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의 주제련가? 맑고 고운 산!~~~'

 

 그리운 금강산 이라는이 노래는 우리 나라 사람들이 애창하는 노래중 단연 수위에 점하고 있을텐데

인천 출신 작곡가 최영섭 누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어느날  아주 곱게 늙으신 송 할머님 께서

우리 사랑방을 둘러 주 셨습니다.

한손엔 빽

또 한손엔 신포시장에서 사오신다는 마른 생선을 담은 검은 비닐 봉투

일주 에 두번씩 오류동에서 인천을전철을 타고  내려 오신답니다.

월요일은 박정희 할머니의 수채화 교실

수요일은 신포시장 나들이~~

 

전에도 가끔 유순애 어머님 께서 하시는 수채화 교실에서 종종 뵌적이 있는데

 80이 훨씬 넘은 연세에도 정정히 그림 그리러 다니신다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수채화 교실에선 할머님을 송할머니또는 송사모님 이라고 호칭합니다.

원래 성씨는 최가이신데 남편분께서 이미 작고 하셨지만

인하대에서 교수로 봉직하신  송교수님 사모님이라

그렇게 호칭 된다고 합니다.

 

할머니는 인천 영화 보통학교를 나오시고 일찌기 개화된 집안 덕분에 이화학당으로 유학가서 학업을 마치셨답니다.

이화여전에 들어가 계속 학업에 몰두 하시고 싶으셨지만

그해에 이화여전이 없어지는  바람에

집안에서 송교수님과 혼인을 시키셨답니다.

지금은 아들 며느리 내외와 손주들과 다복한 노년을 보내시고 계십니다.

 

연전에 박정희 할머니 수채화 교실에서 뵈올적에

얼마나 그림을 열심히 그리시며

즐겁게 붓놀림을 하시는지 콧노래로 흥얼거리시다 신나시면 춤까지 추시며

주위 분들까지 즐겁게 그림 그리게 해주시는 것을 뵌적이 있습니다.

명절 때면 원색의 고운 한복도 입고 출석하시고

그림역시 오페라색(아주 고운 촌핑크색이라 해야될것 같습니다)과 고운 연두빛이 조화를 이루어

어찌 보면 유치 찬란하게 보이기도 하지만 아주 고운 그림에서

할머니의 변치 않는 고운 동심과 순수한 심성을 읽을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인지

할머니는 정정하시고 고우십니다.

심상이 편하신것이 몸으로도 나타나는것 같습니다.

 

이즈음 연배가 같은

우리 어머니는 거동을 못하시며 병석에 누워계신데

송할머니를 뵈니 부럽기 짝이 없습니다.

 

송할머니 연세는 올해 86세~~

여전히 수채화 교실에 개근 하시며

성실성과 근면성을 과시 하시는데

 출석하는 수채화 교실에 박정희 할머니는 88세~~

아직도 그림에 전념하시며 후학을 양성하시는 현역이시며

독서와 신앙  생활에 열심이십니다.

 

두분은 변치 않는 우정을 80이 넘게 꾸준히 곱게 간직하고 계시는 친구분 이시라네요.

 

우리도 할머니들 처럼 곱게 정정히

그리고 인생을 즐거운 낙원 처럼 누리며 살수 있을까요?

 

닮고 싶은 할머님 들 이십니다.

 

송할머니 박정희 할머니

99 88 234 (99세 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2,3일만 아프다 죽자.)입니다.

 

오래 오래 우리곁에서 행복한 노년을 보내 주세요.daniel 054.jpg

 

 < 박정희 할머니 화실에서....>

 

 

daniel 057.jpg

 

<유순애 교수 어머니 화가 박정희 할머니>

 

friend2 027.jpg

 

<작곡가 최영섭님 누님>

 

friend2 028.jpg

 

<일주일에 두번은 꼭 인천에 오신다닌 송할머니>

 

daniel 045.jpg

 

<오전에 두시간 꼭 독서하신다는 박 정희 할머니>

 

 

friend2 026.jpg

 

<사랑방 나서기 전 한 포즈 취해 주신 송할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