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제목을 보고 놀라셨지요?
한석규가 세종대왕으로 분한 뿌리 깊은 나무 드라마에 심취하여 보고 있습니다.
어린 세종에서 성인 세종으로 바뀔 때 한석규 세종대왕이 내뱉은 첫마디가 " 지랄" 이었죠
이후 젠장 우라질, 옘병 등등
한자로 표기하지 못하는 백성들이 사용하는 언어 중 위와 같은 단어들을 사용하며
백성들을 위해 한글창제의 필요성을 더욱 뼈저리게 느꼈다는 작가의 독창적인 접근방법이 신선했습니다.
명나라의 눈치를 보며 한글창제를 반대하는 기득권층에 대해
세종의 불편한 심사를 노골적으로 표현 할 때도
어김없이 욕이 등장합니다.
세종은 백성을 위해 이러저러한 것들을 만들고 시행하고자 하나
이래서 안되다 저래서 안된다 갖은 구실로 방어하는 신하들에게 내뱉는 표현이 무척 리얼했죠.
기득권층들의 행태는 예나 지금이나 똑같은 것같습니다.
느리고 진부한 연출이 아니고 스피디한 진행과 세종의 심리묘사를 잘 표현한
작가와 연출가 그리고 배우 덕분에 제가 요즘 사극에 빠져있습니다
다모, 공주의 남자, 일지매, 선덕여왕,추노 ..등 퓨전적 요소가 가미되어 진행이 스피디한 사극이
기존 사극의 연출력과 차별화되어 저는 이러한 사극을 아주 좋아합니다.
특히 미남은 아니지만 성우출신의 한석규의 정확한 발음과 뛰어난 연기에 푹 빠져들어 드라마를 보고 있죠
넋을 놓고 보고있다고 한소리하는 아들이 보기에 제 자세가 너무 진지하고 웃겼나 봅니다.^^
마침 IICC에서 경복궁 출사가 있어
세종대왕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헤아리는 심정으로 경복궁 이곳저곳을 둘러보았습니다.
드라마에서 향원정 다리를 보았기에 거기 주로 있었습니다.
향원정은 고종때 만들어졌다니 실제로 세종대왕은 못거닐었겠군요 ㅎ
단풍이 물든 가을날의 향원정은 정말 아름다웠습니다.
근정전 앞은 사람들이 몰려있어 촬영을 안했고
많은 장소의 촬영보다는 같은 장소에서 여러가지로 셋팅을 바꾸어 가며 촬영하여 종류는 다양하지 못합니다.
카메라 픽쳐스타일을 Autumn 모드로 셋팅하여 붉은 색이 조금 강하게 촬영해보았습니다
사진 몇장 올립니다.
동문님들도 오늘 10월 마지막 날을 멋지게 마무리하세요
고궁의 가을이 참으로 운치있네요
선배님
오랫만에 인사드립니다
이곳 캘거리는 할로윈데이 오늘 첫눈이 내리고있습니다
언덕 너머 인디언 마을이 눈에 가려 어둑한데 검은 침엽수들이 한줄로 불침번을 서고
가로등 불빛에 반짝거리는 함박눈이 더욱 정겨워보입니다
이제 캘거리의 기나긴 겨울ㅇ; 시작되나봅니다
모두들 건강하세요
금재후배 오랜만입니다.
잘 있지요?
첫눈이 왔다구요
오늘이 11월 초하루이니 한국도 머지않아 눈이 오겠지요?
경복궁 사진은 흐린날의 단풍이어 해뜬 날 집 가까운데서 노을에 비친 단풍을 찍어보았습니다.
인천은 아직도 단풍이 짙질 않아요.
제목에 욕이 나와서 심상치않음을 느꼈어요.
요즘 제가 쓰고자하는 욕은 '똥쌀놈,썩을놈'
저도 이런 감정 표현이 연출되는 사극이 너무 좋은데 피곤하여 1,2회 겨우보고 졸다 자다 못본답니다.
언젠가 다시보기로 들어가서 진지하게 보려하는데 휴일도 저에게는 신데렐라처럼 콩쥐처럼 일투성이랍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경복궁편을 보고 새삼 저도 경복궁에 가보았는데 경회루 개방시간에 신청하여 다시 한번 가보고 싶더라구요.
언제 왕자님만나 마차타고 가서 편안하게 경복궁을 즐길 수 있을까요..........
언니는 경복궁 사진도 찍으시고 한석규도 보시고 좋으시겠어요. 흑흑
역쉬, 프로의 사진은 다르군요. 넘넘 멋져요. 사진을 워낙 몰러 기술은 말할 수 없지만 감각이 대단합네다!!!!
근디, 내가 이 사진 올라오자마자 댓글 올렸는디 워디로 갔담?
댓글 등록을 안 눌렀었나? 에궁, 못 말리는 시니어 모멘토! ㅎㅎㅎ
퍼다가 많은 사람들에게 귀경 시키고 싶은 욕심이 자꾸들만큼
사진들이 멋지고 귀하네여.
오랫만에 고국의 고궁들을 즐기긴 하는디, 서울 가고픈 마음을 으찌 달래야 할찌는
쪼매 궁리를 해야 것네여.
감솨해여.
혜진후배~ 내가 한석규를 보았다는게 아니고
드라마에 나오는 한석규를 이야기 했는데?
사진촬영 그런거 없이 아무 생각하지 않고
때로는 이 생각 저 생각하며 걸었으면 좋겠구나 싶어요.
사진찰영에 몰두하다보면 뭔가 아쉽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우.
꼭 경복궁 가지 않아도 주변에 떨어지는 낙엽을 보며 잠시 가을을 느껴보아요.
다 저녁때 해가 막 넘어가려는 순간 후다닥 카메라 들고 나가 찍어놓았던 낙엽이예요.
김호숙선배님
미국에 눈이 많이와서 정전이 되었다는 뉴스를 어제 보았어요.
각 나라마다 기후이변으로 인명피해도 많고 정말 걱정이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을은 어김없이 지나가 겨울이 오고 또 봄이 오겠죠.
저도 궁궐 앞은 많이 지나다녔어도 들어가 여유있게 보긴 쉽지 않았어요.
선배님 한국에 들리시려거든 가을에 오세요.
사진이 아무리 이쁘다 한들 눈으로 가슴으로 보는 것만하겠어요.
중전마마가 앉던 의자라고 합니다.
얼마쯤 꽤나 되었을께고...카메라를 처음배워 경복궁을 두루 다니며 찍어 홈피에 올렸었는데...(전영희후배의 덕으로)
역쉬 사부님의 탁월한 실력은 인정인정이네요.
고궁의 가을, 깊은 정취를 느끼게해주네요.
여의치못해 참석하지못했었는데 멋진 사진으로 깊어가는 가을속에 빠집니다.
정말 경복궁의 가을을 다 담아 오신것 같아요.
저는 지나 겨울에 한 해의 마지막날을 통역봉사로
그곳을 찾았었거든요.
지난 번 수업에서 제가 썼던 두 미국부부 사진이
그곳 박물관에서 찍은거였어요.
facebook으로 사진 하나만 보내려고 하는데
작가님의 유노가 필요한 듯 합니다.
그 때는 너무 추워서 남대문에서 만원짜리 모자
사서 쓰고 돌아다니면서 사진 찍었거든요.
박정자선배님 안녕하세요
너무 오랜만이세요
홈피를 보고 계셨군요
건강하시지요?
사진은 저도 잘 모르는 부분이 많아 계속 공부하고 연습하고 그러는 중이예요.
제가 찍은 사진은 아니나 향원정 사진 하나 올려드릴께요
맑은 날 찍은것인가봐요. 하늘도 물도 모두 파랗습니다.
선배님께서도 사진이 취미인 줄 아는데 기회가 되면 함께 출사 나가셔요~^^
올 가을은 경복궁 간 날이 흐려서 흡족치 않았으나
내년에 다시한번 시도해 보려 해요
내년 향원정 출사 꼭 같이 함께 해요 박정자 선배님.
지난번 인천대공원 갔을 때 연꽃 철은 지났는데 외로이 한송이를 발견했어요
노을 속에 빛을 발하는 갈대? 억새? (제가 이걸 구별못해요)도 아름답습니다.
세상에 보이는 사물이 이렇듯 아름답게 보이는 것도 사진찍기 시작하면서 생긴 개인적 변화 같아요.
안녕하세요~
제목에 놀라 들어왔다가
두루두루 귀경 잘 했어요.고마워요.
더욱이나 자연의 모습을 올리신 것은 제맘에 쏙 들어요 ㅎㅎ
참조:
갈대와 억새는 모습이 비슷해 보이지만
제일 간단한 구별방법은
갈대: 물가에 있는것....즉, 습지나 갯가, 호수주변모래땅
억새: 육지에 있는 것...즉, 산과 들
저도 이곳에서 갈대와 억새를 혼동하여 말하니까
전문가친구가 개인적으로 과외공부시켜준 여러 내용중에서
제일 간단한 방법으로 저스스로 터득한 것이에요.^^
그 담부터는 잘 구별해요 ㅎㅎㅎ
지금 막 뿌나를 보고 컴퓨터 앞에 왔어요
세종 이도를 중심으로 얽히고 설킨 스토리에 1시간도 짧더군요.
픽션이 가미된 것을 감안한다해도 한글이 이토록 어렵게 창시되었구나 싶은 것이
5000년 역사에 가장 위대한 분이라 생각합니다.
갈대 억새의 구분 설명을 듣고 보니
언젠가 누군가가 이야기 해주었는데 잊어버렸었나봐요.
이렇게 이해를 하고도 또 잊어버릴 것같아요.
자전거 배울 때 오른쪽 기어는 감속, 왼쪽 기어는 정지를 못외워 절절매었으니까요.
선생님이 감속! 하고 지시했는데 왼쪽 기어를 사용하고
좌우간 거꾸로 하는 통에 애 먹었어요
그래서 컴퓨터 앞에서 왼정, 오감 이렇게 써두었다니깐요.
저 위에 올린 것은 인천대공원 육지에 있었으니 억새이군요.
갈물, 억육 이렇게 외우다가
분명 내년에는 갈육, 억물 이럴것이 분명해요
잘 계시죠?
드디어 정기준과 세종대왕이 어제 정식으로 상면하는 스릴 만점 장면이 나왔습니다.
섬세하게 계산되고 짜여진 화면분할로 장면장면마다 시종일관 눈동자를 굴리며
배우들의 손짓발짓 하나하나 놓치기가 아까운 명장면들이더군요.
정기준을 맡은 배우는 무척 돋보이는 연기를 보여준다 생각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스마트폰 광고에까지 나오는 것을 보면
시청자들 눈은 같은가 봅니다.
오랜세월 연극무대에서 잘 훈련된 배우라고 합니다
정기준의 이상은 처음부터 한계를 드러낸 것으로
이도가 승자가 될 수밖에 없겠더군요.
이제 드라마는 후반을 향해 가는데
정기준과 이도의 팽팽한 싸움의 결과는 이미 끝 난 것같고
드라마 표현대로라면
윗것들을 지지고 복고
이러고 저러고간에
똘복이와 담이가 오손도손 자식 낳고 살아가는 것으로
끝이나면 좋겠어요
몇장 더 올릴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