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틈에 돌돌 솟는 샘물처럼 차가운 계절
겨울 속으로 바람이 불어 옵니다.
12월 입니다

오늘은 하늘이 종일을 흐리더니 종내는 비까지 오시네요


이런 날이면 옛날 신포동 거리에 있던 "짐"다방이 생각납니다.
아무런 약속이 없어도 지나다 들르면,
꼭 한 두명 반가운 얼굴이 있고,
가벼운 클라식 음악이 있고
향기로운 커피 냄새가 있어 좋은 곳이었지요.

집에 축음기 시설이 귀하던 시절,
음악 다방은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습니다.
D.J는 신기하게도 우리의 신청곡을 기억하고는 반갑다는 듯 청하지 않아도 들려주었습니다.
정말로 커피 한잔을 시켜 놓고 하루를 죽치고 있던 시절입니다.

 

그 시절
그곳에서 자주 만나던 동생들이 있었습니다.
친구의 동생들이라 참 편했습니다.
2살 아래였는데 "누나" "누나"하고 무조건 따랐지요.
여동생만 잔뜩 있는 나는 그 동생들이 무척 대견했습니다.
그 때, 그네들은 혈기가 왕성해 데모에 열심이었고 군대도 가야 할 입장이라

무언가 쫓기는 듯 앞날이 불안한 시절이었습니다.
옷도 맨날  군복을 까맣게 물들여 입은 그런 차림이었지요.


"유신시절"이었던 우리의 대학 시절은 하루도 편한 날이 없었습니다.
데모에 대학 생활이  지났으니까요.
손에 횃불을 들고 머리에 빨간띠를 두루고 일사분란하게 구호를 외치며 행진하는 데모대와 마주치는 날이면
그날은 만사 재치고 골목으로 골목으로 숨어서 집으로 돌아오고는 했지요.
그 동생들은 의리상 그 행렬에 참가하기도 하고 더러는 잡혀가기도 하면서
그렇게 자기네들이 아니면 지구가 무너지기라도 하는 듯
세상 근심 걱정은 다 안고 사는 열혈남들이었으니
어쩌다 보이지 않으면 "또 잡혀간 것이 아닐까" 해서 우리의 속을 태우곤 했습니다.
정작 부모님에게는 태산같은 걱정만을 안겨드린 사실은 외면한 채로 말입니다.

돌이켜 보면 그 아이들은 우리들의 "작은 영웅"이었습니다.
위기의 시대에
일신의 영달에 연연하지 않고 기꺼이 나라를 위해 한몸 불사르겠다는 의지와 투지가 대단했으니까요.
감히 불심검문에 한번도 걸려 보지 못 한 우리네와는 차원이 달랐으니
어울려 다니며 그런 류의 이야기를 함께 할 수 있는것만으로도 나는 우쭐했습니다.
겉으로는 "하지 마" 하면서도 속으로는 "남자라면 당연히 해야지"라고 부추킨 것은 아니었을까요? 

만나면 허물이 없으니까 주로 신포 시장 안에 있는 우동집에서 우동에 소주 한잔이었습니다.
그 우동집은 "신신옥"으로 튀김 우동으로 유명했는데
돈이 궁한 학생들에게는 딱 맞는 집이었지요.

그곳에서 먹다가 발동이 걸리면
그 골목에 있는 서서 먹는 막걸리집 "백항아리"집으로 옮기곤 했는데
그 날은 무슨 큰 시국 사건이 터져 뒤숭숭하던 참에
무슨 치기가 났는지
누군가의 제안으로, 그 근처 유명한 무당집으로 점을 보러 갔습니다.
난생 처음 가게 된 무당집이라 좀 무섭기도 했습니다.

여자는 나 하나에 남자 세명이 몰려 갔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얼굴을 찬찬히 뜯어 보던 할머니가 다짜고짜 하시는 말씀이
나와 한 아이를 가리키면서 "둘이 무조건 살아. 너무 잘 맞아" 하는 것이 아닌가요?
내 눈에 너무 어린 아이인데 배필로 삼으라니...
우리는 그 날 배를 잡고 웃었습니다.
엉터리라고 하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그 이야기를 듣고 난 후, 어쩐지 우리 둘 사이가 이유도 없이 어색해지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까불던 그 아이도 자꾸만 이상해지고....
당연히 그 후로 "짐"다방은 피해 다녔습니다.
반대로 그 아이는 나를 찾아 다니고, 만나면 떼쓰고 싸우기를 반복 하다가 결국은 쫓기듯 군에 입대를 해 버리고 말았습니다.
그 아이가 가 버린 후,
한동안 "짐" 다방에 가면 만날까 두려웠던 그 아이가 얼마나 보고싶은지
함께 즐겨 듣던 "왕궁의 불꽃 놀이"에 눈물을 쏟기도  했습니다.
왜 좋아하면서도 싫다고 그렇게 모질게 뿌리쳤을까요?
지금 돌이켜 보면, 참으로 순수했던 시절이었습니다.
현재는 모 방송국에 근무하고 있다고요.
그 아이도 내 소식을 어디에선가 듣고는 가끔은 나처럼 그 시절을 그리워할까요?

 

"짐" 다방,
그 신포동 거리를 걷노라면 지금도 생각이 납니다.
음악광도 아닌 내가 그 다방을 잊지 못 하는 것은 그 곳에 두고온 추억이 있기 때문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