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만에
인일여고에 있는 원형교사에서 공부를 하게 되니
새삼 인천여중에 들어오기 위해 선발고사를 보던 까마득한 옛일이 엊그제인양 떠오릅니다.
바로 이 원형 교사에서 시험을 치루었지요.
창가밖을 보니 옹기종기 서성이는 학부형들 사이로 우리 엄마도 거기에 있었습니다.
우리 학년은 좀 특이해서
대통령의 영애가 같은 동급생이라는 이유에서인지
입시 행정이 갑자기 바뀌어
국어나 산수만 시험을 보고
실기로는 체육만 치루게 되었지요.
다른 학년보다는 훨씬 공부하기가 수월한 해였고,
그래서 시험도 비교적 쉽게 출제가 되었는지,
다 풀고 난 나는 따뜻한 햇볕에 노곤해 꼬박꼬박 졸았던 모양입니다.
다 치루고 나온 나를 붙들고
엄마의 격정이 쏟아졌습니다.
시험 보는 아이들 중 졸고있는 아이는 너 뿐이라고요.

바로 그 원형교사에서 하는 컴교실이니, 감회가 남다른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리고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 라고 했듯이
40여년전이나 지금이나 변한 것이라고는 별로 없습니다.
건물이 낡았듯이 사람도 따라서 낡았을 뿐인가요?

공부만 하면 머리가 아파오고
머리가 아프면 귀찮아져
졸음이 쏟아지는 것이 어쩌면 이리도 꼭 같을까요?


                                              동화처럼
                                              분홍색 커텐을 살짝 들치면
                                              순수하고
                                              아름다웠던
                                              우리들의 소녀시절이 있습니다.

                                              되돌아 갈 수 없는
                                             그 시절이
                                             문득
                                             그리워져
                                             분홍색 빛을 따라 갔더니

                                             그때
                                             아련한 꿈결 같았던
                                             아카시아 동산에서의
                                             우리의 인연은
                                             참으로 빛나는 무지개빛이었습니다

                                             철이 없으면 없는 대로
                                             어려우면 어려운 대로
                                             순수하고저 했던
                                             未完의 場

                                             돌고 돌아
                                             어떻게 가면
                                             그리웠던 그 길에 들어 설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