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을 같이 하며  친구가 하는 얘기가

얼마전    작년에  산 아들의  新車를 타고 나갔다가  1.5초간의 부주의로 삼중 추돌 사고를 냈대.
천만다행으로   사람은 안 다치고, 앞차와 앞차의 앞차를 우그러뜨려서
수리 비용이 만만찮게 나올테지만 보험으로 해결되니 일단 접어 두고,
보험 수가가 올라가는 건 헐 수 없다 치고,
놀랜 가슴이야 내 혼자 문제니 참고 시간가면 나아질테지만,
제일 난감하고 아득한 게
아들한테 이 일을  우째 털어놓나 ~

저녁에 들어 온 아들에게
' 저기 ~    내가  오늘 ~   '    더듬 더듬
옆에 있던 남편이 말을 거들어서
차량 세대가 우그러지기만 했지 사람은 안 다쳤는데 그래도 구급차 불러
병원에 가 진찰 받게 하고, 경찰도 현장에 부르고, 보험 회사에 연락 조치했다고.
다 듣고 난 아들이
' 휴 ~  다행이예요.   다친 사람 없으면 됐어요.   내차는 나중에 고치지요 '
우그러진 차를 보면 속도 상하고 원망도 하고 싶을텐데
그렇게 말해 주니 얼마나 고맙고 미안한지 모르겠더라고.

그 얘기를 들으며
난 남편에게서 들은 케케묵은 오래전 얘기가 생각났다.

학교를 마치고 늦은 나이에 군대를 갔다대.
하필이면 제대한 때가 우리 큰시숙이 사업을 하다 부도를 낸 때였다나.
부도를 낸 사람은 어디로 피하기도 했거니와  돈 나올 구멍 없는 사람은
찾아 봤자 소용없다 생각한    빚쟁이들이 우리 시부모님 집으로 쳐들어와
생떼를 쓰고 안방을 차지하고 있었다는데 (결국 우리 시어머니가 그 뒷정리를 거즈반 다 해줬대)
그 와중에 군대 제대해 온 차남.   그러니까  우리 남편
이미 제대 앞두고 취직해서 바로 서울 올라가야 하는데 그 난리 속이니
돈을 달라 할 수가 있겠어.
부산발 서울행 통일호 기차표 한장 사고,  겨우 겨우 한달간 버틸 돈만 마련해서 올라 왔다데.

첫달 월급 탄 거 부터 생활비만 쓰고
어머니한테 보내며,
'엄니가 모아서 몫돈 만들어 장가 밑천 해 주세요.'  했대.  요새 애들이야 상상도 못하지만
그땐  거의 다 그랬어.   직장 다니는 자식들이 엄마한테 봉투째 갖다 주고 용돈 타 쓰고,
엄마들은 그걸 여득천금으로 모으고,  또  그걸 큰 효도라고 생각하던 때였잖아.

울 엄니도 객지에서 버는 피 같은  ' 아들돈 ' 을 한푼도 축내지 않고
꼬박 꼬박 적금도 들고 곗돈도 붓고해서 삼년간 알토란 같이 모아 오백만원 만들었대.
(그때 구반포 주공아파트 한채가 천만원전후 할 때에)

이자 받는 맛이 쏠쏠해서 믿거라 했던 
친한 친구에게 맡긴게 화근
홀랑 떼어먹혔다.

앓고 누우셨다는 연락을 받고 내려간 아들에게
다 돌아가실 지경이 된 목소리로 털어 놓은
눈물 콧물 닦은 무명쪼가리 같은 이바구를 
참을성있게  다 듣고 난 아들

"그냥 다 잊어 버리세요.   별 도리가 없잖아요 .  그러다 돌아가시겠어요 ".
" 돈이 아무리 중해도 엄니 만큼이야 중허것소 " 

말은 그렇게 해도 그 쓰라린 속마음이야  오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