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6583.JPG


서양에서는 블루라는 말을 좀 슬픈, 힘든, 우울한 이런 뜻으로 사용하나 보다.

코로나 블루라는 말이 많이 들린다.

요즘 정말 참는 것이 한계에 다달았다는 느낌이 들면서 화가 너무 나고 우울해서 견딜 수가 없었다.

스스로를 위해서도 물론 조심하지만, 대부분 모든 사람들이 남에게 폐 끼치지 않으려고 극심히 조심하며 지내고 있는데.

요즘 상황을 보면 정말 이해할 수가 없고 울화통이 터져 나도 모르게 손에 들고 있던 것을 확 던져버리기도 했다.

그런 행동은 거의 안 하는데 깜짝 놀라 어! 나 이상하다 이런 생각이 들었다.

요즘 확실히 이상하다.


난 모르는 것이 하도 많아서 이 상황이 뭐지? 이걸 어떻게 이해해야 하지? 누가 거짓말을 하는 거지? 어떤 게 진실일까 혼란할 때가 많다.

그럴 때는 어쩔 수 없이 벌거숭이 임금님을 바라보던 어린아이 마음으로 돌아가 벌어진 상황을 가만히 쳐다보며 생각하려고 한다.


거기에 태풍까지 이어지며 여러 사건이 벌어지고 그에 따른 양 극단적인 말들이 아우성을 치니 더 머리가 복잡하다.

사람은 자기의 이익 혹은 관계가 된 일에 객관적이 될 수는 없는 것일까,

아무리 그래도 이건 이상하잖아 하고 갸우뚱해지는 일도 있는데,

다 생각이 다르고 행동도 다르다.

사안에 따라 가족간에도 갈등이 생긴다.


이런 일들이 쌓이고 이어지며 불안을 조성한 것일까?

오늘 아침, 너무 마음이 안정되지가 않았다.

도무지 마음을 부잡을 수가 없었다.

수족이 묶인 것 같은 이런 상황을 언제까지 견뎌야 하나 이런 막막함에

도무지 견딜 수가 없었다.

여행에 관한 영상을 보거나 할 때면 이번 생에 저런 일이 정말 가능하긴 할까 하는 생각에 한숨이 절로 나왔다.


신발끈을 단단히 묶고 서오릉으로 갔다.

서오릉은 소풍 장소이기도 했고, 한동안 그곳과 멀지 않은 곳에 살았기 때문에 자주 간 곳이다.

하지만 늘 스쳐지나고 보고도 잊어버리고, 왕릉 아니 대부분 왕비릉이지만 그 능에 대한

내용을 잘 알지 못했다.


서오릉 둘레길은 둥그렇고 길게 위치해 있는 능 위 산쪽으로 길게 다듬어져 있는 흙길이다.

그다지 높지도 않고 적당히 길어 걷기에 좋은 곳이다.

만 보 정도 거리다.

바람도 시원하고 날도 선선해 땀도 나지 않은 좋은 산책 길에서도 나는 마음이 가라앉지 않아 한숨을 크게 내쉬며 우울한 얼굴로 걸었다.


그곳에는 경릉(추존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 창릉(예종과 두 번째 왕비 안순왕후의 능), 익릉(숙종 첫 번째 왕비 인견왕후의 능), 명릉(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세 번째 왕후 인원왕후의 능), 홍릉(영조의 첫 번째 왕비 정성왕후의 능)과 순창원(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의 원), 수경원(추존 장조(사도세자) 의 생모 영빈 이씨의 원), 그리고 대빈묘(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 장희빈의 묘)가 있다.


전에 왕비들의 수명에 대한 글을 읽고 깜짝 놀랜 적이 있다.

10대(12세나 13세), 20대에 죽은 경우가 너무 많았고, 서른을 넘어 간 사람이 드물었기 때문이다. 장수한 사람도 있었지만.

오늘은 능 몇 개만 자세히 보자 하고 마음먹고 발길 닿는 곳에 있는 것부터 보기 시작하였다.

그렇게 시작했는데 세상에....


창릉의 주인공인 예종은 형이(덕종, 의경세자) 일찍 죽어 19세에 왕위에 올랐는데, 재위 기간이 1년 2개월이다. 즉 20세에(1468년) 죽은 것이다. 그 부인인 인순왕후 한씨는 1498년까지 살았으니 그 당시로선 오래 살았다고 볼 수 있고 연산군 때 대왕대비의 신분으로 죽긴 했지만 참 생각하니 아연했다.

보통 세자빈으로 간택되는 건 일곱 살 정도이다.

정말 이건 무슨 인생인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창릉.jpg 창릉-.JPG


경릉의 주인공인 덕종은 세자로 책봉되긴 했지만 왕위에 오르기 전 20세에(1456년)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 나중에 추존된 것이다.

그럼 그 세자빈으로 책봉된(1455년) 소혜왕후는(나중에 인수대비) 평생을......

이건 또 뭐냐? 

뭐 이런 인생이 있나 이런 생각.....

이 능은 특이한데 덕종은 추존된 왕이고 인수대비는 정식 대비였기 때문에 덕종의 능은 일반 묘의 형태이고, 인수대비의 능은 왕릉의 형태이다.

방향도 바뀌어 있고.

특이하네, 성별보다는 지위였다고?


경릉.jpg

경릉-.JPG 경릉--.JPG

왼쪽이 왕비의 묘고 오른쪽이 왕의 묘다.

높이와 규모가 다르다.




홍릉은 영조의 첫 번째 왕비 정성왕후의 능인데, 평생을 숙종과 경종의 왕비를 극진히 모시며 소생 없이 66세까지 살았단다. 

아니 이건 또 뭐라니.....

게다가 영조는 같이 묻히기로 했는데 그러지 않아서 영조 자리는 비어있고 혼자 있네.

영조는 두 번째 왕비 정순왕후와 동구릉에 있다.


홍릉.jpg 홍릉-.JPG



순창원은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의 원인데(왕과 왕비가 못 되어) 순회세자는 7살에 세자로 책봉되었지만 13세에 세상을 떠났고, 윤씨는 9살에 세자빈이 되었으니 그럼  11살에 혼자가 됐네.

마흔한 살에 가셨으니 이건 또 무슨 인생이란 말이냐.


수경원은 영조의 후궁이자 추존 장조(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의 원이니 말 해 뭐 할까.

1남 5녀를 낳았는데 그 1남이 사도세자인 셈이다.

모진 목숨이라 69세까지 살았으니 당시로서는 장수인데 그게 삶이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대빈묘는 그야말로 누구나 알고 있는 인물인 장희빈의 묘.

세상을 떠나던 나이가 43세였네.

아들인 경종에 의해 옥산부대빈으로 추존되어 그나마 무덤 하나는 갖게 되었네.

여기에선 가장 작고 초라한 능.

에고 부질없다 소리가 절로 나왔다. 


대빈묘.jpg 대빈묘-.JPG


여기까지만 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힘들어져서이다.

일평생 선대조 왕비들을 모시며 후손 없이 혼자 산 왕비의 묘 입구에 세워진 홍살문이라니.

기분이 묘하다.

세자빈, 혹은 왕비.

그들로 인해 그들의 친정집은 권위가 얼만큼 올라갔을까?

성장을 하고 무거운 머리 장식에 부러질 것 같은 목을 버티며 아무도 보지 않는 눈을 내리깔고 서 있는 어린 여자아이 모습이 떠오른다.

그들의 삶의 무게가 긴 세월을 넘어 확 느껴졌다.


갑자기 내 고민은 아무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냉면을 사 먹을까 짜장면을 사 먹을까 집에 가서 만들어 먹을까 이렇게 맘대로 고를 수 있는 자유도 있고 말이지, 마스크만 쓰면 그래도 돌아다닐 수 있고 말이지.

답답하긴 하지만, 언제는 힘 안들었어? 싶기도 하고.


갑자기 마음이 가벼워지는 듯했다. 나 원 참....

개미 같은 민초 인생이지만, 여행은 못 가지만, 그래도 작은 일은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게 있다는 게 어디냐.

아니, 나한테 이래라 저래라 하지 않는 게 어디냐.


오는 길에 시장에 들러 김밥 재료를 사 갖고 와 일주일간 계속 김밥만 해 먹어야지 생각한다.

왕비는 이렇게 못하지.

나의 고민과 근심은 왜 내 김밥의 옆구리는 늘 터질까? 왜 김밥 속이 가운데로 가지 않는가로 바뀌었다. 


일단 걸을 일이다.

걸으며 보고 생각하니 이런 쓰레기통 비울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9월 6일 오후 7시를 기해 태풍 '하이선'이 접근함에 따라 태풍 위기 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중대본 비상대응 수위도 가장 높은 3단계를 발령했다.

태풍이 비껴가기를 간절히 바란다.

기록해 둔다.


IMG_658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