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70이 훨씬 넘은 우리 어머니가 "이미자의 동백아가씨" 만큼이나 좋아하는 곡이 있다.
70년대 새마을 운동이 한참일 때, 새벽이면 쓰레기 수거차에서 낭랑하게 울려 퍼지던 것,
바로 베토벤의 "엘리제를 위하여"이다.
지금도 아이들을 처음 피아노 학원에 보내면 얼마 안 있어 앙징맞게 치는 곡.
이 곡은 베토벤이 주치의 딸인 텔리제의 피아노 선생이었을 때, 그녀를 위해 만든 곡이라고 한다.
아무리 아무리 가르쳐도 머리가 나빠 진전이 없는 17살의 텔리제를 지독히 사랑했던 베토벤이
"못 쳐도 잘 치는 것 처럼 보이도록" 만든 곡이 바로 이 곡으로, 베토벤이 죽은 후에 발표된 것이다.
악필인 베토벤의 T字를 후세 사람들이 E字로 알고 "엘리제를 위하여"라고 발표했단다.
역시 베토벤은 위대한 작가로 아시아의 작은 나라 한국 할머니들의 마음까지 움직이고 있다.
위대한 예술가들은 이루어 질수 없는 사랑을 많이 하는가?
17세의 소녀에서 50대의 유부녀까지 사랑해서는 안될 사람만을 사랑한 베에토벤.
그리고 그 독일이 낳은 베토벤.
우울하고, 멜랑꼴리한 뮌헨의 거리에서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의 작가 전 혜린은 자살하고
싶은 욕망에 항상 시달렸고, 어쩌면 그녀는 이런 위대한 예술혼에 시달린 것은 아닐까?
동독과 통합한 독일은 지금 더욱 더 우울하고 침울하지만 예술 만은 사라지지 않고 찬란히 빛나고 있다.
70년대 새마을 운동이 한참일 때, 새벽이면 쓰레기 수거차에서 낭랑하게 울려 퍼지던 것,
바로 베토벤의 "엘리제를 위하여"이다.
지금도 아이들을 처음 피아노 학원에 보내면 얼마 안 있어 앙징맞게 치는 곡.
이 곡은 베토벤이 주치의 딸인 텔리제의 피아노 선생이었을 때, 그녀를 위해 만든 곡이라고 한다.
아무리 아무리 가르쳐도 머리가 나빠 진전이 없는 17살의 텔리제를 지독히 사랑했던 베토벤이
"못 쳐도 잘 치는 것 처럼 보이도록" 만든 곡이 바로 이 곡으로, 베토벤이 죽은 후에 발표된 것이다.
악필인 베토벤의 T字를 후세 사람들이 E字로 알고 "엘리제를 위하여"라고 발표했단다.
역시 베토벤은 위대한 작가로 아시아의 작은 나라 한국 할머니들의 마음까지 움직이고 있다.
위대한 예술가들은 이루어 질수 없는 사랑을 많이 하는가?
17세의 소녀에서 50대의 유부녀까지 사랑해서는 안될 사람만을 사랑한 베에토벤.
그리고 그 독일이 낳은 베토벤.
우울하고, 멜랑꼴리한 뮌헨의 거리에서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의 작가 전 혜린은 자살하고
싶은 욕망에 항상 시달렸고, 어쩌면 그녀는 이런 위대한 예술혼에 시달린 것은 아닐까?
동독과 통합한 독일은 지금 더욱 더 우울하고 침울하지만 예술 만은 사라지지 않고 찬란히 빛나고 있다.
좋아하셨어요
그래서 네딸모두 이곡만 치게되면 렛슨을 하산시켰었지요
그런데 지금은 듣는것으로 만족한답니다
베에토벤의 모든 곡은 정말 안좋은 것이 없어요
고전파와 낭만파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했다고나 할까요?
해서 곡들이 모두 유려한거 같아요
하다 못해 소품들도 정말 사랑스럽습니다
아,베에토벤이여!!!
로망롤랑이란 프랑스의 작갈 기억하시죠?
쟝크리스토프 한번 읽어 보세요
베에토벤이 모티브랍니다 저두 읽은지 오래되어
다시한번 읽으려 책만 사놨지요
저두 한때는 전혜린에 미쳤다고나 할까요
저희때 독문과 가는 학생은 거의 전혜린때문이라고 하더군요
뮌헨의 슈바빙거리 얼마나 동경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아직도....
또 전혜린이 번역한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
정말 좋은 책입니다
몇년전 아이들이 학교에서 읽으라고샀길래
제가 앍었는데 저는 눈물 펑펑 흘리며 읽었습니다
이 책도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댓글이 너무 길어서 죄송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코드여서요
도산학선배님 고맙습니다
글 잘 봤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