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3 때 이야기 입니다.
내신성적이 워낙 중요해서 한문제
한문제가 심각 했지요.
마지막 시험이 생물이었는데...
정답은 "항문" 이었습니다.

흔한 이름인데도 갑자기 생각이
안 날 때가 있잖아요. 아무리
생각해도 머리를 쥐어짜도 "항문"이
생각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고민 고민 끝에 "똥구멍"이라 썼지요.

시험이 끝나고 친구들 웅성데는 소리에
"항문"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늦었죠!

긴장해서 그런지 저 같은 친구들이
몇 명 되더라구요.
생물선생님께서는 "항문"외에는 다
틀리게 한다고 팔표 했지요.

가만 있을 수 없어서 선생님께
달려가 우는 소릴를 했지요.
"선생님! 똥구멍 맞게해주세요.
'항문'은 한자어이지만 '똥구멍'은
순수 우리 말이잖아요. 맞게 해주세요!"

이러한 나의 필사적인 호소와
옆에 게시던 국어선생님의 응원으로
"똥구멍까지는 맞게 해주마" 하셨죠.

개선장군처럼 의기양양해서 돌아오는
내게 다른 친구가 물었죠.
"맞게 해 줬어?"
"당근이지."

갑자기 친구 얼굴이 벌게지더니 내손을
잡고 생물선생님께 달려 갔어요.
"선생님! '똥구멍'도 맞다면서요?"
"그런데?"
"저도 맞게 해주세요."

그친구의 답안지에는 글쎄
"똥구녕"이라 써 있었어요.
"선생님. 저희 집에서는 모두
'똥구멍'을 '똥구녕'이라고 해요.
어쨌든 의미는 맞잖아요."
선생님께서는 그건 사투리라
안된다고 하셨고, 옆에 게셨던 국어
선생님도 곤란하다고 하셨지요.

그러자 그 친구는 이건 생물시험이지
국어시험이 아니잖냐고 생떼를 썼지요.
닭똥같은 눈물을 흘리면서요.

선생님은 생각해 보시겠다고 하셨는데,
마치 제친구는 승리나 한 듯이
의기양양해서 돌아 왔지요.

그러자 몇몇 친구들이 우르르
교무실로 달려가는 거였어요.
그 친구들 답은 이런 거 였답니다.
"똥꾸녘" "똥구녘" "똥꾸멍" "똥꾸녕" 등등..

생물선생님은 근 일주일을 똥구멍에
시달려야했고, 결국은 다 틀리게 하고
"항문" 과 "똥구멍" 만 맞게 해줬답니다.

그런데...
제 옆에서 아무 말도 못하고 서 있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그 친구의 답은...................
.
.
.
.
.
.
.
.
.
"똥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