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의 책 <우리가 인생이라고 부르는 것들>  -정재찬-


키케로는 친구인 아티쿠스를 위해 <노년에 대하여>라는 책을 저술했어.


대화형식으로 쓰인 이 책 첫 머리에 노년의 서글픔을 토로하는 스키피오에게 카토는 자기 안에 훌륭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지 않으면 노년이 아니더라도 인생의 모든 시기가 힘겨운 법이라며, 행복의 수단을 자기 안에 가지지 못했기에 사는 게 재미가 없고 불평만 많은 투덜이가 되는 것이라고 일침을 놓는데 그 말이 오래 남더라.


그리스인들이 꼽은 즐거운 삶의 조건은 첫째가 건강, 둘째가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 셋째가 부정하지 않은 방법으로 모은 재산이었다고 하니 옛 사람이나 오늘날 우리나 삶은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우리가 인생이라고 부는 것들>이란 책은 7가지의 테마를 각각 2꼭지로 엮어 모두 14가지 삶에 대한 생각들을 시를 곁들여 조근조근 이야기하는데 시를 읽는 즐거움이 컸단다.


낯 선 시인들의 시가 가슴에 울림을 준 것은 내 삶의 마디마디에도 그 비슷한 기억과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란 생각이 들어.  시를 어렵게 쓰지 않아 더 좋았어.


나를 유쾌하게 했던 시 중의 하나는 임희구 시인이 쓴 <소주 한 병이 공짜>


막 금주를 결심하고 나섰는데

눈 앞에 보이는 것이 

감자탕 드시면 소주 한 병이 공짜란다.

이래도 되는 것인가

삶이 이렇게 난감해도 되는 것인가

날은 또 왜 이리 꾸물거리는가

이렇게 싹둑 베어내도 되는 것인가

짧은 순간 만상이 교차한다.

술을 끊으면 술과 함께 덩달아 

끊어야 할 것들이 한둘이 아니다.

그 한 둘이 어디 그냥 한둘인가

세상에 술을 공짜로 준다는데

모질게 끊어야 할 이유가 도대체 있는가

불혹의 뚝심이 이리도 무거워서야

나는 얕고 얕아서 금방 무너질 것이란 걸

저 감자탕 집이 이 세상이

훤히 날 꿰뚫게 보여줘야 한다.

가자, 호락호락하게....


이 정도면 가히 자기 합리화의 달인이랄 수 있겠으나 나는 이 시인의 얕고 얕음이, 세상에 호락호락함이 참 편하고 좋더라. 이 시인처럼 작심 사흘로 끝나버린 무수한 나의 의지박약에 자책하기 보다 '그래도 괜찮아' 토닥토닥 위로해 주고 싶은 마음이랄까?


세렌디피티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게 읽었어. 관련성을 발견하기 전에는 우연한 사실들의 나열에 불과해 보이지만 관찰을 잘 하면 우연히 얻은 정보들 사이에서 진실이 발견된다는 것!!


그래서 마종하 시인의 <딸을 위한 시>도 뭉클했어


한 시인이 어린 딸에게 말했다.

착한 사람도 공부 잘 하는 사람도 다 말고

관찰을 잘 하는 사람이 되라고.

겨울 창가의 양파는 어떻게 뿌리를 내리며

사람들은 언제 웃고 언제 우는지를

오늘은 학교에 가서

도시락을 안 싸온 아이가 누구인지 살펴서

함께 나누어 먹으라고


1999년 문학동네에 실린 시니까 그 때는 도시락을 싸가던 시절이었어

나를 돌아보니 나는 늘 시선이 나에게 향해 있었던 것 같아. 닫힌 시선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 너무 많아. 그래서 이제라도 관찰을 잘 하는 사람이 되어 보려구.


<내 마음에 별이 뜨지 않는 날들이 참 오래 되었다>는 주용일의 시도 몇 번을 되새김질 하며 읽었어.


나무학교에 나오는

세월은 안으로만 새기고, 생각은 여전히 푸르른 희망으로 가득찬 사람, 그리하여 내년엔 더 울창한 사람으로 나이들어가기를 꿈꾸어 본다.

작가는 그러더라 어른으로 늙는 것이 아니라 어른으로 계속 커가는 사람이 되자고.


8월에 읽을 책은 아직 정하지 못했네.

안산에 사는 명숙이가 지인의 책을 추천(떠난 그대 서랍을 열고, 민혜지음)했는데, 이 책이 도서관에 비치되지 않은 곳이 많아 좀 더 고민해 볼께.


혹 추천할 책 있으면 추천해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