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 雪
千 山 鳥 飛 絶
萬 徑 人 踪 滅
孤 舟 蓑 笠 翁
獨 釣 寒 江 雪
(뜻풀이)
모든 산에 새들도 날지 않고
모든 길에 사람 자취 없네
외로운 배엔 도롱이 입고 삿갓 쓴 노인이
눈 내리는 차가운 강에서 홀로 낚시하네
柳 宗 元
2009.03.14 14:46:02 (*.16.127.122)
2009.03.14 15:19:58 (*.79.20.43)
2009.03.18 23:46:38 (*.219.253.233)
2009.03.22 16:17:02 (*.79.20.43)
2009.03.22 18:52:07 (*.16.127.122)
2009.03.20 23:24:04 (*.16.127.122)
2009.03.21 21:15:27 (*.70.146.35)
Copyright ⓒ 2003 - 2014 inil.or.kr.All rights reserved
관리책임자 : 정보위원회 / kmoon3407@koreapost.go.kr
① 古詩 : 句數에 제한이 없고 一句 중의 字數의 제한도 없으며, 近體詩와 같은 平仄의 규칙도 없다. 오직 句末에 韻을 다는 제약이 있을 뿐이나 그것도 한 수의 시 중에서 換韻할 수 있다.
※ 近體詩 - 중국 고체시에 맞서는 개념의 시체, 음절의 억양에 따른 배열법이나 대구 등 구성법에 일정한 규칙이 있는 서체이다.
② 絶句 : 한 首가 起, 承, 轉, 結句의 四句로 형성되는데, 一句의 字數가 五字, 七字인가에 따라 각기 五言絶句 七言絶句로 구분된다. 押韻法은 오언절구의 경우 제2구, 4구의 句末에 달고, 칠언절구는 제1구, 2구, 4구의 句末에 단다.
※ 押韻法 - 일정한 구의 끝자리에 같은 계열의 문자로 운을 맞추는 것을 말함(예.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풀가에 웃음짓는 샘물같이 )
③ 律詩 : 한 首가 八句로 형성되며, 일구의 자수가 오언 칠언에 따라 각기 오언율시, 칠언율시로 구분되는 것은 절구와 같다. 押韻은 제1구와 偶數째의 句末에 단다. 또 律詩는 2구씩을 합하여 1聯이라 부르는데, 제1구와 2구를 首聯, 3구와 4구를 ?聯, 5구와 6구를 頸聯, 7구와 8구를 尾聯이라 부른다. 그 가운데 ?聯과 頸聯은 상호 對句를 이루는 것이 원칙이다.
④ 排律 : 律詩는 8구로 되는데, 排律은 이것을 더 길게 늘린 것을 말한다. 平仄의 원칙이 있고, 韻은 제 1구와 우수째의 구말에 달며, 최초의 2구와 최종의 2구를 제하고는 每聯이 모두 對를 이룬다.??
그러니까 위에 시는 오언 절구(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