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있는 친구에게 오래간만에 국제전화를 걸어 안부를 물으니 “죽은 사람들과 함께 하는 일이 일상이지 뭐 특별한 게 있겠어.” 라고 한다. 나는 이 친구가 접신이라도 해서 죽은 자의 영혼과 소통을 하나? 순간 당황했고 도대체 무슨 소리인가 의아했다. 친구는 내 당혹감을 간파하고 웃으면서 “우리가 매일 탐색하며 연구하는 대상이 모두 죽은 사람들이잖아.” 라고 한다.

생각해보니 나는 긴긴 세월 이해도 잘 못하고 재미도 없는 죽은 자들의 이야기와 씨름을 해왔다. 그런데 김서령의 <여자전>을 읽으면서 갓 잡아 올린 싱싱한 물고기처럼 생동감이 느껴지는 이야기들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 빼어난 이 이야기꾼이 누구인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칼럼리스트로 활동하며 수백 명을 인터뷰하고 여러 매체에 인터뷰 칼럼을 썼다. 나는 <여자전>을 읽으면서 궁금증이 생겼다. 수백 명을 인터뷰하며 만난 많은 인물들 중에 어떤 기준으로 7명을 엄선했을까? 그리고 인물들의 서술 순서는 어떻게 정했을까?

2007년에 출판된 초판 <여자전>과 2017년에 재판된 <여자전>은 초판과 약간 차이가 있었다.

 

초판의 목차 순서

 

1.내가 살아남아 1미터 농어 잡을 줄 짐작이나 했겠나 - 지리산 빨치산 할머니 고계연

2.왜 살아도 살아도 끝이 안 나노 - 반세기 넘게 홀로 가문을 지켜온 종부 김후웅

3.내 자궁은 뺏겼지만 천하를 얻었소 - 일본군위안부 김수해 할머니

4.죽음의 강 황하를 건너온 소녀 - 중국 팔로군 출신 기공 연구가 윤금선

5.지상에 없는 남자, 그만을 향한 50년 - 한 달의 인연을 영원으로 간직한 최옥분 할머니

6.종횡무민 욕으로 안기부를 제압하다 - 문화판의 걸출한 욕쟁이 할머니 박의순

7.난 기생이다, 황진이다, 혁명적 예술가다 - 황진이보다 더 치열했던 춤꾼 이선옥

8.명성황후의 한을 풀다 - 명성황후의 화신이 된 여자 이영숙

 

재판의 목차 순서

 

1.내가 살아남아 1미터 농어 잡을 줄 짐작이나 했겠나 - 지리산 빨치산 할머니 고계연

2.왜 살아도 살아도 끝이 안나노 - 반세기 넘게 홀로 가문을 지켜온 종부 김후웅

3.내 자궁은 뺏겼지만 천하를 얻었소 - 일본군위안부 김수해 할머니

4.죽음의 강 황하를 건너온 소녀 - 중국 팔로군 출신 기공 연구가 윤금선

5.종횡무민 욕으로 안기부를 제압하다 - 문화판의 걸출한 욕쟁이 할머니 박의순

6.난 기생이다, 황진이다, 혁명적 예술가다 - 황진이보다 더 치열했던 춤꾼 이선옥

7.지상에 없는 남자, 그만을 향한 50년 - 한 달의 인연을 영원으로 간직한 최옥분 할머니

 

 

자세히 보면 재판은 초판의 8번째 인물인 ‘명성황후의 화신이 된 이영숙’을 뺀 7명의 이야기로 엮었다. 또 서술 순서를 조금 바꾸어 초판의 다섯 번째 인물 최옥분의 이야기 ‘지상에 없는 남자, 그만을 향한 50년’을 재판에서는 맨 끝으로 가져갔다.

 

 

궁금증이 하나 더 생겼다. 왜 재판에서는 ‘명성황후의 한을 풀다 - 명성황후의 화신이 된 여자 이영숙’이란 인물을 뺐을까? 또 재판에서는 왜 최옥분의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가져갔을까?

 

작가에게 직접 물어보고 싶었지만 애석하게도 2018년 작고했단다. 내 나름 답을 찾아보려고 했다. 한겨레신문 기자와의 인터뷰한 내용 중에 작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실 <여자전>은 새로 쓴 게 아니고, 2000년대 초 한 시사월간지에 연재했던 인물 인터뷰 중에서 현대사를 관통하는 삶을 겪은 여성 이야기만 따로 묶은 책이어서 별 기대를 하지 않았거든요. 독자들이 ‘서령체’라는 명칭을 만들어줘서 참 기뻐요.”

 

아! “현대사를 관통하는 삶을 겪은 여성 이야기만 따로 묶은 책”이구나.

<여자전> 초판의 부제 ‘한국현대사를 온몸으로 헤쳐 온 여덟 인생’ <여자전> 재판의 부제 ‘한 여자가 한 세상이다’ 그리고 재판의 머리말인 ‘소녀들은 이제 역사가 되었다’에서 나는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나름 이해했다.

 

하지만 왜 재판에서는 ‘이영숙’이란 인물을 빼고 최옥분의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가져갔는지는 알 수가 없었다. 궁금하다. 혹자는 책 한 권 읽으면서 뭔 궁금증이 그리 많으냐고 하겠지만 일종의 직업병이라고나 할까?

 

상식적인 얘기지만 전(傳)은 사마천의 <사기(史記)>의 역사서술 형식인 기전체(紀傳體)에서 시작을 됐다. 여러 인물의 이야기인 <사기> 열전(列傳)의 첫 번째 등장인물은 충절을 지키다가 굶어죽었다는 백이숙제형제이다. 이 첫 번째 열전 속에 사마천은 그의 이상과 심오한 세계관을 투영하고 있다. 사마천의 이 이상과 세계관은 내 인생관에도 큰 울림을 주었다. 너무도 잘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간략히 요약해 보면 악한 자가 부귀영화와 천수를 누리고 정의로운 사람은 재앙을 당하고 비명횡사하는 세상에 사마천은 의구심을 품으며 “天道 是耶非耶! (하늘의 도리가 옳은 것인가? 그른 것인가?”라고 통탄한다. 하지만 세상이 아무리 불편부당하다고 해도 사마천은 “各從其志” 즉 사람마다 각자의 뜻에 따라 살아가야한다고 했다. 나는 한국현대사를 맨몸으로 헤쳐 온 여성 일곱 분의 이야기를 읽으며 역사의 격량 속에서도 “各從其志” 로 살아온 그들의 담대하고도 장엄한 삶에 마음이 숙연해진다.

 

그리고 <여자전>을 쓴 작가 김서령이 품위 있고 격조 높게 삶을 정리하며 이승과 이별 준비를 한 모습을 보면서 우리와 동년배인 그녀가 인생의 스승처럼 다가온다. 그녀가 죽기 20여일 전에 한겨레기자와 인터뷰한 기사를 아래에 링크 걸어 놓을게.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36&aid=0000040496

 

이 인터뷰가 2018년 9월 중순에 이루어졌는데 그녀는 2018년 10월 6일에 이승과 이별을 했네.


주택에서 살면 끝임 없이 손이 갈 일이 매일 매일 기다리고 있다. 집 이곳에서  고장 나고 망가져 수리하면 집 저곳에서 누수가 돼서 누수탐지기 동원해서 틀어막고 물 새듯이 돈도 줄줄 새나간다. 주택에서의 봄은 더욱 분주한다. 그래서 홈피도 한번 못 들러 보고 책 읽을 생각은 못했는데 대전에 사는 (윤)영혜가 지난 토요일 책을 빌려주어서 부지런히 읽었다. 내게는 참 의미 있는 책이었다. 인문학은 물론 사화과학 등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구술사연구에 무심했던 내게 <여자전>은 신선한 충격이다. 이 책을 빌려주며 적극적으로 읽기를 권해 준 영혜에게 고맙다.

 

주택에 살면 나름 좋은 점도 있다.  봄날 화단에 이 꽃 저 꽃 심어보고 뜰 안에서 꽃구경을 하는 즐거움이 있다. 나는 종종 예쁜 꽃 앞에 우리 똥개들을 앉혀놓고 꽃개를 만들어주겠다며 인증샷을 찍자고 강요를 한다.



   억지 춘향이가 되어  마지못해 앉아서 사진을 찍다가


1.jpg




  이렇게 짖는다.

 “꽃개는 개뿔 우리는 태생이 똥개다. 인간아! 우리를 생긴 대로 살게 해다오”

  똥개도 '각종기지'를 외치는 것 같네.   


  2(450x60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