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들이 많이 참석하는 구역에
예배를 드리고 나오는 길은
돈나물이 파릇 파릇 솟아 오르고 있었다.

"아! 돈나물이네!
내가 살던 안중에서는
봄이 오면 넓은 들판에 나가
봄나물을 캐곤 했는데
이젠 봄나물을 캐기는 다 틀렸어."

한 할머니가 너무 아쉬운 얼굴로
아파트 길가에
어렵게 비집고 나오고 있는 돈나물을 보면서
서글퍼 하신다.
그 분은 수 십 만 평의 논과 밭을 가지고
농사를 짓다가
남편이 암에 걸려
그 많은 논 밭을 다 팔아 치료비로 썼지만
남편은 끝내 돌아 가시고 말았다.

남아 있는 재산이라고는
시골 집 하나 뿐이었는데
시골에서 논밭없이 어떻게 살까 싶어
정든 시골집을 정리 하였다.
그 돈을 가지고 서울에 와서 들어 올 수 있는 곳이
이 곳 뿐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관절염으로 다리가 아파서
어디 먼 곳 나들이는 엄두도 못낸다.

다른 할머니들도 이구동성으로
"이렇게 봄이 오는 데
넓은 들에 나가
봄나물 한 번 실컷 캐 보았으면 좋겠어." 하신다.

"목사님께 가서 말씀드려서
봄나물 실컷 캐게 해드릴께요."

아뿔싸!
나도 모르게 또 약속을 하고 말았다.

그동안 노인들을 위한 나들이는
엄청난 댓가를 치뤘다.

목사님은  노인들이 자식들의 나들이에 밀려
가보고 싶은 곳을 가지 못하고
집안에만 갇혀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래서 봄철과 가을이면 노인들을 모시고
산과 들로 나들이를 갔었다.

노인들의 나들이는 너무 어렵다.
노인들은 우선 거동이 불편하여
일대일로 부축해 드려야 한다.
차가 설 수 없는 곳에서
화장실에 가시겠다고 막무가내로 졸라댄다.
그 시간의 간격이 너무 잦아
차 운전에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 중에 제일 큰 문제는 음식을 잡수시는 일인데
노인들에게는 음식이 남는 일이 없다.
음식을 무한정으로 상 위에 놓아야 하는 것은
다른 사람이 먹든 안 먹든
갖고 온 가방에 집어 넣느라 정신이 없기 때문이다.
그 자리에서 잡수셔야 하는 구운 고기는
양에 넘치게 잡수시다가
급체하거나 토하시기가 일쑤다.
몸이 허약한 분은 멀미를 심하게 하신다.

어린 아이들보다
더 어려운 것이 노인들 나들이다.

가을에 밤을 주우러 마석에 갔던 때 였다.
산의 얕은 곳으로 경계를 알려주고
세 명씩 한 조로 묶어
3시까지 점심을 먹은 자리로 돌아오시도록 하였다.
그런데 조에서 이탈한 한 노인이
한 시간이 지나도록 오시지 않는 것이다.
다같이 소리를 모아 이름을 부르고
호각을 불고
확성기로 불러봐도 안되어서
목사님과 전도사님들이 온 산을
헤메어 찾느라 녹초가 되었다.
초죽음이 되어 겨우 찾았더니 하시는 말씀은
다른 사람들이  없을 때 밤을 주워야 더 줍는단다.

그것까지는 좋았는데
집에 돌아온 할머니가 음식을 토하셨다고
아들과 며느리가 교회로 항의를 하러 온 것이다.
어떤  음식을 잘못 드렸기에
할머니가 병이 난 것이냐며
병원비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모든 책임을 지라고
비난이 빗발쳤다.
노인들 나들이 후에
이렇게 난감 한 일은 그 이전에도  종종 있었다.
그것을 감수 할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런데 기세가 등등하던 아들과 며느리의 항의가
웬일인지 조용해졌다.
알고보니 병원에 가서 진찰 한
그 할머니의 병명은  말기 암 이었다.

그 할머니는
우리가 병원에 심방을 가면
밤 줍던 그 날의 나들이를 잊지 못하고
그리워하고 또 그리워 하셨다.

"얘 아범아! 목사님이 아니었으면
어떻게 그 산에 갈 수 있었겠니?
밤을 줍고 돌아서면 또 뻘건 밤이 툭툭 떨어졌단다.
내가 가장 많이 주웠을걸.
내가 시골을 떠나 아파트로 이사와서
처음 나갔던 나들이란다."

그 할머니에게 밤 주우러 갔던
그 날의 마석 나들이는
첫 나들이 이었고 마지막 나들이였다.

할머니는 돌아가시면서
당신의 장례를 목사님에게 맡겨 달라고 유언을 하셨다.
전라도 순창 선산에 어머니를 묻고
서울로 돌아오는 차 안에서
"목사님!
어머니가 그토록 밖에 나들이 하고 싶으셨다는 것을
까맣게 모르고 우리들 끼리만 돌아 다녔어요.
어머니는 밤 주우러 갔다 온 이야기를
매일 수 없이 하시면서 그렇게 행복해 하셨어요.
목사님! 우리들의 무례를 용서해 주세요.
내 어머니 가슴의 한을 목사님이 풀어 주신거예요."

아들은 울며 울며
어머니에게 무심했던 불효를 뉘우쳤다.

이렇듯 노인 나들이는 항상 조심 스러운 것인데
그 돗나물 때문에 덜컥 약속을 했으니 어쩐담!
나는 무슨 일이든 너무 뚜렷하게 기억을 해서 탈인데
왜 이럴때 아무 생각이 안나고
할머니들을 기쁘게 해 드리고 싶은 생각만 나는 것일까?
아마 주님은
나들이 가고 싶어하는 할머니들의 소리만 들리시나보다.
혹시 그 분들 중에
이번 나들이가
마지막 일지도 모르는 분이 있는 것은 아닐까?

이번 나들이에 준비해야 할 것들이
머리에 활처럼 휙휙 날아와 박힌다.

전날의 어려웠던 기억들을
난감했던 처지들을 어느새 다 잊어버리고
또 나의 지병이 도지고 말았다.

봄이 왔기 때문에...
돈나물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