

 

 

 

20121120_150046.jpg

 

창경궁은 임진왜란 때  서울의 다른 궁궐과 함께 불에 탔다가 1616년(광해 8년)에 재건되었다.

 

이 때 재건된 명정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정전 건물이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내전 건물들은 1830년 환경전 화재 이후 1834년(순조 34년 )에 재건된 것이다.

 

 

 

 

 

       20121120_145708.jpg   

 

 

 

 

 

 

 

20121120_145720.jpg

 

 

 그러나 왕조의 상징이었던 궁궐은 일제의 '훼손'에 의해 왕궁으로서의 존엄성을 잃게 된다.

 

1907년부터 창경궁 안의 건물들을 대부분 헐어내고 동물원과 식물원을 설치하여 일반에 공개하였으며,

 

1911년에는 이름 마저 창경원(昌慶苑)으로 격하시켰다.

 

또한 종묘와 연결된 부분에 도로를 개설하여 맥을 끊었다.

 

1983년부터 동물원을 이전하고 본래의 궁궐 모습을 되살리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아직 많은 전각을 복원하지 못했지만,

 

아름다운 자연과  어우러진 창경궁의 모습에서 왕실 생활의 체취를 느낄 수 있다.

 

 

 

 20121120_145954.jpg

 

 

 

 

 

20121120_145936.jpg

 

 

 

 

 

 20121120_150056.jpg 

 

 

 

 

 20121120_150112.jpg

 

 

 

 

 

 20121120_150000.jpg

 

 

 

 

 

 20121120_150117.jpg

 

 

 

 

 

 20121120_150122.jpg

 

 

 

 

 

 20121120_150136.jpg

 

 

 

 

 

20121120_150157.jpg

 

 

 

 

 

 20121120_150219.jpg

 

 

 

 

 

 20121120_150230.jpg

 

 

 

 

 

 20121120_150247.jpg

 

 

 

 

 

 

 20121120_150306.jpg

 

 

 

 

 

 20121120_150312.jpg

 

 

 

 

 

 20121120_150331.jpg

 

 

 

 

 

 20121120_150341.jpg

 

 

 

 

 

 20121120_150406.jpg

 

 

 

 

 

 20121120_140436.jpg

 

  창경궁에서 바라본 남산

 

 

 

 

 

 

 

 

 Hilary Hahn's performance of "Mendelssohn Violin Concerto" in E minor, Op. 64 with Frankfurt's Radio Symphony Orches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