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dc4a151a23a2829546e88e147dffcf7.jpg 5e99bfa360282f03f39b4e2f744c4e02.jpg


얼마 전에 12기 단톡방에 걸음 수와 꽃 사진을 올리며 인순이가 해당화 향기에 대해 말했다.

-해당화 향기가 너무 좋아. 향수로 만들면 좋을 것 같아-

그 이야기를 듣고 해당화 꽃이 너무나 궁금해졌다. 향기도 또한.


인순이가 아름답다면 아름다운 거야.

해당화 나무를 검색해서 구매했다.

크기와 모양을 몰라 대충 여섯 주 정도 신청했는데.

얼마 후에 가야금이 들었나 싶은 상자가 배달되어 왔고, 너무 여러 가지로 된 말라비틀어지고 가느다란 해당화가 내 손에 들어왔다.

오랫동안 내버려 두었는지 뿌리가 완전 바싹 말라 엉켜 있었다.

정성을 다해 땅을 깊이 파고 물을 부어 두었다가 심었다.


그리고 며칠 후 강화 둘레길을 걸으며 해당화를 실컷 보았다.

갯벌과 맞붙어 있는 길에 온통 피어있던 해당화.

그 은은하고 순순한 향기.


그런데 어제 매일 습관처럼 꽃밭(이라기보담은 뭐;; 암튼)을 바라보는데,

그 가느다란 해당화 가지 끝에 앗! 봉오리가 맺혀 있었다.

어머나! 자세히 보니 두 개나.

너는 비료는 안 주고 맨날 바라보기만 하냐? 그래도 난 꽃을 피운다는 듯.

오! 미안해. 고마워~~


심하다 싶을 정도로 꽃이나 나무 이름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나이들수록 식물이 주는 기쁨과 위안이 점점 커진다.

몇 년간 농사랄 것도 없지만 어쨌든 씨를 뿌려 이파리가 나오고 모양을 갖춰가는 것들을 보며 짜릿한 느낌을 경험해 봤다.


식용 식물과 달리 꽃이나 나무는 무용해서 더 좋다.

아니 무용한 건 아니지.

그 아름다운 맵시나 향기.

마치 아기를 보듯 웃음이 절로 나는 꽃의 어여쁨이라니....


우연히 이소영이라는 분의 <식물 산책>이라는 책을 보고, 우연히 이비에스에서 목소리만 들었던 임이랑이라는 분의 <아무튼, 식물>이라는 책을 보았다.


<식물 산책>은 식물 세밀화를(엄밀하게 말하면 보태니컬 아트) 그리는  이소영 작가가

식물을 관찰하고 연구하고 많은 준비를 한 다음 상세하게, 말하자면 식물 해부도를 그리는 과정을 설명한 책이다.


원예학을 전공했고 그림은 그린 적이 없던 사람이었다.

교수의 권유로 그리게 되었는데 그리다 보니 식물이 더 좋아졌고, 자기의 적성과도 맞았고, 그리다 보니 기능도 훌륭해진 것이었다.

그야말로 식물에 대한 존중의 마음을 기반으로 아주 담담하고 겸손하게 자기의 작업을 설명하고 그림을 보여 주며 식물의 세계로 안내한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식물은 자신을 중심으로 주변의 것을 움직이거나 바꾸려 하지 않는다.

자신이 뿌리내린 그 환경에 순응하고 긴 시간 동안 변화하는 주변 환경에 맞춰 스스로

변화한다. 그 변화의 결과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런 식물의 형태를 기록한다는 건 단지 겉모습을 그리는 게 아니라, 종의 역사, 다시 말해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기록하는 일일 것이다.-


1c5c1d6372c26899d91b17b821104c2b.jpg 9bb7da6c70a7d531dcf797954a85d88b.jpg 12ab0b8576bc0e5e83c2dd21dfe5af9a.jpg 0531feafdde08123011db535940dfdd9.jpg 793173b46fae1e45d2db4891bcf089e4.jpg c3a58e533781239277711428959b4227.jpg f6c6ea01633bf6996aa0a6bf5bb17fa2.jpg IMG_3882.JPG IMG_3883.JPG IMG_3884.JPG IMG_3885.JPG IMG_3886.JPG N2U0HSnwnj.png




작가의 말을 붙여 본다.


-식물학자인 교수님이 새로운 종을 발견하셔서 식물세밀화를 요청하셨어요.

저의 식물세밀화가 담긴 논문이 미국학회에 발표되고, 새로운 종에 대한 검증 기간이 끝나고 2년 뒤 속단아재비라는 이름이 붙여졌어요. 이름이 없는 새로운 식물을 제가 기록할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기뻤고, 책임감과 자부심을 가졌어요.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진달래도 처음에는 이름이 없는 식물이었을 텐데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이름이 생긴 것처럼 식물을 알리고, 기록하는 일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 참 의미 있는 것 같아요.”-

 

-식물을 그린다는 것은 참 매력적인 것 같아요. 식물세밀화를 그리고 싶다면 가장 먼저 식물에 대해 잘 알아야 해요. 나에게 맞는 식물도감을 하나 사서 공원이나 식물원 등에서 찾아보고, 관찰해 보는 것도 추천해요. 요즘은 식물원이나 수목원, 평생교육원에서 식물을 그리는 수업이 많아서 참여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은퇴하신 분들이 취미 생활로 가까운 곳에서 찾은 식물, 내가 키우는 식물들을 굳이 식물세밀화처럼 그리지 않더라도 자신만의 시선으로 그림을 그려서 나만의 식물도감으로 기록하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아요. 독립출판물로 출간해도 좋고, 전시회 같은 걸 열어도 좋을 것 같아요. 또한, 식물세밀화가는 죽을 때까지 할 수 있는 일인만큼 열정을 가지고 임하시면 좋을것 같아요. 식물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다면 식물세밀화로서 역량을 키워서 직업으로도 삼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아무튼식물.jpg


<아무튼, 식물>의 작가 임이랑은 어느 시기에 심한 불안 증세에 시달렸다.

심장이 뛰고 땀이 흐르고 사람이 무섭고 숨을 쉴 수 없는 상황이 이어졌다.

상담을 받아 보라는 권유에 긍정하기는 했지만 상담을 위해서는 또 누군가를

 만나야 하기에 그것조차 너무 힘들어 가까이 하지 못했다.

그때 자기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조용히 생장하는 식물을 우연히 몇 개 기르게 되었고, 그 속에서 너무나 큰 위로를 받으며 불안 증세가 완화되어감을 느낀다.

그리고는 <어마어마한 식물과의 삶>이 시작된다.


목소리도 좋은 이분의 팟캐스트(팟빵) 방송이 있다.

책을 읽는 것도 좋지만 팟캐스트 방송 <식물 수다>를 듣는 것도 참 재밌다.

산책할 때 들으면 아주 좋다.

팟빵 앱을 깔고 식물 수다 이렇게 치면 나온다.


호불호가 있지만 ^^  난 참 재밌게 읽었다.

꽃을 좋아하는 우리 친구들은 아마 좋아할 것 같아서 추천해 본다.


-나의 작고 어여쁜 해당화.

시작은 미약하지만......

사본 -IMG_388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