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도에 도로 표지판 교체까지 끝냈다.

그런데, 아직도 서해안 고속도로가 인천에서 출발한다고 아는 사람들이 많다. 일부 교통 방송에서는 최근까지도 서해안 고속도로 어쩌고 하면서 서창, 월곶을 들먹이곤 하였다.

개정 법령에 의하면 서해안 고속도로는 목포 인근인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에서 출발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끝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예전에 서해안 고속도로라 부르던 인천 중구 - 서창 구간은 지금 제2 경인고속도로가 되어 있고, 서창 - 안산 구간은 영동 고속도로로 이름이 바뀌었다.

서해안 고속도로의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기 전까지는 서해안 고속도로가 인천에서 경기도 안산시를 거쳐 목포까지 가는 것으로 되어 있었고, 안산에서 신갈까지는 신갈 -안산간 고속도로라 불렀고, 영동고속도로는 신갈에서 강릉까지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서해안 고속도로의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존의 서울 - 안산간 고속도로까지 서해안 고속도로로 편입하여 목포 기점, 서울 종점의 새로운 서해안 고속도로 개념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 때에 영동 고속도로도 인천 - 안산간 고속도로와 신갈-안산간 고속도로를 기존의 신갈-강릉간 영동고속도로에 연결시켜 새로운 개념의 영동고속도로가 재탄생했다.

목포에서 고속도로를 타고 1차선으로 계속 달리면 마지막에 경기도 광명시를 거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가 나오니 현재 개정된 서해안 고속도로의 내용이 맞기는 맞고..
인천 남동구에서 고속도로를 타고 1차선으로 계속 달리면 강원도 강릉시가 나오니 현재 개정된 영동고속도로의 내용이 맞으니, 도로 체계가 예전에 비하여 한층 더 깔끔해졌다.

2001년도에 관련 법령이 이렇게 개정되면서 슬그머니, 그리고 아주 조용히 바뀐 내용도 있다.

예전에는 고속도로의 시발점이 서울이 대부분이었으나, 개정 법령에는 우리 나라 모든 도로의 개념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달리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래서 서해안 고속도로도 “서을에서 목포까지”가 아니라 “목포에서 서울까지”로 개념이 바뀌었고. 경부 고속도로도 “서울에서 부산까지”가 아니라 “부산에서 서울까지”로 개념이 바뀌었다.

덕분에 남해 고속도로의 시발점은 전라남도 영암군이 되었고, 일반 국도 제1호도 전라남도 목포시가 시발점이 되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해서 고속도로든 일반도로든 모든 도로의 시발점은 전라남도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인천도 서쪽 끝에 있는 덕택에 영동, 경인, 제2경인,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등 무려 4개의 고속도로가 출발하는 대단히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그리고 도로 번호도 대폭 정비하였는데, 남해 고속도로(10번 고속도로)와 같은 장거리 간선 고속도로는 2자리 수를 주었고, 서울외곽 순환고속도로(100번 고속도로)처럼 단거리 고속도로는 3자리 숫자를 주었다.

다만, 경부 고속도로만큼은 우리 나라 고속도로 대표로서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그냥 예전대로 “1번 고속도로”의 도로번호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시발점을 서울을 부산으로 변경하는 것만큼은 다른 도로와 마찬가지로 새 원칙을 준수해야 했다.

2001년 김대중 대통령 때에 개정된 이 법령은 2004년 노무현 대통령 때에 전국의 모든 도로 표지판을 새 것으로 교체하면서 관련 업무가 완전히 끝이 났다. 그런데, 아직도 도로 번호 체계나 시발점-종점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우리 나라 주요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의 번호 체계와 구간을 소개하고자 한다. 유심히 쳐다보면 지도에서 동서 방향, 즉 가로로 달리는 도로번호는 짝수 숫자로 되어 있고, 남북 방향, 즉 세로로 달리는 도로번호는 홀수 숫자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홀수번호와 짝수 번호로 구분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고속도로 홀수번호>
1번 = 경부 고속도로 = 부산 금정구->서울 서초구
15번 = 서해안 고속도로 = 전남 무안군->서울 금천구
25번 = 호남 고속도로 = 전남 순천시->충남 천안시(논산-천안선도 25번으로 함)
35번 = 중부 고속도로 = 경남 통영시->경기 하남시
45번 = 중부내륙 고속도로 = 경남 마산시->경기 양평군
55번 = 중앙 고속도로 = 부산 사상구->강원 춘천시
65번 = 동해 고속도로 = 부산 해운대구->강원 속초시

이상이 남->북 방향 장거리 주요 간선 고속도로인데, 대부분 끝 번호가 5번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고속도로 주변의 작은 고속도로는 5번과 가까운 홀수 번호를 주었다.

17번 = 서천공주 고속도로 = 충남 서천군->충남 공주시
27번 = 순천완주 고속도로 = 전남 순천시->전북 완주군
37번 = 제2 중부 고속도로 = 경기 이천시->경기 하남시

<고속도로 짝수번호>
10번 = 남해 고속도로 = 전남 영암군->부산 북구
20번 = 익산포항 고속도로 = 전북 익산시->경북 포항시
30번 = 당진상주 고속도로 = 충남 당진군->경북 상주시
40번 = 평택충주 고속도로 = 경기 평택시->충북 충주시
50번 = 영동 고속도로 = 인천 남동구->강원 강릉시
60번 = 서울양양 고속도로 = 서울 강동구->강원 양양군

여기서도 소규모의 고속도로는 끝번호 “0”에 가까운 다른 짝수번호를 주었다.

12번 = 88올림픽 고속도로 = 전남 무안군->대구 달성군
14번 = 고창담양 고속도로 = 전북 고창군->전남 담양군
16번 = 울산 고속도로 = 울산 울주군->울산 남구
22번 = 김천영천 고속도로 = 경북 김천시->경북 영천시

두 자리 수의 고속도로 번호에 70번 이후의 번호는 없는데, 이는 남북 통일을 대비하여 남겨 둔 것으로 보인다. 남북간 도로는 그냥 북으로 이어서 지금 번호를 사용하면 될 것이고, 동서간 도로는 70, 80, 90번대 도로를 새로 만들어서 붙여 쓰면 될 것 같다. 만약 평양-원산 고속도로가 건설된다면 아마도 번호가 80번 쯤 될 것 같다.

<고속도로 세 자리 번호>
100번 = 서울 외곽순환 고속도로 = 경기 성남시->경기 성남시(의정부 구간은 공사중)
110번 = 제2 경인 고속도로 = 인천 중구->경기 안양시
120번 = 경인 고속도로 = 인천 남구->서울 양천구
130번 = 인천 국제공항 고속도로 = 인천 중구->경기 고양시
300번 = 대전 남부순환 고속도로 = 대전 유성구->대전 동구
400번 = 수도권 제2순환 고속도로 = 경기 화성시->경기 화성시

이 밖에도 102, 104, 202, 251, 451, 551 등의 작은 고속도로가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일반국도 홀수번호>
1번 = 전남 목포시->평북 신의주시
3번 = 경남 남해군->평북 초산군(현 자강도 초산군)
5번 = 경남 마산시->평북 자성군 중강진(현 자강도 중강군)
7번 = 부산 중구->함북 온성군
9번 = 함남 북청군->함남 혜산군(현 량강도 혜산군)
11번 = 제주 서귀포시->제주 제주시(조천읍 경유)
13번 = 전남 완도군->충남 금산군
15번 = 전남 고흥군->전남 담양군
17번 = 전남 여수시->경기 용인시
19번 = 경남 남해군->강원 홍천군
21번 = 전북 남원시->경기 이천시
23번 = 전남 강진군->충남 천안시
25번 = 경남 진해시->충북 청주시
27번 = 전남 고흥군->전북 군산시
29번 = 전남 보성군->충남 서산시
31번 = 부산 기장군->함남 안변군 신고산
33번 = 경남 고성군->경북 구미시
35번 = 부산 북구->강원 강릉시
37번 = 경남 거창군->경기 파주시
39번 = 충남 부여군->경기 의정부시
41번 = 경기 개성시->함남 원산시
43번 = 충남 연기군->강원 고성군
45번 = 충남 서산시->경기 가평군
47번 = 경기 안산시->강원 철원군
51번 = 황해 해주시(현 황해남도)->평남 평원군
53번 = 황해 신계군->평남 평양시(현 평양특별시)
59번 = 전남 광양시->강원 양양군
61번 = 평북 정주군->평북 삭주군
63번 = 평남 안주군->평북 초산군(현 자강도)
65번 = 평남 평양시->평북 자성군(현 자강도)
67번 = 경북 칠곡군->경북 구미시
71번 = 함남 장진군->함남 삼수군
73번 = 함남 단천군->함북 무산군
75번 = 경기 가평군->강원 화천군
77번 = 부산 중구->인천 동구
79번 = 경남 의령군->경남 창녕군
-------(생략)
99번 = 제주 서귀포시->제주 제주시(애월읍 경유)

<일반국도 짝수번호>
2번 = 전남 신안군->부산 중구
4번 = 전북 군산시->경북 경주시
6번 = 인천 중구->강원 강릉시
8번 = 황해 장연군(현 황해남도)->함남 원산시
10번 = 평북 용천군->함북 온성군
12번 = 제주 제1우회선(제주시-한림읍-서귀포시-성산읍-제주시)
14번 = 경남 거제시->경북 포항시
16번 = 제주 제2우회선(제주시-한림읍-서귀포시-성산읍-제주시)
18번 = 전남 진도군->전남 구례군
20번 = 경남 산청군->경북 포항시
22번 = 전북 정읍시->전남 순천시
24번 = 전남 신안군-L울산 남구
26번 = 전북 군산시->대구 서구
28번 = 경북 영주시->경북 포항시
30번 = 전북 부안군->대구 서구
32번 = 충남 서산시->대전 중구
34번 = 충남 당진군->경북 영덕군
36번 = 충남 보령시->경북 울진군
38번 = 충남 서산시->강원 동해시
40번 = 충남 예산군->충남 공주시
42번 = 인천 중구->강원 동해시
44번 = 경기 양평군->강원 양양읍
46번 = 인천 중구->강원 고성군 간성읍
48번 = 인천 강화군->서울 종로구
50번 = 황해 옹진군(현 황해남도)->경기 개성시
---------(이후 짝수번호는 모주 북한 지역이라 생략)

우리 나라 “일반국도번호지정령”에서는 북한 지역의 도로까지 번호를 지정하고 있으나, 여기에서 사용하는 북한쪽 주소들 모두가 지금은 아무도 쓰지 않는 50년 전 행정구역의 주소란 점이 참으로 아쉽다.

헌법상 북한 지역이 모두 우리 땅이기는 하나, 현재 우리 정부의 행정력이 북한 지역에서 중단된 지 이미 50년이 넘었다. 다른 것은 몰라도 행정 구역이나 주소만큼은 현재 북한에서 쓰고 있는 주소를 사용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북쪽에 고향에 두고 오신 분들을 위하여 조견표도 함께 만들어 주는 것도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번 연말에 자동차를 가지고 전국을 여행할 때에 이 도로번호 상식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
글쓴이:문학박사 황재순(제물포고 교감/용산고22회=인일8회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