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야(宗谷)곶, 그 짙푸른 바다

                                                                                                                                                        박 찬 정


  이른 아침인데도 도쿄의 공기는 후끈하다.

하네다 공항으로 가는 모노레일은 도쿄의 빌딩사이를 지나며 일터로 가는 사람들을 내려놓는다.

차안이 헐거워지고 나서야 하네다 공항 에 도착했다.

장마 끝에 찾아온 더위를 피해 도심을 떠나는 인파로 공항 안은 혼잡하다.

와카나이 여행을 같이 할 일행은 네 명이다. 지난 해 가을 계획했고, 올 2월 다시 만나 일정을 의논했었다.

일본인 세 명과 한국인 한 명, 국적과 관계없이 우린 오래된 친구다.

여행일정과 예약은 자국민 세 명이 의논하여 정했다. 렌트카 운전은 세 명이 교대로 하루씩 맡았고,

나도 그 무게만큼의 임무를 맡았다.

신세를 지는 것도 과중한 부담을 떠안는 것도 불편해 하는 국민성대로 네 명의 의무와 권리는 쏠림 없이 나뉘어졌다.

북위45도에 걸려 있는 일본 최북단 와카나이는 오오츠크해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때문에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는 시기가 연중 서너 달 밖에 되지 않는다.

우리가 도착한 날 소야곶의 기온은 영상 11도였지만 휘몰아치는 바람으로 준비해 간 옷을 다 껴입고도

이가 딱딱 부딪치게 추웠다.

튀김우동으로 점심 요기를 하고 찾아간 곳이 소야(宗谷)곶이다.

일행 세 명은 지리 교과서에서 배운 대로 자국 영토 최북단으로만 지명을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내가 기억하는 소야곶은 그런 지리적 지명만이 아니다.

1983년 소련 요격기의 포격을 맞고 격침된 KAL기 사고를 떠올리게 하는 곳이다.

그때 와카나이에 사고 대책본부가 차려졌고, 유족을 태운 훼리가 소야해협으로 갔었다.

소야곶 바닷가에는 일본 최북단의 땅을 표시한 탑이 있다. 바다 건너로 사할린 섬이 보인다.

땅 끝에 발 딛은 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줄서서 기다리고 있지만 나는 꼭 가보아야 할 곳을 정해 놓아 마음이 바쁘다.

언덕 위 소야공원에 하늘로 날아오르려고 날개를 편 종이학 형상의 탑이 있다.

세계 평화 기원의 탑이며 KAL기 희생자 추모비다. 학이 바라보는 방향은 조국 땅 한국이라고 씌어 있다.

산산조각 난 비행기 잔해와 함께 찬 바다에 곤두박질쳐진 억울한 죽음을 위로했다.

그리고 평화를 기원하는 간절한 마음이 하늘에 닿기 바라며 두 손 모아 종의 줄을 힘껏 당겼다.

가족조차 쉽게 올 수 없는 멀고 고적한 곳. 여행 중에 잠깐 서성이다 가지만 이곳에 와야 하는 이유다.

빼곡히 새겨진 269명 희생자 명단에는 내가 알고 있는 이름이 있다.

그는 미국에 이민간지 9년 만에 첫 고국 방문길이었다. 아버지 장례에 못 온 그는 한 달이 지나

겨우 시간을 내어 오던 길에 사고를 당했다.

이념이니 냉전 시대니 말조차 모르는 그의 노모는 아버지가 아들을 데리고 갔다고 원망 섞인 넋두리를 했다.

약소한 나라 우리 국민은 울분과 비통한 마음으로 애도했다. 희생자 유족들을 태운 배가 사고 유역을 선회하며 짙푸른 바다에 흰 꽃다발을 던지고, ‘잘 가라’ 울부짖는 모습은 온 국민을 울렸다.

그리고 34년이 지나 그 해협을 바라본다.

우리와 이념의 각을 세웠던 소련은 수교국이 되었다.

소련이 붕괴된 후 대를 이은 러시아와 무역을 하고 자유로이 여행을 한다.

우리 민항기가 러시아 상공을 난다. 세상은 이념보다 이권에 무게를 두고 변화했다.

그때 울분의 통곡을 듣던 소야 해협 짙푸른 바다만이 그 곳에 그대로 있다.

다음날 새벽 카훼리를 타고 야생화의 섬 례분도로 향했다. 거친 바람을 헤치고 가야하는 배는 크다.

무릎 꿇고 앉는 것이 몸에 밴 일본인들도 2등실 다다미 깔린 넓은 객실에 자리 잡고 눕는다.

나도 여권이 들어있어 늘 어깨에 가로질러 메고 다니는 손가방을 머리에 베고 누웠다.

배는 북녘 바다를 헤치고 간다.

례분도 여행은 버스투어다. 배 한척에서 내린 여행객은 버스 네 대 분이다.

섬 안의 관광 코스를 달리하거나 시차를 두어서 혼잡을 피하고 천천히 토산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우리나라 관광지도 그런 제도적 시스템이 마련되면 좋겠다.

섬에는 바람 때문에 큰 나무는 보기 드물다. 제 철 만난 야생화와 키 작은 해당화가 지천으로 피어있다.

카메라에 주워 담는다. 산에 나무가 없으니 목재나 화목도 당연히 귀하고 비싸다.

하지만 살아가는 방법은 있다.

해류를 타고 흘러와 해변에 얹어진 유목을 주어다가 켜서 목재로 쓰거나 방한용 화목으로 쓴다.

러시아에서 흘러온다고 한다.

그것도 자연이 베푸는 혜택이다.

례분도 일주 여행을 마치고 리시리도로 향하는 배에 올랐다.

많은 사람들이 부두에 나와 ‘례분도에 또 오세요’ 플랜카드를 들고 손을 흔들며 환송하고 있다.

율동 퍼포먼스도 벌인다. 하늘길로, 땅길로, 뱃길로 찾아 온 먼 북녘의 섬.

또 다시 올 기약 없는 나는 섬이 시야에서 멀어질 때까지 손을 흔드는 것으로 답례했다.

례분도와 이웃한 리시리도의 지형은 사뭇 다르다.

후지산과 닮은 리시리산이 분화하며 용암이 바다까지 흘러내려 굳었다.

그 바다는 다시마 밭이다. 갈빛 치맛폭 같은 다시마가 물속에서 너울거린다.

물 속 자갈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맑고 깨끗한 바다가 길게 이어진 해변.

그러나 한여름이라도 비키니를 입고 그 바다에 뛰어들 사람은 없다.

오오츠크해로부터 내려오는 차가운 해류가 다시마를 키우고 어패류를 살찌운다.

사람은 자연의 힘에 기대어 살고, 자연은 사람에게 수급의 균형을 맡겼다.

리시리도에서 와카나이로 돌아오는 배 갑판에 서서 검은 바다로 떨어지는 칠월의 일몰을 본다.

소야곶에서 복받친 울분은 야생화의 섬을 돌아보며 차츰 가라앉았고, 남은 상념은 일몰과 함께 바다에 묻었다.

와카나이에서 마지막 저녁이다.

어시장에 딸린 게 요리 식당 예약시간에 맞춰 가는 우리 발걸음은 바쁘다.

고즈넉한 항구 와카나이에 가로등이 켜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