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아들은 신앙 서적을 읽고 독후감을
써야 한다더니 내일 제출할 독후감은 안쓰고
계속 울기만 하고 있다.
너무 감동해서 그런가?
아니면 글도 쓰기 싫을 정도로
속상한 일이 생겼는가?
나는 아들의 심중을 알아보기 위해
"읽고 있는 책이 무슨 책인데?."
하고 책 표지를 보고는 내심 안심했다.
왜냐하면 그 책은
순교자 손양원 목사님의 삶을 쓴
"사랑의 원자탄" 이었기 때문이다.
나도 그 책을 읽을 때 얼마나 울었던지
아들의 울음이 아직 반도 못 운 것을 알 것 같았다.
책을 다 읽고 난 아들은
책상 앞에 이렇게 써 붙혔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라고
아들은 아마 손양원 목사님이
자신의 두 아들을
무참히 총살한 살인자를
목사님의 양아들로 삼은 것에서
깊은 감동을 받은 모양이었다.
그러나 책에서의 감동이 며칠이나 갈 것인가 하고
나는 그 섬칫한 글귀를 떼어 버렸다.
그랬더니 아들은 한술 더 뜬다.
'엄마! 혹시 내가 다른 사람의 권모술수에 모함을 받아
너무 억울해서 가슴을 치며 분노하고 있거든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라고
크게 소리내어 외쳐 달라는 것이다.
이 말은 우리 집의 표어가 되다시피 했다.
우리는 식구중 한 사람이
화가나고 억울해 하고 있으면
얼른 그 잣대를 갖다가 대어준다.
그러면 그 잣대는 모든 것을 용서 할 수 있게 한다.
나에게 아무리 잘못하는 사람이라 한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에 대입하면
거기에 걸릴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오히려 나의 옹졸함이 드러 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독후감의 위력이 얼마나 큰지
그 말을 읊조리면 용서 못할 사람이 없고
더 이상 화나고 속상할 일이 없다.
나는 떼어 냈던 아들의
명작품인 독후감을 다시 크게 써서 벽에 붙혔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맞아요. 그 사람이 나를 고통스럽게 하고
억울하게 하긴 해도
두 아들을 죽일 정도의 원수는 아니예요."
나는 하루에도 수 없이 내 삶에서
이 말이 반복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나는 그 때마다 이 말을 소리내어
나에게 스스로 물어본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라고
이 말은
그 사람이 아무리 나를 화나게 하고 분노하게 하여도
그것은 내가 얼마든지 용서 해야 하는
아주 작은 잘못이고 아주 작은 허물임을
금방 알게 해준다.
써야 한다더니 내일 제출할 독후감은 안쓰고
계속 울기만 하고 있다.
너무 감동해서 그런가?
아니면 글도 쓰기 싫을 정도로
속상한 일이 생겼는가?
나는 아들의 심중을 알아보기 위해
"읽고 있는 책이 무슨 책인데?."
하고 책 표지를 보고는 내심 안심했다.
왜냐하면 그 책은
순교자 손양원 목사님의 삶을 쓴
"사랑의 원자탄" 이었기 때문이다.
나도 그 책을 읽을 때 얼마나 울었던지
아들의 울음이 아직 반도 못 운 것을 알 것 같았다.
책을 다 읽고 난 아들은
책상 앞에 이렇게 써 붙혔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라고
아들은 아마 손양원 목사님이
자신의 두 아들을
무참히 총살한 살인자를
목사님의 양아들로 삼은 것에서
깊은 감동을 받은 모양이었다.
그러나 책에서의 감동이 며칠이나 갈 것인가 하고
나는 그 섬칫한 글귀를 떼어 버렸다.
그랬더니 아들은 한술 더 뜬다.
'엄마! 혹시 내가 다른 사람의 권모술수에 모함을 받아
너무 억울해서 가슴을 치며 분노하고 있거든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라고
크게 소리내어 외쳐 달라는 것이다.
이 말은 우리 집의 표어가 되다시피 했다.
우리는 식구중 한 사람이
화가나고 억울해 하고 있으면
얼른 그 잣대를 갖다가 대어준다.
그러면 그 잣대는 모든 것을 용서 할 수 있게 한다.
나에게 아무리 잘못하는 사람이라 한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에 대입하면
거기에 걸릴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오히려 나의 옹졸함이 드러 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독후감의 위력이 얼마나 큰지
그 말을 읊조리면 용서 못할 사람이 없고
더 이상 화나고 속상할 일이 없다.
나는 떼어 냈던 아들의
명작품인 독후감을 다시 크게 써서 벽에 붙혔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맞아요. 그 사람이 나를 고통스럽게 하고
억울하게 하긴 해도
두 아들을 죽일 정도의 원수는 아니예요."
나는 하루에도 수 없이 내 삶에서
이 말이 반복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나는 그 때마다 이 말을 소리내어
나에게 스스로 물어본다.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라고
이 말은
그 사람이 아무리 나를 화나게 하고 분노하게 하여도
그것은 내가 얼마든지 용서 해야 하는
아주 작은 잘못이고 아주 작은 허물임을
금방 알게 해준다.
2004.05.13 09:24:30
유선배님 컴시간에 저도 같이 있었어요
여기저기 탐색하고계신 느낌이....
글이 올라오길 기다렸어요
서로 사랑하라는 대명제에 대한
아람다운 모습이어서
고개가 절로 숙여집니다
선배님 잘 지내시죠 ?
유언배님의 글을 연달아 볼수 있어서
기분도 좋고
또한 감사드립니다 샬롬!!!(:l)(:l)(:l)(:l)(:l)
여기저기 탐색하고계신 느낌이....
글이 올라오길 기다렸어요
서로 사랑하라는 대명제에 대한
아람다운 모습이어서
고개가 절로 숙여집니다
선배님 잘 지내시죠 ?
유언배님의 글을 연달아 볼수 있어서
기분도 좋고
또한 감사드립니다 샬롬!!!(:l)(:l)(:l)(:l)(:l)
2004.05.13 10:22:23
아들을 죽인 사람을 양자로 삼았다는
실화를 저도 신문인가(?) 읽은 적이 있습니다.
가끔 하나님보다 더 하나님 같은 사람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비오는 어제 하루 종일 한 미국인의 참수 소식이 우울하게 했습니다.
'눈에는 눈 피에는 피'라는 똑같은 수법의 복수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날 것같은 국제정세입니다.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똑같은 사막 지역에서 발생한 종교지만
그 방법에 있어서는 극과 극인 것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 미국인 모습이 담긴 아침 신문이
또 우울하게 합니다.
실화를 저도 신문인가(?) 읽은 적이 있습니다.
가끔 하나님보다 더 하나님 같은 사람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비오는 어제 하루 종일 한 미국인의 참수 소식이 우울하게 했습니다.
'눈에는 눈 피에는 피'라는 똑같은 수법의 복수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날 것같은 국제정세입니다.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똑같은 사막 지역에서 발생한 종교지만
그 방법에 있어서는 극과 극인 것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 미국인 모습이 담긴 아침 신문이
또 우울하게 합니다.
2004.05.13 10:53:59
'원수를 사랑하라'
몸소 실천하기 힘든 명제를 이루신 그 분 이야기를 나도 언젠가 전해 들은 것 같네요
옛 어른들이 참을인자 세 번이면 살인도 면한다고 말씀 하실 때도
참 어려운 말이라 생각했었는데
알면서도 행하기 힘든 것이 인내하고 사랑하는 일인 것 같네요
남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넓은 마음들이 우리 사회에 널리 널리 퍼지길 바래 봅니다(8)
몸소 실천하기 힘든 명제를 이루신 그 분 이야기를 나도 언젠가 전해 들은 것 같네요
옛 어른들이 참을인자 세 번이면 살인도 면한다고 말씀 하실 때도
참 어려운 말이라 생각했었는데
알면서도 행하기 힘든 것이 인내하고 사랑하는 일인 것 같네요
남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넓은 마음들이 우리 사회에 널리 널리 퍼지길 바래 봅니다(8)
2004.05.13 13:57:11
그 사람이 너의 두 아들을 죽이지는 않았지?
하지만 앞으로도 내 아들을 죽일 수 있는 가능성은 있어. 하며
생각하는 것이 보통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그런사람들을 사회에서 경시하고 직장도 구하기 힘들어지고
그들이 다시 죄악으로 빠질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죠.
그를 양자로 끌어안은 목사님과 그 글을 읽고 감명받은 유사모 아들은
거의 동급이라 생각합니다.
유사모는 자식농사도 잘 지었어요.
하지만 앞으로도 내 아들을 죽일 수 있는 가능성은 있어. 하며
생각하는 것이 보통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그런사람들을 사회에서 경시하고 직장도 구하기 힘들어지고
그들이 다시 죄악으로 빠질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죠.
그를 양자로 끌어안은 목사님과 그 글을 읽고 감명받은 유사모 아들은
거의 동급이라 생각합니다.
유사모는 자식농사도 잘 지었어요.
2004.05.13 22:23:32
살아가면서
상대편이 나의 진심을 못알아줄때
답답하고 슬프고 속상하곤 합니다.
하물며 원수를 사랑할수있는 마음은 우리하곤 거리가 멀게 느껴집니다.
유사모의 가족은
분명 특별한 하느님 은총속에 생활하심을 느낄수 있읍니다.
아드님은 분명히 훌륭한 목사님이 되실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y)(:l)(:g)(:i)(:*)(:y)
상대편이 나의 진심을 못알아줄때
답답하고 슬프고 속상하곤 합니다.
하물며 원수를 사랑할수있는 마음은 우리하곤 거리가 멀게 느껴집니다.
유사모의 가족은
분명 특별한 하느님 은총속에 생활하심을 느낄수 있읍니다.
아드님은 분명히 훌륭한 목사님이 되실것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y)(:l)(:g)(:i)(:*)(:y)
2004.05.18 00:47:52
3기 박성애 선배님.
선배님의 영향력이 크면 클수록 대적도 방해도 많을 것이지요.
이미 모든 것을 포용하는 선배님의 큰 마음을 봅니다.
14기 이인희님.
지혜롭고 부지런한 인희님.
매사에 어설픈 저는 글 한편 올리기를
쩔쩔 매는 편이여서 제대로 댓글도 못씁니다.
남의 글에 인색한 것이 아닌데
일이 많다보니 찬찬히 챙기지를 못해요.
인희님의 부지런함과 빈틈없는 배려를 닮고자 합니다.
11기 강명희 선배님.
단아하고 맑은 선배님을 언제나 사랑하고 존경해요.
무엇보다 전영희 선배님 곁에서
좋은 친구로, 마음이 합한 동역자로 있는 모습
참 감사하네요.
인일에서는 눈에는 눈이 아니고
악에는 선으로
핍박에는 그를 위한 기도로 대하는
사랑의 법이 강같이 흐르게 될거예요.
제고 18기 이흥복 선배님.
언제나 찾아주시고 힘과 용기를 주시는 선배님 고마와요.
6기. 이정기 선배님.
반갑고, 보고 싶고, 밤을 새며 이야기 나누고 싶어요.
11기 안광희 선배님.
지나간 잘못을 절대로 잊지 않고
두고두고 질책하는 것은 없어져야 겠지요.
우리는 실수하고 잘못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제가 선배님께 잘못한 것도 많아요.
그래도 다 잊어버리셨으리라 생각하고
계속 어리광 부리렵니다.
3기 송미선 선배님.
선배님은 언제든지 무조건 좋게만 여겨 주십니다.
선배님의 예쁜 마음은
그대로 상대방에 대한 믿음이 되는 것을요
선배님의 영향력이 크면 클수록 대적도 방해도 많을 것이지요.
이미 모든 것을 포용하는 선배님의 큰 마음을 봅니다.
14기 이인희님.
지혜롭고 부지런한 인희님.
매사에 어설픈 저는 글 한편 올리기를
쩔쩔 매는 편이여서 제대로 댓글도 못씁니다.
남의 글에 인색한 것이 아닌데
일이 많다보니 찬찬히 챙기지를 못해요.
인희님의 부지런함과 빈틈없는 배려를 닮고자 합니다.
11기 강명희 선배님.
단아하고 맑은 선배님을 언제나 사랑하고 존경해요.
무엇보다 전영희 선배님 곁에서
좋은 친구로, 마음이 합한 동역자로 있는 모습
참 감사하네요.
인일에서는 눈에는 눈이 아니고
악에는 선으로
핍박에는 그를 위한 기도로 대하는
사랑의 법이 강같이 흐르게 될거예요.
제고 18기 이흥복 선배님.
언제나 찾아주시고 힘과 용기를 주시는 선배님 고마와요.
6기. 이정기 선배님.
반갑고, 보고 싶고, 밤을 새며 이야기 나누고 싶어요.
11기 안광희 선배님.
지나간 잘못을 절대로 잊지 않고
두고두고 질책하는 것은 없어져야 겠지요.
우리는 실수하고 잘못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제가 선배님께 잘못한 것도 많아요.
그래도 다 잊어버리셨으리라 생각하고
계속 어리광 부리렵니다.
3기 송미선 선배님.
선배님은 언제든지 무조건 좋게만 여겨 주십니다.
선배님의 예쁜 마음은
그대로 상대방에 대한 믿음이 되는 것을요
이 아침에 삶을 돌아 볼수 있게 해 주어서 고마워요.
자신의 옹졸함을 깨닫지 못하고 늘 무거운 짐을 지고 살아가는
나날들인데, 유 사모의 글을 대할때 마다 새삼 깨닫게 되네요.
우리에게 보내주신 천사인가? 유사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