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아니 인일은 내게 언제나 흡수되지 못하는 존재였다. 난 인천 아이가 아닌 김포아이였다. 그도 그럴 것이 나는 인천에 육 개월 정도 살았고 인천을 떠나 서울로 가 통학을 했다. 고3 때는 이모네서 학교를 다녔고 대학은 서울로 갔다.

 김포 촌아이가 처음 인일여고 입학 했을 때 동계진학을 한 인천 아이들은 내 눈에 무척이나 커보였고 여유로웠으며 모두 다 똑똑하고 공부들도 잘하는 것 같았다. 나는 언제나 타교생이었다.

서울로 갔을 때 서울 아이들에게는 당당하다가도 인천아이들에게는 주눅이 들었다. 인천 아이들이 기차 통학하는 것조차 좋아 뵈고 부러웠다. 인천 아이들이 초등학교와 중학교 이야기를 할 때면 나는 늘 이방인이었다.

처음 동창회 홈피가 생겼을 때 얼마나 열심히 들락거리며 글을 쓰며 댓글을 달고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내 생활이 마비될 정도였다. 사이버 속에서는 거리가 없었다. 미국이나 캐나다나 서울이나 인천이나 똑같았다. 그때 잠시 나는 인천아이가 되는 것 같았다.

 그러나 내 마음 깊숙이 차지하고 있는 인천 아이들에 대한 열등의식은 사라지지 않았다. 십대 때 타교생이며 이방인이었던 그 열등감은 화인처럼 내 가슴속에 찍혀있었다.

내가 오랫동안 쓴 작품들 중 일부를 책으로 묶었다. 내 책을 본 동기 유지인이 가장 먼저 내 책에 대한 평을 해 주었다. ‘파국으로 치닫는 결말의 순간에도 사랑과 이해의 실마리를 놓아버리지 말아야 하는, 그러기 위해서는 강추위 속에서도 살아남는 바위취의 강인함과 끈질긴 생명력을 배워야 한다는’ 평을 평론가보다 더 평을 잘 했다.

오늘 여고동창 몇몇이서 모여 점심 먹고 내 책을 주기로 했다. 거기에 선배 동문들이 오셔서 축하해 주고, 인천에서도 동창들이 달려와 축하해 주었다. 동기 민정숙이는 프랭카드도 만들어 가져와 걸어주었다. 오늘 나는 비로소 인천 아이들 속에서도 내가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뻤다. 40년이 지난 이제야 나는 인천 아이가 될 수 있었다.

 내 작품 속에는 젊은 날 내가 그리워하고 갈망하던 인천에 대한 정서가 인천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보다 더 짙게 흐른다. 11편 중 6편의 배경이 인천이다. 배다리가 나오고 주안과 월미도 자유공원 신포시장이 나오고 강화도가 나온다. 그곳에서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춥고 배고프던 시절의 아픔이 추억과 그리움으로 되살아난다.

<소설을 읽고 이렇게 행복한 게 처음인 것 같다>는 대학 선배님 말씀과 <수상한 시절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소설을 써 주어서 고맙다>는 어떤 시인의 메시지도 받았다. <그때는 고통이었으나 지금은 그리움으로 다가와 고개를 주억거리며 책장을 넘기는 손길을 바쁘게 만>들었다는 지인이의 평까지 내게는 모두 다 큰 격려다

 오늘 참석해 주신 선배님과 동기 친구들에게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