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수 2,306
가을에 바라보는 바위는 왠지 씩씩해 보이네.
오랜만이지?
오늘은 아무 것도 안 하고 친구들에게 안부 편지 써야지 하고 생각했다.
다들 잘 있지요?
나도 니들과 마찬가지로 늘 들어와 보는데 쓰지는 못 하고 있었지. 당췌(요즘 이 말이 유행인가 봐) 여유가 안 생기더라고.
음~ 난 대체로 잘 지내고 있어. 물론 고달픈 일들도 많았지. 뭐 그래도 그냥 아주 절박한 일 아니면 시간 가니까 쪼매 쪼매 해결되더라구. 언젠가 최미영이가 쓴 글에 있었지? -이 모든 것은 지나가리라- 정말 그렇더라구.
학교에서 난 임감독님(?)으로 자리잡았고, 그래서 며칠 전에 아이들이 요리 실습을 했는데 임감독님 초대장 많이 받았다는 거 아니니.
수업이 끝나고 한적한 운동장에서 선 후배들의 부러운 눈길을 받으며 운동을 하는 게 참 자랑스럽고 좋은가 봐.
보기도 좋아. 가능하면 운동장에 나가 구경하곤 해.
훌륭한 패스나 슬라이딩, 인터셉트나 슛 할 때는 반드시 슬며시 쳐다보며 씩 웃어 줘야 하거든.
나 원 참...... 앞으로 또 무슨 일을 할지....... 얘들아 사람이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만 하는 건 아닌가 봐.
얼마 전에 있었던 언어치료 건물 개관식을 위한 학예발표회는 너무 감동적이어서 하염없이 눈물이 났어.
음악 선생이 올해 초에 왔는데 원래 오페라를 전공하던 음악학도였어(기막히게 노래 잘 해, 지금까지 본 사람 중에 최고야!!! 선희 빼고....).
근데 대학 졸업 할 때 쯤 목에 병이 생겼대. 잘 하기는 하지만 오페라 가수가 되기에는 문제가 생긴 거지.
그래서 특수음악으로 대학원을 하고 특수학교로 온 거야.
근데 정말 성격이 좋고 후덕해서 어찌나 보기가 좋은지 몰라.
그 선생이 아이들에게 합주를 가르치는데 서양 노래와 사물놀이를 섞어서 가르치더라.
원래 선생이 잘 알면 쉽게 가르치잖아. 그래선지 아이들이 쉽게 배우더라고.
합주는 <문 리버>를 커다란 실로폰(?)으로 두 아이가 치고 나머지는 박자를 맞추는 타악기를 치는 것으로 시작해.
마지막 부분에서는 아리랑을 아이들이 직접 부르며 격렬한 사물놀이로 짜릿하고 빠르게 끝나.
청각장애아들 말 하는 거 들어 봤니? 노래는 ?
훈련이 잘 된 아이들은 비교적 자연스러운데 보통은 그렇지 못하거든.
아이들이 그 꺽꺽한 발음과 발성으로 박자를 맞쳐가며 아리랑을 부르는 부분에서 참 뭐라 말할 수 없는 그런 느낌이 들더라.
장관이었어.
자기 긍정? 뭐랄까? 암튼 눈물이 주루룩 흘렀어.
슬픔이 아니었어.
뿌듯함, 안정감, 기쁨 이런 감정이었고, 아이들 표정처럼 내 맘이 평화로웠어.
그리고 저런 훌륭한 선생과 함께 한다는 게 너무나 고마워서 내 몸의 한 배 반은 되는 그 선생을 꽉 안아 주었지.
그나저나
정말 햇빛이 곱고 바람 좋고 그래서 보이는 모두가 다 예뻐 보이니 친구들이랑 걷고 싶다는 마음이 물씬 물씬 들어.
약속할 수 없는 나 같은 사람 빼고 시간 좀 되고 맘 여유 있는 친구들 만나서 좋은 시간 보내면 좋겠구나.
친구들 만나서 하하호호 웃는 시간 가지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약속에 대한 부담감이 크니 도대체 나 뭐하는 건지 모르겠어.
좋은 책을 읽으면 아! 이 생각을 아이들하고 나누고 싶다 이런 생각도 들고, 좋은 노래 들어도 이 마음을 전하고 싶다 이런 생각도 들고 이러니 느그들이 나에게 힘을 주는 게 맞는 거 같다.
아무나 생각해도 실실 웃음이 나오니까.
배고플 땐 양순이, 꼬추(?) 보면 선희ㅎㅎ, 등산객 보면 화 생각나고, 좋은 목소리 들으면 숙희 생각나고, 조그맣고 동그란 여자 보면 효은이 생각나고, 천안 아래 얘기만 들으면 무조건 대전댁들 생각나고. 외국에 사는 친구들.....
혜숙이가 얘! 나는? 하겠다. 넌 언제나 우리 사이에 흐르는 따뜻한 물이잖아.
니네도 해 봐. 누구? ㅎㅎ 누구? ㅎㅎ 누구? ㅎㅎ 비시식~~
아마 그럴 걸.
잘 지내자~
오랜만이지?
오늘은 아무 것도 안 하고 친구들에게 안부 편지 써야지 하고 생각했다.
다들 잘 있지요?
나도 니들과 마찬가지로 늘 들어와 보는데 쓰지는 못 하고 있었지. 당췌(요즘 이 말이 유행인가 봐) 여유가 안 생기더라고.
음~ 난 대체로 잘 지내고 있어. 물론 고달픈 일들도 많았지. 뭐 그래도 그냥 아주 절박한 일 아니면 시간 가니까 쪼매 쪼매 해결되더라구. 언젠가 최미영이가 쓴 글에 있었지? -이 모든 것은 지나가리라- 정말 그렇더라구.
학교에서 난 임감독님(?)으로 자리잡았고, 그래서 며칠 전에 아이들이 요리 실습을 했는데 임감독님 초대장 많이 받았다는 거 아니니.
수업이 끝나고 한적한 운동장에서 선 후배들의 부러운 눈길을 받으며 운동을 하는 게 참 자랑스럽고 좋은가 봐.
보기도 좋아. 가능하면 운동장에 나가 구경하곤 해.
훌륭한 패스나 슬라이딩, 인터셉트나 슛 할 때는 반드시 슬며시 쳐다보며 씩 웃어 줘야 하거든.
나 원 참...... 앞으로 또 무슨 일을 할지....... 얘들아 사람이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만 하는 건 아닌가 봐.
얼마 전에 있었던 언어치료 건물 개관식을 위한 학예발표회는 너무 감동적이어서 하염없이 눈물이 났어.
음악 선생이 올해 초에 왔는데 원래 오페라를 전공하던 음악학도였어(기막히게 노래 잘 해, 지금까지 본 사람 중에 최고야!!! 선희 빼고....).
근데 대학 졸업 할 때 쯤 목에 병이 생겼대. 잘 하기는 하지만 오페라 가수가 되기에는 문제가 생긴 거지.
그래서 특수음악으로 대학원을 하고 특수학교로 온 거야.
근데 정말 성격이 좋고 후덕해서 어찌나 보기가 좋은지 몰라.
그 선생이 아이들에게 합주를 가르치는데 서양 노래와 사물놀이를 섞어서 가르치더라.
원래 선생이 잘 알면 쉽게 가르치잖아. 그래선지 아이들이 쉽게 배우더라고.
합주는 <문 리버>를 커다란 실로폰(?)으로 두 아이가 치고 나머지는 박자를 맞추는 타악기를 치는 것으로 시작해.
마지막 부분에서는 아리랑을 아이들이 직접 부르며 격렬한 사물놀이로 짜릿하고 빠르게 끝나.
청각장애아들 말 하는 거 들어 봤니? 노래는 ?
훈련이 잘 된 아이들은 비교적 자연스러운데 보통은 그렇지 못하거든.
아이들이 그 꺽꺽한 발음과 발성으로 박자를 맞쳐가며 아리랑을 부르는 부분에서 참 뭐라 말할 수 없는 그런 느낌이 들더라.
장관이었어.
자기 긍정? 뭐랄까? 암튼 눈물이 주루룩 흘렀어.
슬픔이 아니었어.
뿌듯함, 안정감, 기쁨 이런 감정이었고, 아이들 표정처럼 내 맘이 평화로웠어.
그리고 저런 훌륭한 선생과 함께 한다는 게 너무나 고마워서 내 몸의 한 배 반은 되는 그 선생을 꽉 안아 주었지.
그나저나
정말 햇빛이 곱고 바람 좋고 그래서 보이는 모두가 다 예뻐 보이니 친구들이랑 걷고 싶다는 마음이 물씬 물씬 들어.
약속할 수 없는 나 같은 사람 빼고 시간 좀 되고 맘 여유 있는 친구들 만나서 좋은 시간 보내면 좋겠구나.
친구들 만나서 하하호호 웃는 시간 가지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약속에 대한 부담감이 크니 도대체 나 뭐하는 건지 모르겠어.
좋은 책을 읽으면 아! 이 생각을 아이들하고 나누고 싶다 이런 생각도 들고, 좋은 노래 들어도 이 마음을 전하고 싶다 이런 생각도 들고 이러니 느그들이 나에게 힘을 주는 게 맞는 거 같다.
아무나 생각해도 실실 웃음이 나오니까.
배고플 땐 양순이, 꼬추(?) 보면 선희ㅎㅎ, 등산객 보면 화 생각나고, 좋은 목소리 들으면 숙희 생각나고, 조그맣고 동그란 여자 보면 효은이 생각나고, 천안 아래 얘기만 들으면 무조건 대전댁들 생각나고. 외국에 사는 친구들.....
혜숙이가 얘! 나는? 하겠다. 넌 언제나 우리 사이에 흐르는 따뜻한 물이잖아.
니네도 해 봐. 누구? ㅎㅎ 누구? ㅎㅎ 누구? ㅎㅎ 비시식~~
아마 그럴 걸.
잘 지내자~
2007.11.04 20:11:08 (*.10.79.159)
옥규야,
나, 꼬추 앞에 (?)표시해서 이상한 생각했었어.::$
선희 그만하다니 기쁘구나.
혜숙이, 선옥이는 꼬마들때문인지 .... 도통 볼 수가 없으니.
옥규는 이렇게 커서도 동네 친구들 만나니 좋겠네.
우리 작은아이 어젯밤 오랫만에 동네 친구들하고 누구네 집에 모여
축구보고 오다가 발을 겹질러서 발목이 퉁퉁 부었네.
꼬마야, 나좀 한가해 보자구!
나, 꼬추 앞에 (?)표시해서 이상한 생각했었어.::$
선희 그만하다니 기쁘구나.
혜숙이, 선옥이는 꼬마들때문인지 .... 도통 볼 수가 없으니.
옥규는 이렇게 커서도 동네 친구들 만나니 좋겠네.
우리 작은아이 어젯밤 오랫만에 동네 친구들하고 누구네 집에 모여
축구보고 오다가 발을 겹질러서 발목이 퉁퉁 부었네.
꼬마야, 나좀 한가해 보자구!
2007.11.05 08:45:08 (*.252.61.154)
아휴, 추워.
동네 친구들..
옥규씨가 풀잎같다고 한 최미영씨(사실은 여기서 사진으로만 압니다.)..
초중고 동창 친구들..
그냥 상상 속에서 만나는 거지요.
송림동 우리동네 자리에는 아파트건설회사의 철판펜스가 둘러쳐져 있었는데
그 틈새로 간신히 들여다 본 고향동네는 너무도 작아서
아파트 몇 채가 들어서면 꽉 찰 것같았습니다.
그 작은 동네에서 그 많은 일들이!
눈짐작으로 옥규네집, 미영이네집, 인기네집,정모네집, 금배네집,형남이네집,영섭이네집...
버드나무터,느티나무터, 말무덤터,삼형제나무터, 바가지우물터,.......
더듬어보았는데,
그 자리에 아파트를 짓는다면
옥규네는 101호, 미영이네는 301호, 인기네는 107호, 정모네는 108호, 우리집은 109호,
형남이와 영섭이네는 옆동 끝호 쯤 될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어제는 천축사(天竺寺)를 지나 마당바위에 올랐습니다.
어느 아이가 말했습니다."마당이라서 넓다."
또 다른 아이가 말하길, "마당이라서 따뜻하다."
어느 어른이,"호호, 옹기종기 모여서 뭘 먹고 하는 것이 꼭 비둘기떼 보는 것같아."
저는,"정화씨가..음..안계시네."
도봉산입구에서 왕복 두시간이면 족할 것을
늦단풍을 즐겨 구경할겸 약간 삔 다리근육을 다독이며 걷다보니
네시간 가까이 걸렸고 온 몸이 긴장했지만 따뜻한 물에 몸을 씻고 잠을 잘 잤습니다.
동네 친구들..
옥규씨가 풀잎같다고 한 최미영씨(사실은 여기서 사진으로만 압니다.)..
초중고 동창 친구들..
그냥 상상 속에서 만나는 거지요.
송림동 우리동네 자리에는 아파트건설회사의 철판펜스가 둘러쳐져 있었는데
그 틈새로 간신히 들여다 본 고향동네는 너무도 작아서
아파트 몇 채가 들어서면 꽉 찰 것같았습니다.
그 작은 동네에서 그 많은 일들이!
눈짐작으로 옥규네집, 미영이네집, 인기네집,정모네집, 금배네집,형남이네집,영섭이네집...
버드나무터,느티나무터, 말무덤터,삼형제나무터, 바가지우물터,.......
더듬어보았는데,
그 자리에 아파트를 짓는다면
옥규네는 101호, 미영이네는 301호, 인기네는 107호, 정모네는 108호, 우리집은 109호,
형남이와 영섭이네는 옆동 끝호 쯤 될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어제는 천축사(天竺寺)를 지나 마당바위에 올랐습니다.
어느 아이가 말했습니다."마당이라서 넓다."
또 다른 아이가 말하길, "마당이라서 따뜻하다."
어느 어른이,"호호, 옹기종기 모여서 뭘 먹고 하는 것이 꼭 비둘기떼 보는 것같아."
저는,"정화씨가..음..안계시네."
도봉산입구에서 왕복 두시간이면 족할 것을
늦단풍을 즐겨 구경할겸 약간 삔 다리근육을 다독이며 걷다보니
네시간 가까이 걸렸고 온 몸이 긴장했지만 따뜻한 물에 몸을 씻고 잠을 잘 잤습니다.
2007.11.06 11:57:53 (*.252.61.154)
아래에 있는 유설희간호학원 확장 이전 개업식 제하의 글 댓글을 보니,
정인옥씨가 내일 한국에 오신다는군요.
정인옥씨 집은 동산고 정문 건너편이었는데
그러다 보니 정인옥씨가 동산고 아카시아꽃을 많이 땄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조금 옆 오르막길 왼쪽 옆에는 송림3동 동회가 있었고
고길 지나 왼쪽으로 올라가면 김춘선씨네 집.
비가 몹시 오던 어느날,
억수같은 비를 당할 수 없어 우산을 접고 올라가는데
아니, 제가 좋아하던 여학생이 친구와 함께 우산을 받고 올라가는 것 아닙니까?
길에 서서 멍하니 보고 있던 저에게 옆에 있던 친구(제가 좋아하던 여학생보다 더 이쁜) 가 하던 말,
"깔깔,,얘, 쟤 미쳤나봐. 우산이 있는데 비를 맞고 있네!"
그 질러대던 말의 품새를 보아 여장부 김춘선씨가 아니었나...
봄날 최순희 선배님은 사진도 요것 조것 찍어 올리시면서
재미있게 일상사를 말씀하시던데
그 흔한 디카도 없고 그냥 말로만 때웁니다...긁적긁적
오늘의 횡설수설 끝~
--보수꼴통을 자처하여 임벌떡선생님의 정적이 된 사람--
정인옥씨가 내일 한국에 오신다는군요.
정인옥씨 집은 동산고 정문 건너편이었는데
그러다 보니 정인옥씨가 동산고 아카시아꽃을 많이 땄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조금 옆 오르막길 왼쪽 옆에는 송림3동 동회가 있었고
고길 지나 왼쪽으로 올라가면 김춘선씨네 집.
비가 몹시 오던 어느날,
억수같은 비를 당할 수 없어 우산을 접고 올라가는데
아니, 제가 좋아하던 여학생이 친구와 함께 우산을 받고 올라가는 것 아닙니까?
길에 서서 멍하니 보고 있던 저에게 옆에 있던 친구(제가 좋아하던 여학생보다 더 이쁜) 가 하던 말,
"깔깔,,얘, 쟤 미쳤나봐. 우산이 있는데 비를 맞고 있네!"
그 질러대던 말의 품새를 보아 여장부 김춘선씨가 아니었나...
봄날 최순희 선배님은 사진도 요것 조것 찍어 올리시면서
재미있게 일상사를 말씀하시던데
그 흔한 디카도 없고 그냥 말로만 때웁니다...긁적긁적
오늘의 횡설수설 끝~
--보수꼴통을 자처하여 임벌떡선생님의 정적이 된 사람--
2007.11.06 15:20:17 (*.252.61.154)
심심해서 40년 후 어제 일어난 일이라면? 하고 생각해 보았더니,
저는 아랫도리는 허름한 츄리닝에,
철지난 잠바 웃도리 속에는 서울우유 난닝구를 입고
귤 몇개를 까만 비닐봉지에 넣어 들고 서서, 헤~~하고 쳐다봅니다.
검은 슈트로 정장을 한 김춘선씨가 비식비식 웃으면서,
저의 모양을 보다못해 옆의 귀부인에게 속삭입니다.
"얘,얘, 저 아저씨 좀 봐. 널 쳐다보고 있네. 귤 흘리겠다.후훗"
저는 아랫도리는 허름한 츄리닝에,
철지난 잠바 웃도리 속에는 서울우유 난닝구를 입고
귤 몇개를 까만 비닐봉지에 넣어 들고 서서, 헤~~하고 쳐다봅니다.
검은 슈트로 정장을 한 김춘선씨가 비식비식 웃으면서,
저의 모양을 보다못해 옆의 귀부인에게 속삭입니다.
"얘,얘, 저 아저씨 좀 봐. 널 쳐다보고 있네. 귤 흘리겠다.후훗"
2007.11.06 22:13:32 (*.34.65.229)
[ 이 곳에 흐르고 있는 음악들 ]
임이 오시는지 - Roman De Mareu
그집앞 - Roman De Mareu Orchestra
연인들의 이야기 - 오케스트라 연주
연인들의 이야기 - 최석재
Serenade To Spring(10월의 어느 멋진날에) - Klaus Hallen
에델바이스(사운드 오브 뮤직 OST) - 보석상자
슈베르트 자장가(오르골) - 보석상자
그리운 금강산 - Roman De Mareu
My Heart Will Go On - Gheorghe Zamfir
고향의 봄(하모니카) - 정안
Cavalleria Rusticana(Mascagni) - James Last
Plaisir D`amour - Frank Mills
Lover On The Autumnroad - 남택상
Sundial Dreams - Kevin Kern
Love Makes The World Go Around(맑은바람이 그대를 깨우거든)
- Giovanni Marradi
글 쓰기에 너무나 좋은 곡들이 많네.
특히 그리운 금강산은 예술이여.
곡조가 그대로 가슴이 스며드는구먼.
여기 있는 곡들은 어쩌면 하나같이 다 좋은지....
음악 때문에 진수니도 휠을 받는 모양이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많이 하는 걸 보니.
근데...
40년 후에도 아저씨라고 불러주리라고 기대하는 모양이네.
난 그 때까지 살아 있기도 싫은데 뭔노무 검정 수트를 입고.....
아직도 니 마음은 청년이구먼.
나는 그저 적당한 때를 골라서 아름답게 퇴장했으면 좋겠어.
지금부터 40년 후면 우리 나이 90이 넘어서
이승에 사나 저승에 있으나 똑같다는 소릴 들을테니 말야.
그래서 적당히 친구들 배웅 받으면서 먼저 갔으면 좋겠어.
이러다가 내가 아는 사람 다 배웅해 주면서 백살 넘게 살면 우짜지? ::p
임이 오시는지 - Roman De Mareu
그집앞 - Roman De Mareu Orchestra
연인들의 이야기 - 오케스트라 연주
연인들의 이야기 - 최석재
Serenade To Spring(10월의 어느 멋진날에) - Klaus Hallen
에델바이스(사운드 오브 뮤직 OST) - 보석상자
슈베르트 자장가(오르골) - 보석상자
그리운 금강산 - Roman De Mareu
My Heart Will Go On - Gheorghe Zamfir
고향의 봄(하모니카) - 정안
Cavalleria Rusticana(Mascagni) - James Last
Plaisir D`amour - Frank Mills
Lover On The Autumnroad - 남택상
Sundial Dreams - Kevin Kern
Love Makes The World Go Around(맑은바람이 그대를 깨우거든)
- Giovanni Marradi
글 쓰기에 너무나 좋은 곡들이 많네.
특히 그리운 금강산은 예술이여.
곡조가 그대로 가슴이 스며드는구먼.
여기 있는 곡들은 어쩌면 하나같이 다 좋은지....
음악 때문에 진수니도 휠을 받는 모양이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많이 하는 걸 보니.
근데...
40년 후에도 아저씨라고 불러주리라고 기대하는 모양이네.
난 그 때까지 살아 있기도 싫은데 뭔노무 검정 수트를 입고.....
아직도 니 마음은 청년이구먼.
나는 그저 적당한 때를 골라서 아름답게 퇴장했으면 좋겠어.
지금부터 40년 후면 우리 나이 90이 넘어서
이승에 사나 저승에 있으나 똑같다는 소릴 들을테니 말야.
그래서 적당히 친구들 배웅 받으면서 먼저 갔으면 좋겠어.
이러다가 내가 아는 사람 다 배웅해 주면서 백살 넘게 살면 우짜지? ::p
2007.11.06 23:39:30 (*.34.65.229)
다시 잘 읽어보니 그 때로부터 40년 후란 말인가?
에고... 독해가 잘 안되네.
내가 동문서답한거 같은 느낌이 드누먼. (x6)
에고... 독해가 잘 안되네.
내가 동문서답한거 같은 느낌이 드누먼. (x6)
누구 지지했는데 낙선하고
이번에는
집안 누나가 대통령후보 경선에 함께 출마하길래 됐으면 했는데 낙선하고
전에 우리 애 도와준 하이서울 장학금 관계로
누가 대통령에 출마하면 지지하려고 하다가
요즘은 실망해야 하는지 아닌지 알쏭달쏭하고
누구는 왜 또 나온다 만다 하는 건지 의아하고...
소위 보수꼴통하기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근데, 임씨 댁에는 왜 그 흔한 대통령후보가 없을까?
임선생님이 나오시면 자원봉사 빡세게 할텐데.
얼마 전에
요리실습하는 학생들이 평을 해 달라고 하길래 후한 점수를 주었더니
아저씨 점수 잘 준다고 소문이 났는지
학과별 조별로 아이들이 십여 차례에 걸쳐 식혜, 수정과,쿠키,떡 등을 가져와
맛을 보고 평을 해 달라고 해서
(그 학교 선생님들이 알아서 하시지..)
저, 배터져 죽을 뻔했습니다.^^
황설수설 끝~
** 옥규네 집, 미영이네 집, 형남이네 집, 진수네 집.... 헐렸습니다.ㅠㅠ
-잘 지내는 사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