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본 -IMG_2737.jpg


이번 달 18일까지 경복궁 민속박물관 1실 앞에서 인천 노동사에 대한 전시가 있다.

15일부터 20일까지는 경복궁 입장이 무료다.

아침에 우연히 신문을 보고 이 전시가 있다는 걸 알고 가서 봤다.


사본 -사본 -IMG_2733.jpg

사본 -IMG_2734.jpg

사본 -IMG_2727.jpg

사본 -IMG_2728.jpg


동일방직, 대성목재, 이천전기, 부평 공단, 4, 5, 6공단, 화수동, 만수동.......

생각해 보면 내가 살던 그 당시로도 열악했던 송림동에는(난 송림 2동, 3동, 4동에서 살았는데) 황해도에서 피난 오거나 강화, 교동에서 오신 분들이 많았고, 충청도에서(우리 아버지처럼) 오신 분들도 많았고, 대성목재, 동일방직을 다니는 분들이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특히 송림 2동에 살 때는 빈 공터에 어마어마한 통나무들이 쌓여 있어 껍질을 벗기는 모습을 본 적도 있다.

전시회 사진에도 있는데 부두 가까이 바닷물속에 내려놓은 나무 껍질을 벗기느라 많은 아이들이 빠지거나 다쳤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인천은 그 당시 다른 곳에서 온 이들이 이질감없이 이런저런 일에 뛰어들 수 있었던 용광로 같은 곳이었던 것 같다.


우리 집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두 남동생을 돌보느라 결혼도 안 하고 살림만 하던 분이 있었다.

지독하게 작은 집이었는데 부모님은 없었고, 당시 큰 동생이 제고를 다니고 있었다.

나중에 공대를 갔다고 너무 기뻐하며 자랑했는데(그 당시 서울공대는 그냥 공대라 그랬다) 내 어린 마음에도 저 언니는 고생만 하네 이런 생각이 많이 들었고 웬지  마음이 좀 안쓰러웠다.


이총각이란 여성이 있다.

이름이 왜 총각일까?

당연하지, 남동생을 보라고 그런 무지막지한 이름을 지은 것이다.

후남이, 종말이, 끝순이 뭐 그런 거.

언니와 함께 어린 나이에 동일방직에 다니며서 가족을 먹여 살리고 남동생들을 공부시키고.

열삼히 하면 잘 살 줄 알았던 그이가 일과 함게 성장하며 올바른 길을 모색하며 변화해 가는 모습이 거기 설명되어 있다.


사본 -IMG_2786.jpg

IMG_2788.JPG

사본 -IMG_2787.jpg

IMG_2791.JPG


사본 -IMG_2789.jpg


사본 -IMG_2790.jpg


경복궁 중앙박물관 학예사들이 이 프로젝트를 정한 다음 인천에 가서 오랜 시간을 들여 각자 여러가지 일을 하며 늙어간 노동자들을 인터뷰하고, 자료를 모으고 해서 만들어진 전시회다.

사실 그때 노동의 기저에 수많은 여성들이 있었으나 우습게도 자료나 사료는 거의 남성 노동자들의 것이 대부분이다.

학예사들도 그것을 잘 알고 있었고, 그 자체가 또한 사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희생과 노동의 주체였으나 모든 것에서 비껴난 여성의 삶

 

일단 사진~

IMG_2726.JPG

IMG_2732.JPG

IMG_2736.JPG

사본 -IMG_2738.jpg



사본 -IMG_2783.jpg

사본 -IMG_2770.jpg



무슨 식당이라더라? 지금도 있다는데

IMG_2785.JPG




IMG_2793.JPG

사본 -IMG_2739.jpg


당시 공화춘 모형

이 당시 경인 철도를 놓느라고 많은 중국 사람들을 불렀고 꿀리하고 불리던 그 사람들이 자기들의 음식을 해 먹기 위해 밀가루를 들고 다니며 만들었다는 짜장면

우리 어렸을 때  동네에 중국 사람들 많이 살지 않았나?

일년 내내 똑같은 옷을 입었다고 생각하는데.

사본 -IMG_2742.jpg

IMG_2740.JPG

사본 -IMG_2741.jpg


황해 연탄

황해도에서 피난 왔다는 소리지

사본 -IMG_2774.jpg


인천은 다른 해안에 비해 늦게 열린 건데 왜냐하면 너무나 중요한 곳이기 때문이라더군.

한번 열리면 이곳저곳에서 너무나 접근하기 쉬운 곳이라 되도록 오래도록 열리지 않았다더군, 부산이나 군산에 비해.

그리고 사실 인천에 최초로 들어 온 게 참 많다더구먼.


악기가 그렇고, 영화 만드는 일도 염전, 이견은 있지만 커피도

사본 -IMG_2744.jpg


이런 염전 기법은 일본에서 왔다더라.

우리나라 소금은 물을 가마솥에 끓여서 만드는 것이었대

그리고 개발은 염전 땅에서 다 이루어졌다두먼. 그래서 공단이 거의 염전에서

사본 -IMG_2745.jpg



사본 -IMG_2746.jpg



어릴 당시 인천에서 야구는 아주 자연스럽게 볼 수 있고 알 수 있었던 운동이었다.

내가 다닌 서림학교는 야구를 잘 해서 아마 전국 1위를 했을 것이고 카퍼레이드 비슷한 걸 하고 막 박수치고 그랬던 기억이 나는데, 이게 사실인지 내가 책이나 신문을 보고 만든 기억인지 확실히 모르겠다.

얼굴도 기억나는 그 야구선수는 그때 mbc 프로 선수로 갔었던 것 같은데...

중고등학교 때도 라디오를 매달아 놓고 온 식구가 얼마나 고교 야구 중계를 들었는지.

사본 -IMG_2747.jpg




사본 -IMG_2751.jpg


사본 -IMG_2752.jpg




용접공이 입었던 옷

이 옷을 입었던 분의 자식이 이것을 보고 울면서 아버지가 너무 자랑스럽고 고마워요 하고 말하더란다.


사본 -IMG_2792.jpg

사본 -IMG_2777.jpg


전범 기업으로 유명한 미쯔비시 공장에서 만들던 물건들, 군도...

사본 -IMG_2753.jpg



사본 -IMG_2755.jpg


대성목재 나무작업

사본 -IMG_2758.jpg


유리공장 판유리 작업

사본 -IMG_2759.jpg



사본 -IMG_2760.jpg 사본 -IMG_2761.jpg

6.25만 되면 네이버에 뜨는 이 소녀가 있는 곳이 인천이라는;;


수많은 하역노동자들

사본 -IMG_2762.jpg


사본 -IMG_2764.jpg 사본 -IMG_2768.jpg


사용했던 천을 이용해서 이런 포대가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며, 밀가루를 담으며 여기저기에 숨겨오던 이야기며

사본 -IMG_2771.jpg


그 당시는 설탕이 아주 귀한 거라 선물로 쓰였고, 그릇도 반짓고리 등으로 귀하게 쓰였다는이야기

사본 -IMG_2772.jpg




인천의 소성주

병으로 막걸리 병을^^ 만든 적도 있네.

사본 -IMG_2773.jpg 사본 -IMG_2775.jpg 사본 -IMG_2776.jpg



엘지가 가발공장으로 시작한 줄 몰랐어.

이 사진은 가발공장이 아니라 옷 만드는 공장 사진이라는데 아래 락희그룹, 럭키 그룹이란 글씨 보이지?

사본 -IMG_2778.jpg


삼익악기인데 부평에 있었지?

거의 모든 악기 제작소가 인천에 있었다 하더군.

삼익, 영창, 콜트..

사본 -IMG_2779.jpg


여공들은 16세 이상을 뽑았는데 나이를 속이고 들어와 사진에서 보듯 저렇게 어린 여공들도 많았다고 한다.

사본 -IMG_2780.jpg


가발공장 여공들

그 당시는 굉장히 많은 양이 수출되었다고 했다.

사본 -IMG_2781.jpg



이총각의 엄마가 시집 갈 때 쓰라고 만들어 주신 이불이지만, 결혼 안 하고 이렇게 박물관

에 전시


사본 -IMG_2784.jpg


사본 -IMG_2794.jpg



며칠 안 남았네.

시간 되면 가 보시고, 되도록이면 학예연구사 설명을 들어야 해.

그렇지 않으면 잘 모르겠던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