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 졸업 30주년을 계기로 친구들이 만나며 우린 스스로를 돗자리파라 부른 적이 있었지.

어디서든 돗자리만 깔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이야기가 끊이지 않았던.....


어제 줌에서의 독서 모임은 우리가 여전히 돗자리파임을 느끼게 했어.

40분의 시간이 후딱 지나고 다시 재입장하여 이야기를 이어갔지만, 우리들의 이야기를 나누기엔 시간이 너무 짧더라.

이 코로나 정국이 끝나고 다시 마주하여 차 마시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이번에 함께 읽은 책은 최재붕 교수가 쓴 <포노 사피엔스>와 월 듀런트의 <내가 왜 계속 살아야 합니까?> 두 권이었어.


<포노 사피엔스>는 스마트 폰 사용에 대한 나의 좁은 견해를 깨울 뿐 아니라 생각의 기준을 바꾸어야 한다는 작가의 말에 크게 공감하며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데 큰 도움이 되었단다.


4차 혁명 시대가 시작되었다고하지만 그 변화를 막연하게 느끼던 우리가 코로나 19라는 듣도 보도 못한 시간들을 보내며 변할 수 밖에 없었던 환경 속에서 스마트 폰의 영향이란게 얼마나 막강한가를 실감했기에 이 책에 더 공감했던 것 같아.


난 친구들에게 두 가지의 논제를 제안했단다.


첫째, 우리가 스마트 폰을 얼마나 슬기롭게 사용하고 있는지?

둘째, 문명의 표준을 바꾸어야 한다면, 우리가 그에 맞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고 무엇보다 손주들을 돌보는 친구들이 많으니까 우리 손주들의 폰 사용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어떻게 전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각자의 견해였어.


우리 나이 또래에 비해 친구들은 이미 스마트 폰을 스마트하게 사용하고 있더라.

은행업무를 손 안에서 처리하고, 유투브를 통해 정보를 얻거나 신앙생활에 도움을 받고, 음악을 즐기는 등 일상생활에서 이미 그 편리성을 누리고 있더라구.

역시 똘똘한 할머니들이야.


그러면서도 우린 폰 사용에 대한 부정적 걱정으로 손주들에게 어느 나이에, 어느 정도까지 폰 사용을 허락해야 하는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단다.


친구들 이야기를 들어보니 아이들의 폰 사용에 대해서는 젊은 아들, 딸, 며느리가 더 보수적이라는 생각도 들더구나. 친구들은 이 책을 읽고 난 다음 손주들의 폰 사용에 대해 훨씬 너그러워진 것 같아. 그러면서 절제와 가치관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게 말처럼 쉬워야 말이지.....


난 '내 안에 흥선 대원군이 있다'는 말이 재미있었어.

시대의 흐름을 쇄국으로 막아보려 했던 대원군의 결정을 훗날 우리는 어떻게 평가하고 있지?


포노 사피엔스들의 성공사례를 너무 뛰어난 사람들의 예로 든 최재붕 교수로 인해 사람들이 또 다른 환상을 꿈꾸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이젠 재미가 행동의 동력같아.

마지막 학교 근무 때 나에게 신선한 자극을 주었던 젊은 과학선생이 있었어.

게임 마니아이기도 했던 이 선생은 게임을 수업과 매칭해 아이들에게 엄청 인기가 있었어.

그 재미없는 과학을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과목으로 생각을 바꾸게 했어.

이제보니 그 선생님이 포노 사피엔스였나보다.


난 이 책에서 맘에 크게 와 닿았던 것이(윤순이도 같은 생각이었어) '미래 사회의 성공은 소비자의 마음을 얻는 일이다' 라는 점이었어.

BTS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은 아미라는 견고한 팬덤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잖아.


공감과 진정성없이 단지 기술적인 부분만 가지고는 성공할 수 없다는 것!!

그래서 인문학이 필요하다는게야.


우리 아이들에게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힘을 키워준다면 스마트 폰의 사용은 부작용보다 얻는 것이 훨씬 많을 것이란 결론을 얻는다.


내 안의 대원군을 몰아내고 나 역시 폰 사용을 더 슬기롭게 하려고 공부하며 손주들과 그런 이야기를 자주 나눌 수 있는 스마트한 할머니가 되고 싶다.


<내가 왜 계속 살아야 합니까?>를 읽은 친구들의 대부분은 일단 시대배경이 지금과 다르고(1930년대) 번역이 잘못된 것인지, 원래가 그런 것인지 말이 어려워 지루했다는 의견이었어.


나 역시도 이 책을 읽고 난 후 든 생각이 '삶의 이유를 왜 다른 이에게 물어야 할까?' 하는 생각이었어. 그래도 소위 당대의 뛰어난 지성인들의 답변이 궁금하긴 했지만...


월 듀런트는 사람들에게 일곱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했단다.


1. 당신에게 삶은 어떤 의미인지

2. 무엇이 당신을 계속 살아가게 하는지

3. 당신에게 종교가 어떤 도움을 주는지

4. 당신의 영감과 활력은 어디에서 오는지

5. 당신을 노력하게 만드는 목적이나 원동력은 무엇인지

6. 당신은 어디에서 위안과 행복을 구하는지

7. 당신에게 가장 소중한 궁극적 가치는?


난 이 질문을 가끔 우리 자신에게 던져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해. 다만 형이상학이 아닌 실존적 질문으로.....


듀런트는 비어드, 포위스, 모루아 그리고 79206 죄수의 답변이 가장 흥미로웠다고 하더군.

우리 친구들은 3인 여성의 답변에 가장 공감했대.

난 모루아와 네루의 대답이 내 마음과 많이 일치하더라.

재미있는 대답으로는 탐험가인 스테판손이 나를 살아가게 하고 힘을 주는 원동력은 음식이라는 실용적 답변이었어.

또, 버나드 쇼가 '젠장, 내가 어찌 알겠소? 그런 질문에 뭔 의미가 있단 말이요?"라는 답변도.


1930년대 대공황기에 살면서 그들이 말한 삶의 이유와 기쁨, 가치가 대체로 일과 가족, 친지, 자연에서 느끼는 순간적 감동이란 점에서 오늘날 우리와 크게 다를 바 없다는 생각도 해 본다.


삶의 의미가 거창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해. 

그게 뭐가 되었든 어제보다 조금 나은 나로 살아가면서 나로 인해 세상이 조금 더 깨끗해 질 수 있다면.....쓰레기를 덜 만들고 살아야겠다.


이제 달력이 한 장 남았네.

12월에 함께 읽을 책은 한동일 교수가 쓴 <라틴어 수업>을 추천한다.

서강대에서 수업한 내용을 모은 책인데 마음에 울림을 주더라.

첫 강의에 24명이 수강했는데 강의가 소문나면서 200명이 넘는 청강생이 모여들었고 출판 제의를 받아 나오게 된 책이야.

우연히 한동일이란 분의 인터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삶과 글이 일치하는 분이라 더 매력이 가더라.

좋은 책으로 한 해를 훈훈히 마무리 하기를 바라면서 친구들아, 꼭 함께 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