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인천의 가볼 만한 곳을 소개하는 글 중에 성냥박물관을 개관하였다는 글을 읽었다. 그런데 그 곳이 나의 유년시절 앞마당처럼 뛰어 놀던 곳이었다. 금곡시장. 창영동 헌 책방 골목 근처다. 그립고 반가운 마음에 가슴이 뛰었다.



나의 유년 시절은 송림동 204번지로 시작하여 204번지로 끝났다.

지금은 모두 헐려 도시 공원이 되어 그 흔적도 찾을 수 없지만 좀 더 오르면 달동네 박물관이 있는 곳이다. 큰 도로에서 동네로 들어가는 입구에 우물이 있었는데 그 우물을 양조장 우물이라 불렀고 6.25 전엔 큰 양조장이 있었던 곳이라 했다. 그 옆엔 천수당이란 한약방이 있었다. 우리 집은 북에서 피난 온 실향민 가족이라 명절엔 딱히 갈만 한 친척집이 없어 설빔을 곱게 차려입고 천수당 담에 기대어 해바라기를 하던 기억이 난다.


204번지는 나지막한 비탈진 긴 골목을 사이에 두고 왼편은 옛 모습의 초가집 으로 오래 전부터 사시던 분들이 그대로 사셨고 오른편은 새로 지은 기와집이 길게 늘어선 동네였다.

6.25 전쟁 시 폭격에 맞아 잿더미가 되었던 곳을 건축업자가 기와집으로 새로 지어 놓은 동네다. 기와집 쪽은 엇비슷하게 이사를 와서 어울려 살던 곳으로 나와 비슷한 또래가 많이 자라나던 곳이다.

 

한 집 한 집 그 곳에 살던 그리운 이들이 떠오른다. 아버지가 동네 반장이셨는데 직장 일로 바쁘실 때면 내가 보조 반장 역할을 하였던 터라 동네 사정을 어린 아이치곤 꽤 많이 알았다.

큰 길에서 골목으로 들어오는 첫 번째 집. 넓고 아름다운 기와집이라 영화 촬영장으로도 쓰였던 경우네. 한밤중까지 대낮같이 불 밝히고 촬영하던 모습이 지금도 생각난다.

그 다음은 나와 같은 학년이고 오래도록 친하게 지냈던 옥자네 집. 우리 집에 자주 드나들던 옥자는 후에 나의 외사촌과 결혼하여 시누이와 올케 사이가 되었다.

굳게 닫힌 철문으로 중간 문까지만 엿볼 수 있었던 철옹성 같았던 큰 기와집, 적십자회비 받으러 갔다가 딱 한번 그 집을 들어가 보았다. 시커먼 세퍼트와 흰 개 여러 마리가 마당에 묶여있었고 높은 담엔 철망이 쳐져있어 감히 근접하기 어려웠던 집이었다. 엄마와 같은 개성이 고향이라며 늘 웃어주시던 아주머니가 계서도 편하지는 않았다.

아버지가 조흥은행장이라 하시고 언니 오빠가 많았던 인자네. 인자의 언니는 아버지께서 직장의 직원을 소개하여 결혼하게 되었고 그 윗집은 양복점집 순덕 언니 네다. 짓궂은 오빠도 있었지. 그 오빠는 나보다 한 살이 위였는데 늘 짓궂게 굴어 내가 한 번도 오빠라 불러 준 적이 없이 이름을 또박또박 불러대곤 했었다. 중학교 다니던 어느 크리스마스 즈음 동생 편으로 직접 그린 크리스마스카드를 한 장 보냈는데 무시할 수 없는 솜씨여서 오래도록 간직했던 기억도 난다. 후에 고등학교 미술 교사가 되었고 그 후엔 버스 사업을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동산학교 선생님 댁인 창수네, 너무나 여리고 착했던 나의 소꿉 친구였던 종식이네. 종식인 그 여린 성품대로 아이들을 치료하는 소아과 의사가 되었고 몇 년 전 저 세상 사람이 되었다.


긴 골목엔 동네 아주머니들이 나무의자를 내어놓고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곤 하셨다. 동산학교 양 선생님은 아주머니 사이를 지나가기가 민망하여 멀리 뒷골목으로 돌아다니셨다고 했다.

방학이 되면 우리 앞집 계단이 무대가 되고 마당의 불빛이 조명이 되어 동네 아이들의 장기자랑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어스름 저녁이면 수도국산, 창영학교, 영화학교, 배다리는 우리들의 안마당이었다. 때로는 멀리 자유공원 맥아더 동상이나 공설 운동장 정문을 찜하고 오는 달리기 대회가 열리기도 하였다.

동네 아이들의 임시 선생님은 주로 우리 아버지셨다. 흑판을 내다 놓기도 하고, 석필로 흙바닥에 써서 셈하기도 시키셨는데 동네 아주머니들은 모두 좋아라 하셨지만 공부가 싫은 아이들은 슬슬 피하기도 하였던 시절이었다.

 

아이들이 자라서 하나 둘 동네를 떠났다. 나도 중학교 입시를 준비해야 할 때가 되어 골목에 나갈 일이 없어졌고 고등학교 때 다른 동네로 이사를 갔다.

내 기억속의 204번지는 주로 기와집 쪽의 추억이다. 상대적으로 가난했던 초가집 쪽은 후에 엄마께 들은 이야기가 많았다. 그 당시 나는 보아도 그것을 느낄 만큼 성숙하지 못했고 내 또래가 아닌 큰 언니 오빠들이 살았기에 관심이 적었다. 그래도 떡을 해서 근근이 살던 떡장수 할머니의 죽음이 생각나고, 배다리에서 대나무 일을 하던 항아 네와 바보 삼촌이 구식 결혼하던 날 기뻐하던 모습이 생각난다.

 

그 후로도 몇 몇 집은 소식을 전하고 대소사도 서로 챙기며 지냈지만 이젠 어디서 어떻게들 사는 지 연락이 끊겼다. 모두 그리운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