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그리기
이른 아침이었다.
내가 앙코르와트 사원을 돌아 본 시간은 아침 7시가 조금 지났으니까.
아직 관광객들이 많이 붐비지 않는 사원을 돌아보다가 저쪽 한 구석에서 무언가를 열심히 하고 있는 사람들을 보았다.
호기심에 가까이 가서 보니 한 여인이 삭도를 가지고 아이의 머리를 밀고 있었다.
반 이상이나 밀어낸 것으로 보아 그들은 아주 일찍부터 이 일을 하고 있는 것이 분명했다.
곁에서 두 아이와 한 할머니가 지켜보는 가운데 아이는 잡혀 온 짐승처럼 그저 머리를 대 주고 있었다.
면도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비누질을 한다거나 젤 같은 것을 바르지도 않고 마른 털을 조금씩 박박 밀어내고 있었다.
아주 조금씩 아이의 머리털이 밀려 나왔다.
피는 나지 않았지만 머리 가죽이 벗겨지는 것처럼 아프게 느껴졌다.
그들은 모두 제사의식을 치르는 사람들처럼 아주 진지했다.
내가 가까이 다가가서 한참을 바라 보아도 아무도 나에게 눈길을 주지 않았다.
다만 머리를 밀고 있는 아이가 비스듬히 누운채로 나를 힐끗 쳐다 볼 뿐이었다.
나는 그들이 가난 때문에 아이를 승려로 만들려고 준비하는 것이리라 추측하고
어쩌면 여기에서 관광객들에게 교묘한 구걸행각을 벌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그들 손에 얼마를 쥐어 주면 아이를 놓아 줄까?
"아마 아이를 승려로 만들려는 모양인데 왜 하필 여기에 와서 머리를 깎을까?
혹시 돈을 벌려고 저러고 있는 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일행에게 돌아와서도 계속 내 시선이 그들에게서 떠나지 못하자 친절한 잇디씨가 얼른 그들에게로 달려갔다.
그리고는 한참을 그들과 이야기를 하고 돌아와서 내게 말했다.
"저 아이는 승려가 되려는 것이 아니예요.
지금 머리를 깎고 있는 저 여자가 중한 병에 걸렸을 때 이렇게 기도를 했답니다.
자기의 병을 낫게 해 주면 이 사원에 와서 아이의 머리를 깎겠다고 말입니다.
다행히 여자의 병이 다 나았고 오늘 그 약속을 지키려고 저러고 있답니다"
아니, 뭐라고 ?
제 병을 낫게 해 주면 아들의 머리를 밀겠다고 서원을 했단 말씀 ?
이 무슨 염치 없는 경우란 말인가.
제 병이 나았으면 제 머리를 밀어서 감사의 표시를 할 것이지 왜 하필 자식이람.
제가 낳았으니 자식은 자기의 소유라고 착각하는 모정이 와락 미우면서도 가슴이 짠했다.
내 속 어딘가에도 저런 착각 심리가 아주 없다고는 장담을 못하겠고,
너나없이 에미라 이름붙은 족속들에게는 다 비슷비슷한 마음 구석이 있다 싶어서....
고걸 눌러 체크를 하고, 춘선이가 원하는 소스(전에 한 것과 같은 embed로 나가는 것)를 옮겨 넣어.
그리고 다시 체크를 해제해 봐봐. 그리고 댓글을 등록해봐봐.
또, 그림등 퍼오는 것들도 사각창에 체크를 해 넣으렴.
그럼 퍼 온 그림도 잘 보이니깐...
1. 남몰래흘리는눈물
2. Fairytale
3. 브룩클린으로가는 마지막비상구
4. Poeme-가을추억
5. Dream Catcher
6. In Our Tears
7. Sanctuary
8. 녹턴
9. 봄의세레나데
10. 샤콘느
11. 파리넬리 울게하소서
12. Last Present
13. Love Of Life
14. Song From A Secret Garden
15. 러브어페어
그냥 틀어 놓고 일을 하기 좋은 음악들이 많이 있어서 퍼다 놓았어요.
첫 곡만 쪼매 비장한 느낌이고 나머지는 다 말랑말랑해요.
아 ~ 함.... (저절로 하품이 나오는 소리)
요즘 제게 딱 어울리는 표현이 뭐냐하믄요
거 참...놀기도 힘드네.....
옛말이 틀린 거 하나도 없어요.
노세 노세 젊어서 놀아
늙어지면 못노나니...
노는 것두 체력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라는 실감하고 있답니다.
하이고 졸려서 그만 들어갈랍니더.
.gif)
언니들 생각을 했어요.
하이고 울 언니덜 이리 가파른 곳을 우찌 오셨을꼬....
수노 언니 ~
한 살이라도 젊고 힘이 있을 때 많이 다니세요.
노인들이 지팡이 짚고 힘겹게 다니는 것을 보면 정말 안쓰러워요.
본인들도 힘들겠지만 보는 사람들도 힘들다니까요.
앙코르와트는 오후 5시 이후에는 돈을 받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전날 저녁에 공짜로 해 넘어 갈때까지 반 정도 돌아 보고 (1인당 입장료 $20)
다음날 아침 일찍 다니면서 보니까 덥지도 않고 아주 좋았어요.
게다가 승용차로 이동을 하니까 걷는 구간도 별로 없었고요.
잘 된 사진도 몇 장 있는데 천천히 올릴게요.
우선 홈피에 적응 좀 더 하고요.
.gif)

요 계단이 엄청나게 무섭더만... 그래도 다들 잘 오르내리더군요.
춘선인 좋은 계절에 다녀왔네.
나는 여행이고 먹는거고 뭐고 다 귀찮았어, 너무너무너무 더워서....
아니 어쩌면 그것은 아직 인간의 마음 속에 물질이 들어 와서 주인 노릇을 하지 않는다는 증거인지도 모른다.
비록 사는 것은 불편하고
얼굴도 까칠하고 손은 나무 등걸 같이 딱딱하지만
사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살아가는 그들에게서 나는 오히려 부자에게는 없는 평안을 보았다.
거미를 튀겨 먹고, 작은 새며 뱀은 물론 이름모를 곤충까지 다 볶아서 먹지만
그네들의 웃음에는 가식이 없이 너무도 해맑아 보였다.
무엇이 삶의 우선된 가치인지 생각해 보게 된다.
하지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그들에게도 서서히 물질 문명의 위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애고 어른이고 할 것 없이 관광객에게는 무조건 원달라를 외치며 터무니없는 바가지를 씌우기도 하고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닥치는대로 내다 팔아 돈을 버는 것도 배우고 있었다.
미국에서 들여 온 폐차 직전의 중고차를 타고 중앙선조차 없는 도로를 달리면서도 돈의 위력을 배우고
일본차를 한 대 사면 덤으로 끼워 주는 아지노모도를 듬뿍 쳐서 먹으며 입맛이 진화하는 것이라 여겼다.
순진무구한 눈빛을 지녔던 많은 사람들이 약삭빠르게 사는 것을 더 나은 삶의 덕목으로 여기는 듯했다.
특히 외지인들이 지나가는 길목에 사는 사람들이 먼저 변하는 것 같았다.
비닐 봉지에다 과일을 먹기 좋게 깎아 담아 가지고는 무조건 원달라를 불렀다.
캄보디아 사람들에게 1달러는 그리 작은 돈이 아니어서 그 돈이면 과일을 수북하게 한 무더기를 살 수 있는데
관광객들에게 순진한 얼굴의 아이들이 천연덕스럽게 바가지를 씌우고 있는 것이다.
하도 아이들이 벌떼처럼 달려들어 서로 제 것을 사달라고 조르니까
잇디씨가 얼른 제주머니에서 캄보디아 돈을 꺼내 주고 이름도 모르는 과일을 한봉지 샀다.
나중에 차에서 얼마냐고 물어보니 우리 돈으로 200원 주었단다.
들큰한 맛만 있고 쥬스도 별로 없어서 팍팍한 것이 과육도 시원치 않아 먹을 것이 못 되었다.
광야 온 ~
.gif)
왜 사진이 보이지 않는거죠?
분명 첨부화일로 올렸는데....
그리고 음악은 또 어떻게 가져다 올리죠?
먼저 하던 방식대로 하니까 안되네요.
아무래도 난 아직 새집에 적응을 못하고 있나봐 .... 잉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