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건망증-화제를 바꾸어(잘 잊어버리는것)을 이용한다.-
금방 식사를 마쳤는데도 그 사실을 완전히 잊고 재촉하는 것은 자주 있는 증상입니다. 중요한 것은 무
엇이 사실인지에 대하여 싸우는 것이 아니라 본인을 납득시키는 일입니다. [조금 전에 먹었잖아요]라
고 말해도 [나는 안 먹었다] 라고 대답하기 일쑤입니다. 또는 [자기들만 먹고 나는 주지 않는다] 라
는 피해망상 적인 감정도 가지기 쉽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 되었으니까 기다리세요]라든지 해서
기다리는 동안 잊게 하는 것이 하나의 수단입니다. 또는 입이 심심하다든지 자신이 좋아하는 먹을 것
을 먹고 싶다는 불만에서 이런 호소를 하는 경우도 있으니 평소에 본인이 좋아하는 과일이나 가벼운
과자 같은 것을 준비해두고 [조금 기다리는 동안 이거라도 드세요] 라는 식으로 달래는 방법도 있습
니다.
▶의심-같은 감정을 공유하여 한편이 되어준다.
중요한 것이니 잃어버리기 전에 어딘가에 간수해 두자고 해서 어딘가에 두고 그대로 잊어버리는 경
우가 있습니다. 막상 사용하려고 할 때 없으면 누군가를 의심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내가 아니에요]
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찾아보지요]하면서 함께 찾아봅니다. 혹시 발견 할 때도 가족이 찾으면
[역시 네가 훔쳐갔었구나] 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찾은 것으로 하지 말고 [이 근처를
찾아볼까요] 하고 잘 유도해서 본인 찾도록 하고 [아, 다행이네요] 하고 함께 기뻐하는 것이 중요합
니다.
▶당연한 사실을 잊어버리는 장애-같은 입장에서 불안을 없애준다.
[오늘이 몇 일이지?] 라는 묻는 것은, 몇 일인지를 알고 싶어하는 것보다, 지금이 언제인지 여기가 어
디인지 불안해 하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몇 번이고 반복해서 묻는 것입니다. 그럴 때 무성의
하게 대답을 하면 슬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마음에 여유가 없는 경우도 많을 테니 정
해진 곳에 커다란 넘기는 달력을 걸어두는 것은 어떨까요. 그리고 함께 그곳으로 가서 오늘이 몇 일인
지를 납득시킵니다.
▶인물오인-부정하지 말고 우선 받아들인다.
몇 년 동안 함께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누구십니까?] 라고 물을 때는 역시 충격입니다. 그
러나 이것은 새로운 기억이 없어졌기 때문에 어쩔 수가 없습니다. 같은 이유로 다른 사람(사람의 친
척이나 형제, 친구 등)과 착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강하게 부정하지 말고 완전히 착각하
는 그 사람이 되는 편이 좋을 때도 있습니다. 또, 도둑이라고 의심하고 있는 사람으로 착각하고 흥분
상태가 되면 그때도 말싸움을 하지말고 한번 모습을 감추고 다시 들어가서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회-고령자의 안전을 지키도록 한다.
치매 고령자 중에는 자신이 아직도 현역에 있다고 생각하고 전에 다녔던 회사에 가려고 한다든지 뭔
가 할 일을 생각해 내고 외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자신이 있는 곳을 집이라고 인식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간다고 말하거나 밖의 공기를 쐬고 싶다거나 걷고 싶다는 이유로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
다. 가능하다면 함께 나가서 이야기를 하거나 공원에서 함께 쉬거나 기분전환이 된 후에 집으로 돌아
오는 것이 이상적입니다만, 언제나 그렇게 할 수 만은 없습니다. 혼자서 밖에 나가는 경우가 있다면
현관문에 종을 달아두고 나간 것을 알게 합니다. 주소와 이름을 적은 이름표를 옷에 달아두거나 명함
을 만들어서 주머니에 넣어두거나 하는 것도 좋겠지요. 또 잘 가는 가게나 수퍼의 일하는 사람들에게
혼자서 걷고 있으면 연락을 해달라고 미리 부탁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환각-설득하기 보다 우선 안심감을 가지게 한다.
아무것도 없는 쪽을 가리키면서 [저기에 유령이 있다][도둑이 있다] 라며 소동을 피우는 일이 있습니
다. 이와 같을 때, 본인 진정으로 두려워하고 있으므로 아무것도 없다고 설득해도 납득하지 않습니
다. 그러므로 [제가 있으니까 괜찮아요][함께 퇴치합시다]라고 말하여 안심감을 가지게 해 주십시
오. 단, 이 같은 증상이 몇 일 동안 지속되는 경우, 조속히 전문의와 상의하고 정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약을 처방 받거나 생활지도를 받도록 하는 것이 좋겠지요
금방 식사를 마쳤는데도 그 사실을 완전히 잊고 재촉하는 것은 자주 있는 증상입니다. 중요한 것은 무
엇이 사실인지에 대하여 싸우는 것이 아니라 본인을 납득시키는 일입니다. [조금 전에 먹었잖아요]라
고 말해도 [나는 안 먹었다] 라고 대답하기 일쑤입니다. 또는 [자기들만 먹고 나는 주지 않는다] 라
는 피해망상 적인 감정도 가지기 쉽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 되었으니까 기다리세요]라든지 해서
기다리는 동안 잊게 하는 것이 하나의 수단입니다. 또는 입이 심심하다든지 자신이 좋아하는 먹을 것
을 먹고 싶다는 불만에서 이런 호소를 하는 경우도 있으니 평소에 본인이 좋아하는 과일이나 가벼운
과자 같은 것을 준비해두고 [조금 기다리는 동안 이거라도 드세요] 라는 식으로 달래는 방법도 있습
니다.
▶의심-같은 감정을 공유하여 한편이 되어준다.
중요한 것이니 잃어버리기 전에 어딘가에 간수해 두자고 해서 어딘가에 두고 그대로 잊어버리는 경
우가 있습니다. 막상 사용하려고 할 때 없으면 누군가를 의심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내가 아니에요]
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찾아보지요]하면서 함께 찾아봅니다. 혹시 발견 할 때도 가족이 찾으면
[역시 네가 훔쳐갔었구나] 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찾은 것으로 하지 말고 [이 근처를
찾아볼까요] 하고 잘 유도해서 본인 찾도록 하고 [아, 다행이네요] 하고 함께 기뻐하는 것이 중요합
니다.
▶당연한 사실을 잊어버리는 장애-같은 입장에서 불안을 없애준다.
[오늘이 몇 일이지?] 라는 묻는 것은, 몇 일인지를 알고 싶어하는 것보다, 지금이 언제인지 여기가 어
디인지 불안해 하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몇 번이고 반복해서 묻는 것입니다. 그럴 때 무성의
하게 대답을 하면 슬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마음에 여유가 없는 경우도 많을 테니 정
해진 곳에 커다란 넘기는 달력을 걸어두는 것은 어떨까요. 그리고 함께 그곳으로 가서 오늘이 몇 일인
지를 납득시킵니다.
▶인물오인-부정하지 말고 우선 받아들인다.
몇 년 동안 함께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누구십니까?] 라고 물을 때는 역시 충격입니다. 그
러나 이것은 새로운 기억이 없어졌기 때문에 어쩔 수가 없습니다. 같은 이유로 다른 사람(사람의 친
척이나 형제, 친구 등)과 착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강하게 부정하지 말고 완전히 착각하
는 그 사람이 되는 편이 좋을 때도 있습니다. 또, 도둑이라고 의심하고 있는 사람으로 착각하고 흥분
상태가 되면 그때도 말싸움을 하지말고 한번 모습을 감추고 다시 들어가서 다른 사람으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회-고령자의 안전을 지키도록 한다.
치매 고령자 중에는 자신이 아직도 현역에 있다고 생각하고 전에 다녔던 회사에 가려고 한다든지 뭔
가 할 일을 생각해 내고 외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자신이 있는 곳을 집이라고 인식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간다고 말하거나 밖의 공기를 쐬고 싶다거나 걷고 싶다는 이유로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
다. 가능하다면 함께 나가서 이야기를 하거나 공원에서 함께 쉬거나 기분전환이 된 후에 집으로 돌아
오는 것이 이상적입니다만, 언제나 그렇게 할 수 만은 없습니다. 혼자서 밖에 나가는 경우가 있다면
현관문에 종을 달아두고 나간 것을 알게 합니다. 주소와 이름을 적은 이름표를 옷에 달아두거나 명함
을 만들어서 주머니에 넣어두거나 하는 것도 좋겠지요. 또 잘 가는 가게나 수퍼의 일하는 사람들에게
혼자서 걷고 있으면 연락을 해달라고 미리 부탁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환각-설득하기 보다 우선 안심감을 가지게 한다.
아무것도 없는 쪽을 가리키면서 [저기에 유령이 있다][도둑이 있다] 라며 소동을 피우는 일이 있습니
다. 이와 같을 때, 본인 진정으로 두려워하고 있으므로 아무것도 없다고 설득해도 납득하지 않습니
다. 그러므로 [제가 있으니까 괜찮아요][함께 퇴치합시다]라고 말하여 안심감을 가지게 해 주십시
오. 단, 이 같은 증상이 몇 일 동안 지속되는 경우, 조속히 전문의와 상의하고 정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는 약을 처방 받거나 생활지도를 받도록 하는 것이 좋겠지요
2005.11.19 05:43:32
I used to work for the geriatric hospital and I thought that the old age was the beginning of the life. All of the above symptoms were accompanied with the dementia people. Thank you for telling us this information. It is useful to understand the aging process and know how to support the family and friends as you mentioned in the ab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