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

부끄러운 일이지만 내 아이들은 초등학교를 여섯 학교나 다녔다. 일년에 한 번 꼴로 옮겨 다닌 셈이다. 작은 아이는 취직 시험을 보기 위해 낸 자기 소개서에다 여러 학교 다닌 것을 특별히 강조를 하며 왕따 당하지 않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성이 자신의 큰 장점이라고 썼다.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지금 생각해 보면 무척이나 부끄러운 부모다. 큰 아이 중 3 작은 아이 중 2 겨울에 남편의 실직으로 장사라는 것을 시작하였다. 책장사는 학생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학교에서 돌아온 이후 부터 시작된다. 아무 것도 모르고 처음 하는 장사라 전력 투구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처음 몇 년은 아침 일찍부터 밤 12시까지 밥 먹을 시간도 부족해 빵으로 떼우는 일이 다반사였다. 아이들이 무엇을 먹고 어떻게 학교를 다녔는지도 지금도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큰 아이 고3 첫 모의고사를 본 후 상담을 하기 위해 은광여고를 갔다. "고 3때는 누구나 열심히 하기 때문에 첫 시험 점수가 끝까지 갑니다. 1, 2점 오르면 잘 오르는 것입니다. 이 학생은 수능점수가 260(400점 만점)이군요. 내신은 40명 중 29등이구요. 이 성적이면 수도권 대학도 들어갈까 말까 입니다." 눈 앞이 캄캄하고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다. 그날 유난히 가파른 은광여고 산꼭대기를 울면서 내려왔다. 그러나 나는 학교에서 돌아온 딸에게 담임의 말과 꼭 반대로 말했다. "260점이면 앞으로 올라갈 수 있는 여지가 얼마나 많으냐. 사탐과탐(각각60점 만점)에서 50점을 올리고 언어에서 20점 올리고 남어지 과목에서 10이나 20점씩만 올리면 100점이 올라가네. 그럼 360점이구나. 그러다가는 서울대도 가겠다. 넌 수학을 잘 하니 가능하다. 엄마는 너의 저력을 믿는다." 전국을 떠돌아 다니며 전학이나 다녔을 뿐 딸 애는 자기가 공부를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해 보질 않았다. 허지만 엄마 말을 듣고 보니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아이는 그때부터 정말 열심히 공부를 했다. 그해 수학능력 시험은 다행이 쉽게 나와 변별력이 크지 않았다. 그저 침착하게 실수만 하지 않으면 되었다. 신기하게도 딸애는 엄마가 계산한 대로 360점을 받았다. 둘째 아이는 고3 첫 모의고사를 320점을 받아왔다. 언니에 비하면 놀라운 점수였다. "언니는 100점도 올렸는데 50점은 못올리겠냐. 여태까지 놀았으니 니 인생의 전부를 걸고 한 번 해 봐라." 첫 아이 때보다 변별력이 더 없었던 수능시험에서 둘째아이 역시 엄마가 예상한 점수를 받아왔다. 원서를 쓰러 학교에 갔더니 선생님들이 고3 첫 모의고사와 수능 점수를 비교해 보고 있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첫 모의고사 점수와 비슷하게 나왔다고 한다. 지금 큰 아이는 이화여대 컴퓨터학과를 졸업하고 로펌회사 <김&장>에 근무하고 있고 작은 아이 역시 이화여대 신방과(언론홍보영상학부)를 졸업하고 얼마 전 EBS에 입사했다. 돌아켜 생각하면 매순간 마다 아찔했던 시간들이었다. 내가 애들에게 해 준 것은 좋은 환경도 고액 과외도 아니었다. 할 수 있다는 믿음을 준 것 뿐이다. 가르치는 것도 교육이지만 믿고 기다리는 것 또한 교육이 아닐까 생각한다. "엄마는 어떻게 강남에서 전혀 강남 엄마들 같지 않게 교육을 시켰어? 대학에 와 들어보니 다른 애들 엄마들은 보통 극성이 아니었던데....." "엄마가 극성을 떨었으면 너희들이 더 잘 되었을 거 같애?" "그건 안 그래. 근데 놀란 것은 엄마가 어떻게 알파벳 겨우 가르쳐 중학교를 보냈냐는 거야. 그 흔한 속셈학원이나 영어학원 한 번 보내지 않고...이건 무지인지 배짱인지.... 중학교 들어가서 영어 잘 하는 애들한테 주눅이 든 것이 아직까지 난 영어 하면 주눅부터 들어." 이제 주눅이 든 영어를 극복하는 것은 아이들 몫이다.
2006.02.09 22:59:07 (*.55.50.6)
긍정적인 사고방식이 나와 같내요 난 조금더해 낙천적이죠
딸애 고3때 하도 힘들어 하길래 매일 학교에서 돌아오면 자라고했죠 공부하라는 소리는
접어두고 그후 딸왈 친구하고 하는소리 난 엄마가 자라는대로 다 잤으면 대학에 못들어갔어
어느 대학에 갔느냐고요 인천에 하버드대힉이죠(불문과) 지금은4개국어를 능통하게 하니까
자랑할려고 하는게 아니라 공부는 스스로 하게 하는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 터득한거죠.
딸애 고3때 하도 힘들어 하길래 매일 학교에서 돌아오면 자라고했죠 공부하라는 소리는
접어두고 그후 딸왈 친구하고 하는소리 난 엄마가 자라는대로 다 잤으면 대학에 못들어갔어
어느 대학에 갔느냐고요 인천에 하버드대힉이죠(불문과) 지금은4개국어를 능통하게 하니까
자랑할려고 하는게 아니라 공부는 스스로 하게 하는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 터득한거죠.
2006.02.10 11:42:04 (*.145.210.128)
우와! 4개국어면 한국어 일본어 불어 영어?
따님이 대단합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지요.
<긍정의 힘>이란 그 어떤 것보다 더 큰 힘인 것 같습니다.
유순애 선배님 박윤옥 후배
귀한 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따님이 대단합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지요.
<긍정의 힘>이란 그 어떤 것보다 더 큰 힘인 것 같습니다.
유순애 선배님 박윤옥 후배
귀한 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2006.02.10 21:09:46 (*.51.15.129)
가끔 들어와 읽는 코너인데 나 깜짝 놀랬답니다.
내가 김포군 검단면이 고향이고
내가 우리 아버지가 공무원인 관계로 초등학교 6번 전학 다녔고,
그래도 졸업때 우등 상 받아 맞선 보는 자리에서도
얘는 시집가면 적응 잘 할 것이다 라는 것이
우리집 쪽의 자랑꺼리 였답니다.
지금 그런데로 잘 적응해서 잘 살고 있고요.
전학 두려워 안해도 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우리 딸 은광 여고 나왔답니다.
대학 전공을 원하지 않는 곳(수학 교육과)에 억지로 가게하고
졸업하게 했더니, 졸업 후 결국 자기가 원하는 것을시작해서
지금 까지 (29세) 학생이랍니다.-유학까지 가서
그런데 자기가 하고 싶은 것(패션 마케팅)을하니 열심히는 합니다.
결론은 아이들은 칭찬해주고, 자신감을 심어주고,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시키면 성공하고 행복하게 사느 것 같더라고요.
내게 익숙한 단어- 김포, 6번 전학, 은광 여고 등 귀에 읽은 단어가 나와 몇 자 적었습니다.
내가 김포군 검단면이 고향이고
내가 우리 아버지가 공무원인 관계로 초등학교 6번 전학 다녔고,
그래도 졸업때 우등 상 받아 맞선 보는 자리에서도
얘는 시집가면 적응 잘 할 것이다 라는 것이
우리집 쪽의 자랑꺼리 였답니다.
지금 그런데로 잘 적응해서 잘 살고 있고요.
전학 두려워 안해도 되는 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우리 딸 은광 여고 나왔답니다.
대학 전공을 원하지 않는 곳(수학 교육과)에 억지로 가게하고
졸업하게 했더니, 졸업 후 결국 자기가 원하는 것을시작해서
지금 까지 (29세) 학생이랍니다.-유학까지 가서
그런데 자기가 하고 싶은 것(패션 마케팅)을하니 열심히는 합니다.
결론은 아이들은 칭찬해주고, 자신감을 심어주고,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시키면 성공하고 행복하게 사느 것 같더라고요.
내게 익숙한 단어- 김포, 6번 전학, 은광 여고 등 귀에 읽은 단어가 나와 몇 자 적었습니다.
2006.02.11 08:17:17 (*.104.118.180)
선배님 반갑습니다.
예전에는 김포군 검단이었는데 요즘은 인천광역시라고 하네요.
우리 아이도수학교육과 가라고 떠밀었었는데
이놈 고집이 워낙에 쎄서 우리가 졌습니다.
우리 아이는 올 해 27이 되니
엄마들도 아이들도 고등학교 선후배네요.
패션 마케팅은 패션을 파는 건가 뭐가요?
암튼 멋진 것임에 틀림없을 겁니다.
저도 아버지 덕분에 전학과 이사를 많이 다녔는데
별 거 아니더라구요.
예전에는 김포군 검단이었는데 요즘은 인천광역시라고 하네요.
우리 아이도수학교육과 가라고 떠밀었었는데
이놈 고집이 워낙에 쎄서 우리가 졌습니다.
우리 아이는 올 해 27이 되니
엄마들도 아이들도 고등학교 선후배네요.
패션 마케팅은 패션을 파는 건가 뭐가요?
암튼 멋진 것임에 틀림없을 겁니다.
저도 아버지 덕분에 전학과 이사를 많이 다녔는데
별 거 아니더라구요.
2006.02.11 09:53:16 (*.51.15.129)
네 맞아요. 지금은 인천시 서구 당하동이라고 하더라구요.
예전에 학교 갔다 오다가 산에서 진달래 꽃 따 먹고 이리뛰고
저리 뛰고 참 재미있었는데 지금은 공장 지대로 변해서
동네가 아주 몹쓰게 변했더라고요.
딸은 뉴욕의 파슨스 다니는데요, 주로 의류 회사를 방문해서
여러가지 경영 전략 등을 조사를 하고 그런데요.
시집도 보내야 하는데 큰 일이여요. 중매 좀 하셔요.
그 쪽에 있는 총각 있으면 좋겠는데.
활발한 편이고 성격 좋고 크리스찬이고 적당한 키에 보통 얼굴..
내가 지금 뭐 하고 있는 건가? 우리 애 알면 뭐라 할 텐데.
급하긴 급했나 봐요. ㅎㅎㅎ
예전에 학교 갔다 오다가 산에서 진달래 꽃 따 먹고 이리뛰고
저리 뛰고 참 재미있었는데 지금은 공장 지대로 변해서
동네가 아주 몹쓰게 변했더라고요.
딸은 뉴욕의 파슨스 다니는데요, 주로 의류 회사를 방문해서
여러가지 경영 전략 등을 조사를 하고 그런데요.
시집도 보내야 하는데 큰 일이여요. 중매 좀 하셔요.
그 쪽에 있는 총각 있으면 좋겠는데.
활발한 편이고 성격 좋고 크리스찬이고 적당한 키에 보통 얼굴..
내가 지금 뭐 하고 있는 건가? 우리 애 알면 뭐라 할 텐데.
급하긴 급했나 봐요. ㅎㅎㅎ
2006.02.12 06:28:52 (*.116.45.193)
김용숙 후배, 참 맘에 안드는 사람이네!
패션 마케팅하고싶은 딸을 뭐 수학교육을 시켰다고라? [완전수학]...이런 책 써서 빌딩 한둬채 지라 할려고?
그나저나 나도 조카 노총각들이...하나는 뉴욕에 하나는 토론토에 산다오. 사진교환해볼까요 우리?
패션 마케팅하고싶은 딸을 뭐 수학교육을 시켰다고라? [완전수학]...이런 책 써서 빌딩 한둬채 지라 할려고?
그나저나 나도 조카 노총각들이...하나는 뉴욕에 하나는 토론토에 산다오. 사진교환해볼까요 우리?
2006.02.12 08:55:12 (*.51.15.129)
어머나 좋아요. 저 언니 잘 알고(워낙 유명했으니까) 언니도 저 어렴푸시
알꺼여요. 박정희 할머니 홈피의 회원이라 자주 보고 있지요.
메일 주소 잠시 올려 주셔요. 24시간 안에 볼께요.
오늘 하루도 평안하게 지내시기를...
알꺼여요. 박정희 할머니 홈피의 회원이라 자주 보고 있지요.
메일 주소 잠시 올려 주셔요. 24시간 안에 볼께요.
오늘 하루도 평안하게 지내시기를...
2006.02.12 12:58:18 (*.145.208.199)
ㅎㅎ 그러네요.
인연이면 어디 있든지 닿을 겁니다.
근데 요즘 애들 시집 장가 갈려고 하는지 모르겟어요.
우리집은 작은 아이는 사귀는 애가 있어
언니가 얼른 가기 바라는데
언니는 갈 생각을 조금도 안해요.
꺼꾸로라도 보내려고 합니다.
시집가는 날이 코 꽤는 날이라고요.
맞는 말 같기도 하고 안같기도 하고....
인연이면 어디 있든지 닿을 겁니다.
근데 요즘 애들 시집 장가 갈려고 하는지 모르겟어요.
우리집은 작은 아이는 사귀는 애가 있어
언니가 얼른 가기 바라는데
언니는 갈 생각을 조금도 안해요.
꺼꾸로라도 보내려고 합니다.
시집가는 날이 코 꽤는 날이라고요.
맞는 말 같기도 하고 안같기도 하고....
2006.02.12 21:07:36 (*.116.45.193)
내 이멜은 say1000@pcu.ac.kr. 그리고 좋은 동문들끼리 사돈되는거 ㄴ쁠거 없어요. 다만 예민한 문제라...진행중에 서로 실케될까봐들 저어하는 거겠죠. 우린 덤덤한 마음으로...그저 하늘의 뜻이 여기 있는가...살펴보는거니까! 마침 조카가 3월에 잠간 귀국한다 함.
김포식 교육으로 영어정복도 멀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