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영실 총장의 ESSAY중 ~~ )

 

 

 '아침 6시에 일어나기'. 중학교 2학년때 할아버지가 돌아 가시기 사흘 전 손가락을 걸며 한 약속이다.

그 후 특별한 날을 제외하고 꾸준히 지켜온 기상시간을 30분 앞당기게 만든 건 박새들이였다.

 작년여름 아는 분께 커다란 돌확을 하나 얻어 물을 담아 옥잠화를 띄워 놓았다.

다음날 새벽"치, 치이,치~~'소리에 놀라 잠을 깼다.도둑고양이가 쥐를 덮쳤나 싶어 마당에 나가 보니

박새무리가 돌확에 걸터 앉아 물을 마시고 있었다. 어릴적 흔하디 흔하게 보던 참새들도 보기 힘들게 되었는데

참새보다도 더 작은 새들이 겁도 없이 집단으로 날아 와 물을 마시다니...

 반갑고 신기하여 그때부터 박새 우는 소리가나면 얼른 나와 물먹는 모습을 구경하다 다먹고 나면

바가지로 돌확에 고인물을 퍼내고 새 물로 갈아주었다.여름에는 정확히 5시30분이면 우르르 몰려오던

녀석들이 달력을 볼리도 없건만 용케도 추분이 지나고 해뜨는 시간이 늦어지니 방문 시간도 늦어지기 시작한다.

요즘은 거의 7시나 돼야 나타나 물 먹는 대신 감나무에 매달린 감으로 아침식사를 하고 간다.

 먹는요령을 보니 정확히 잘 익은 감을 골라 댓마리가 감꼭지 반대부분 또는 중간부터 쪼아 먹는 데,

박새일가가 감 한개를 일주일 이상 먹는 것같았다.익은 감이 여러 개 달렸어도 집중적으로 한 개를 다 먹고

그 다음 감으로 옮겨 가는 식으로 알뜰하게 먹어서  다 먹고 난 감은 마치 바람 빠진 풍선처럼 꼭지에

빈 껍질이 축 늘어져 있다

 추운 겨울을 이겨내기 위해 최대한 에너지를 쓰지 않으려고 잎을 다 떨군 채 앙상한 가지에 감을 달고 서서

박새에게 먹이는 감나무. 다 뽑아야 한줌도 죄지 않을 털을 달고 겨울을 나는 작은 새 여러마리가 일주일 내내

감 하나를 쪼아 먹는 모습을 보며 사람으로 사는 게 왠지 죄스러운  생각이 들었다.

 그 죄스러움은 우선 춥다고 걸치고 나간 점퍼부터 시작된다.

우리 인간과 같은 멀쩡한 생명체 오리 스무마리의 털을 뽑아 속을 채운 옷, 생각없이 습관적으로 높인 보일러

난방온도, 먼길 탄소 배출하며 건너와 아침 식탁에 오른 수입밀가루로 만든 빵,

비닐하우스에서 난방을 하여 키운 오이, 딸기, 그를 쌌던 자연계에서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스티로폼 포장재,

샤워꼭지에서 쏟아지는 물, 헤어드라이어로 머리를 말리고, 혼자 타고 가는 승용차, 일하기 편하라고

미리 부팅시켜 놓은 컴퓨터, 내가 좋아하는 카페라테 테이크아웃 일회용잔,

무심코 뽑아 쓰는 티슈.... 끝도 없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