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수 2,306
봄나들이 갈때가 되었습니다.
특히나 우리네 같은 아낙네들이 즐기는 나물캘때
알아두면 좋은 몇가지 나물들~~~
위와 장에 좋은 냉이
봄나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냉이는 그 향긋하고 독특한 향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맛이 좋다. 특히 살짝 데쳐 된장을 넣고 버무려 먹는 그 맛은 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를 정도. 야채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칼슘 철분이 풍부하고 비티민A가 많아 춘곤증 예방에도 그만이다. 냉이에 함유된 무기질은 끓여도 파괴되지 않으며 특히 푸른잎 속에는 비타민A가 많아 하루 100g만 먹으면 1일 필요량의 3분의 1은 충당이 된다
한방에서는 냉이를 소화제나 지사제로 이용할 만큼 위나 장에 좋고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한다. 또 냉이 부리는 눈 건강에 좋고 고혈압 환자에게 냉이를 달여 먹도록 처방하기도 한다.
한약재로 쓰이는 달래
약간 쓴 듯한 쌉쏘름한 맛이 매력인 달래는 비타민C를 비롯해 갖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고 특히 칼슘이 많아 빈혈과 동맥경화에 좋다. 비타민C는 열에 약한데 달래는 주로 날 것으로 먹기 때문에 조리에 의한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식초를 곁들이면 비타민C가 파괴되는 시간이 연장되므로 달래 무침에는 식초를 치는 게 제격. 된장국에 넣으면 개운한 맛을 내는 알카리성 강장식품이다.
특히 한방에서 불면증 장염, 위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자궁출혈이나 월경 불순 등 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좋아 여성에게 좋은 음식으로 꼽힌다.
피로회복에 좋은 두릅
상큼한 맛과 은은한 향기,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푹 찍어 먹으면 입안에서 싸 하게 퍼지는 봄내음에 정신이 아찔해질 정도. 두릅 나무는 낙엽 관목으로 키가 3∼4m인 작은 나무인데 껍질에 작은 가시가 있어 다른 나무에 비해 쉽게 구분이 된다. 나물로는 봄에 돋아나는 여린 순을 삶아서 먹는다.
단백질과 무기질, 비타민C가 특히 많다. 두룹의 쓴 맛을 나게 하는 사포닌 성분은 혈액순환을 도와줘 피로회복에 좋다. 살짝 대친후 초고추장에 찍어먹어야 비타민이 파괴되지 않느다.
저항력을 높여주는 쑥
쑥에는 신경통이나 지혈에 좋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듬뿍 담겨있다. 비타민A가 많아 하루에 80g만 먹어도 비타민A 하루 권장량을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A가 충분하면 우리 몸에 세균이 침입했을 때 저항력이 강해진다. 쑥에는 또 비타민C가 많아 감기 예방과 치료에 좋은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한방 치료에도 효과가 크다 한다. 해열과 해독, 구취 작용, 혈압강하에 좋고 복통에도 효과가 있어 옛날 사람들은 말린 쑥을 넣은 복대를 만들어 배를 두드리기도 했다.
여름 더위에 강해지는 씀바귀(고들빼기)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씀바귀의 쓴 맛은 미각을 돋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봄철 입맛이 없을 때 새콤하게 무쳐 먹으면 식용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 씀바귀는 위장을 튼튼하게 해 소화기능을 좋게하는 특징이 있는데 옛 어른 들은 이른 봄에 씀바귀 나물을 먹으면 그해 여름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셨다. 꼬들배기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 씀바귀는 열병, 속병에도 좋고 얼굴과 눈동자의 누런기를 없애는 데도 좋다고 하니 올 봄엔 씀바귀 나물로 맑은 눈을 가꿔 보면 어떨까?
칼륨이 풍부한 알카리성 산채 취나물
취나물에는 참취, 곰취, 개미취 등이 있는데 우리가 주로 먹는 종류는 참취의 어린 잎을 말한다. 산나물의 왕이라 불리울 만큼 봄철 미각을 살려주는 취나물은 칼륨, 비타민C, 아미노산 함량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 어린 잎 특유의 향미가 있어서 데쳐서 무쳐 먹으면 입맛을 한층 돋궈주고 춘곤증 예방에도 좋다. 성숙한 것은 두통 및 현기증 약으로 쓰이며 가정에서도 하루에 5∼10g을 지속적으로 먹으면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간질환에 좋은 돌나물
물김치로 담가 먹으면 시원한 자연의 맛을 듬뿍 느낄 수 있는 돌나물은 줄기가 채송화를 닮았고 5∼6월에는 노란 꽃이 핀다.
돌나물은 간염이나 황달, 간경변증 같은 간질환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의학사전'에는 돌나물이 전염성 간염에 효과가 좋다고 기록돼 있다. 돌나물은 피를 맑게 해서 특히 대하증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항암 치료제 머위
유럽에서는 가장 탁월한 항암 치료약으로 인정되고 있는 머위는 암화자들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굵은 잎자루를 나물로 먹는 산나물. 머위 잎에는 비타민A를 비롯해 비타민이 골고루 함유돼 있으며 칼슘 성분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이다. 머위는 잎을 따 버리고 잎자루를 삶아서 물에 담궈 아릿한 맛을 우려낸 후 껍질을 벗겨내고 조리한다. 머위 나물은 볶음, 조림, 짱아찌 등으로 조리하며 머위잎은 삶아서 쓰고 아릿한 맛을 우려낸 후 쌈도 싸먹을 수 있다.
특히나 우리네 같은 아낙네들이 즐기는 나물캘때
알아두면 좋은 몇가지 나물들~~~
위와 장에 좋은 냉이
봄나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냉이는 그 향긋하고 독특한 향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맛이 좋다. 특히 살짝 데쳐 된장을 넣고 버무려 먹는 그 맛은 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를 정도. 야채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고 칼슘 철분이 풍부하고 비티민A가 많아 춘곤증 예방에도 그만이다. 냉이에 함유된 무기질은 끓여도 파괴되지 않으며 특히 푸른잎 속에는 비타민A가 많아 하루 100g만 먹으면 1일 필요량의 3분의 1은 충당이 된다
한방에서는 냉이를 소화제나 지사제로 이용할 만큼 위나 장에 좋고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한다. 또 냉이 부리는 눈 건강에 좋고 고혈압 환자에게 냉이를 달여 먹도록 처방하기도 한다.
한약재로 쓰이는 달래
약간 쓴 듯한 쌉쏘름한 맛이 매력인 달래는 비타민C를 비롯해 갖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고 특히 칼슘이 많아 빈혈과 동맥경화에 좋다. 비타민C는 열에 약한데 달래는 주로 날 것으로 먹기 때문에 조리에 의한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식초를 곁들이면 비타민C가 파괴되는 시간이 연장되므로 달래 무침에는 식초를 치는 게 제격. 된장국에 넣으면 개운한 맛을 내는 알카리성 강장식품이다.
특히 한방에서 불면증 장염, 위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자궁출혈이나 월경 불순 등 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좋아 여성에게 좋은 음식으로 꼽힌다.
피로회복에 좋은 두릅
상큼한 맛과 은은한 향기,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푹 찍어 먹으면 입안에서 싸 하게 퍼지는 봄내음에 정신이 아찔해질 정도. 두릅 나무는 낙엽 관목으로 키가 3∼4m인 작은 나무인데 껍질에 작은 가시가 있어 다른 나무에 비해 쉽게 구분이 된다. 나물로는 봄에 돋아나는 여린 순을 삶아서 먹는다.
단백질과 무기질, 비타민C가 특히 많다. 두룹의 쓴 맛을 나게 하는 사포닌 성분은 혈액순환을 도와줘 피로회복에 좋다. 살짝 대친후 초고추장에 찍어먹어야 비타민이 파괴되지 않느다.
저항력을 높여주는 쑥
쑥에는 신경통이나 지혈에 좋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듬뿍 담겨있다. 비타민A가 많아 하루에 80g만 먹어도 비타민A 하루 권장량을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A가 충분하면 우리 몸에 세균이 침입했을 때 저항력이 강해진다. 쑥에는 또 비타민C가 많아 감기 예방과 치료에 좋은 역할을 할 뿐 아니라 한방 치료에도 효과가 크다 한다. 해열과 해독, 구취 작용, 혈압강하에 좋고 복통에도 효과가 있어 옛날 사람들은 말린 쑥을 넣은 복대를 만들어 배를 두드리기도 했다.
여름 더위에 강해지는 씀바귀(고들빼기)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씀바귀의 쓴 맛은 미각을 돋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봄철 입맛이 없을 때 새콤하게 무쳐 먹으면 식용증진에 도움을 준다.
또 씀바귀는 위장을 튼튼하게 해 소화기능을 좋게하는 특징이 있는데 옛 어른 들은 이른 봄에 씀바귀 나물을 먹으면 그해 여름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하셨다. 꼬들배기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는 씀바귀는 열병, 속병에도 좋고 얼굴과 눈동자의 누런기를 없애는 데도 좋다고 하니 올 봄엔 씀바귀 나물로 맑은 눈을 가꿔 보면 어떨까?
칼륨이 풍부한 알카리성 산채 취나물
취나물에는 참취, 곰취, 개미취 등이 있는데 우리가 주로 먹는 종류는 참취의 어린 잎을 말한다. 산나물의 왕이라 불리울 만큼 봄철 미각을 살려주는 취나물은 칼륨, 비타민C, 아미노산 함량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 어린 잎 특유의 향미가 있어서 데쳐서 무쳐 먹으면 입맛을 한층 돋궈주고 춘곤증 예방에도 좋다. 성숙한 것은 두통 및 현기증 약으로 쓰이며 가정에서도 하루에 5∼10g을 지속적으로 먹으면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간질환에 좋은 돌나물
물김치로 담가 먹으면 시원한 자연의 맛을 듬뿍 느낄 수 있는 돌나물은 줄기가 채송화를 닮았고 5∼6월에는 노란 꽃이 핀다.
돌나물은 간염이나 황달, 간경변증 같은 간질환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의학사전'에는 돌나물이 전염성 간염에 효과가 좋다고 기록돼 있다. 돌나물은 피를 맑게 해서 특히 대하증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항암 치료제 머위
유럽에서는 가장 탁월한 항암 치료약으로 인정되고 있는 머위는 암화자들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굵은 잎자루를 나물로 먹는 산나물. 머위 잎에는 비타민A를 비롯해 비타민이 골고루 함유돼 있으며 칼슘 성분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이다. 머위는 잎을 따 버리고 잎자루를 삶아서 물에 담궈 아릿한 맛을 우려낸 후 껍질을 벗겨내고 조리한다. 머위 나물은 볶음, 조림, 짱아찌 등으로 조리하며 머위잎은 삶아서 쓰고 아릿한 맛을 우려낸 후 쌈도 싸먹을 수 있다.
2005.03.30 09:37:12 (*.82.74.151)
옛말에 음식으로 못고치는 병은 약이 없다고 했어.
우리가 병이 들었을 때 무조건 약을 먹는 것보다 연옥이가 올린 내용처럼
자연에서 자생한 식물들을 적절히 잘 먹으면
우리 몸은 병을 이겨낼 수 있단다.
연옥아,
모두에게 꼭 필요한 유익한 정보 정말 고마워.
나도 올 봄에는 좀 더 열심히 나물을 찾아 나서봐야겠다.
참,
우리 둔내에 가서도 나물반찬 그득한 맛집에 가서
봄기운을 화~악 느껴보는 거 맞지?
우리가 병이 들었을 때 무조건 약을 먹는 것보다 연옥이가 올린 내용처럼
자연에서 자생한 식물들을 적절히 잘 먹으면
우리 몸은 병을 이겨낼 수 있단다.
연옥아,
모두에게 꼭 필요한 유익한 정보 정말 고마워.
나도 올 봄에는 좀 더 열심히 나물을 찾아 나서봐야겠다.
참,
우리 둔내에 가서도 나물반찬 그득한 맛집에 가서
봄기운을 화~악 느껴보는 거 맞지?
2005.03.31 06:26:17 (*.55.33.143)
12기 친구들아, 진짜 봄이 왔구나. 한동안 바빠서 댓글을 못 달았지만
재미있게 오간 얘기들 열심히 탐독해서, 얼굴을 마주하고 있는것 같다.
연옥이, 춘선이, 정영희, 옥규, 전경숙, 김혜숙.... 또 빠진 친구들.....
나도 나물을 참 좋아하는데 특히 취나물을 좋아해.
둔내에서 만나는 미팅 너무 부럽다.
재미있게 오간 얘기들 열심히 탐독해서, 얼굴을 마주하고 있는것 같다.
연옥이, 춘선이, 정영희, 옥규, 전경숙, 김혜숙.... 또 빠진 친구들.....
나도 나물을 참 좋아하는데 특히 취나물을 좋아해.
둔내에서 만나는 미팅 너무 부럽다.
2005.03.31 07:19:23 (*.221.56.136)
인옥아 취나물 중에서 쌈 싸먹는 향기로운 곰취라는 것 아니? 봄 향기가 확 풍기는 그 봄나물말이야. 인옥아 대신 많이 먹을게. 니 생각하믄서......... 너무 서운해 하지 말고 잘 지내라.
2005.03.31 10:21:50 (*.82.74.94)
인옥아~~
요즘 뜸해서 궁금했는데... 많이 바쁘니?
우린 요즘 이리도 와글와글 희희낙낙 재미있게 산다.
12동을 열심히 지켜 준 연옥이의 열정에
우리 마음이 이제야 가랑잎에 불이 붙듯이 활활 타올라서 말야.
이건 밤낮 구분도 없고 , 장소도 불문이다.
나는 거의 하루 종일 컴퓨터를 켜놓고 일을 하는데
일은 마음에 없고 풀방구리 쥐 드나들듯
짬만 나면 인일집에 들락날락 들락날락...
봄바람이 나도 오지게 났지 뭐냐, ^^*
참, 캐나다에 있는 순영이가 다니러 왔더라.
어제 통화했는데 인옥이 네얘기를 하더라.
9월에 캐나다에서 동문모임이 있을 거라고 하던가? (듣고는 잊어버려서 원...)
암튼 네 전화 무지 반가웠는데 아직 만나지는 못했다나..
그러고 보니 우리는 시공을 초월한 친구사이네. 그치?
어쩌면 순영이도 둔내에 같이 갈지 몰라.
아직 일정을 확실히 잡지는 못했지만 조정해 본다고 했거든.
용섭이도 간다고 했고...
인옥이 너도 마음은 우리랑 같이 갈테니 너도 우리 일행으로 쳐줄께. 괜찮지? ^.*
댓글도 안달고 눈팅만 하고 가는 그대들도
다 우리와 함께 간다고 생각할거야, 오케이?
요즘 뜸해서 궁금했는데... 많이 바쁘니?
우린 요즘 이리도 와글와글 희희낙낙 재미있게 산다.
12동을 열심히 지켜 준 연옥이의 열정에
우리 마음이 이제야 가랑잎에 불이 붙듯이 활활 타올라서 말야.
이건 밤낮 구분도 없고 , 장소도 불문이다.
나는 거의 하루 종일 컴퓨터를 켜놓고 일을 하는데
일은 마음에 없고 풀방구리 쥐 드나들듯
짬만 나면 인일집에 들락날락 들락날락...
봄바람이 나도 오지게 났지 뭐냐, ^^*
참, 캐나다에 있는 순영이가 다니러 왔더라.
어제 통화했는데 인옥이 네얘기를 하더라.
9월에 캐나다에서 동문모임이 있을 거라고 하던가? (듣고는 잊어버려서 원...)
암튼 네 전화 무지 반가웠는데 아직 만나지는 못했다나..
그러고 보니 우리는 시공을 초월한 친구사이네. 그치?
어쩌면 순영이도 둔내에 같이 갈지 몰라.
아직 일정을 확실히 잡지는 못했지만 조정해 본다고 했거든.
용섭이도 간다고 했고...
인옥이 너도 마음은 우리랑 같이 갈테니 너도 우리 일행으로 쳐줄께. 괜찮지? ^.*
댓글도 안달고 눈팅만 하고 가는 그대들도
다 우리와 함께 간다고 생각할거야, 오케이?
2005.04.01 06:31:14 (*.55.33.143)
어머, 캐나다의 김순영이가 한국에 나왔니?
고3때 한반이었던, 옥규, 나, 순영이가 앨범 같은 페이지에 나란히 있단다.
순영이 소식도 전혀 모르다가, 인일 홈피 해외지부인가, 글사랑인가에 14기 신금재후배가
올린 캘거리에서의 인일 동문 사진을 보고 순영이가 그곳에 있는 줄 알고만 있었어.
댓글을 달아서 내 소식을 전해달라고 했지.
어제 임채경이와 통화했는데, 시애틀에 있는 우리 동기 이규희가 채경이 일하는 NASA
로 이메일을 보냈는데 얼굴이 가물가물 하다고.
참 세상이 넓고도 좁다. 이제는 어디든지 인터넷을 통해 한 지역처럼 느껴지니 말야.
옥규야, 나물 내 몪까지 많이 먹고, 대신 나 한국 나가면 맛있는 나물 음식점 같이 가자.
지금부터 군침이 도네.
고3때 한반이었던, 옥규, 나, 순영이가 앨범 같은 페이지에 나란히 있단다.
순영이 소식도 전혀 모르다가, 인일 홈피 해외지부인가, 글사랑인가에 14기 신금재후배가
올린 캘거리에서의 인일 동문 사진을 보고 순영이가 그곳에 있는 줄 알고만 있었어.
댓글을 달아서 내 소식을 전해달라고 했지.
어제 임채경이와 통화했는데, 시애틀에 있는 우리 동기 이규희가 채경이 일하는 NASA
로 이메일을 보냈는데 얼굴이 가물가물 하다고.
참 세상이 넓고도 좁다. 이제는 어디든지 인터넷을 통해 한 지역처럼 느껴지니 말야.
옥규야, 나물 내 몪까지 많이 먹고, 대신 나 한국 나가면 맛있는 나물 음식점 같이 가자.
지금부터 군침이 도네.
진달래, 개나리도 보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