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회 | 포토갤러리 | - 게시판담당 : 박화림

한 마리의 들개가 석양머리 언덕에 혼자 서 있구나. 그것으로 충분하다.
오늘 아침 참새소리 이 가지 저 가지에서 분주하구나. 이것으로 천만 년 이래의 하루가 온전하다.
이렇게 어제 오늘의 삶을 이어 온다.
저 1960년대쯤 서울역에서 목포까지의 완행열차 비둘기호는 가다가 서고 가다가 서고 목적지는 더욱 아득하기만 했다. 그런 열차를 타 보고 나서 인생을 새삼 알게 되었던가.
대구에서 서울까지는 야간 급행열차로 7시간이나 걸렸다. 요즘 서울∼대전 고속철도는 1시간 안팎이다. 머쓱하다.
기차여행은 옆 좌석과의 말문이 트이기 일쑤이다. 뜻밖에 오랜만의 친구도 만나게 된다. 며칠 전 강연하고 돌아오는 길에 10년 만의 친구를 만났다. 그가 들려준 얘기가 인상 깊었다.
미국 동부 어느 대학 생물학 교수가 작은 네모 상자에 모래를 담아 거기에 라이보리 한 놈을 재배하는 실험을 했다. 날마다 물을 주었다. 3개월 뒤 거기에서 물만 먹고 싹이 자라나 열매를 달았다. 수분밖에 없었으니 이파리인들 빛깔이 진할 리 없고 열매도 푸짐하지 않았다.
아무튼 이만큼 되기까지 얼마나 뿌리가 내렸는가를 알기 위해서 상자를 떼어 내고 모래를 헤쳐 보았다.
잔뿌리가 아주 많았다. 솜털 비슷한 것은 현미경으로 계량했다.
그 3개월간 사방 30cm, 깊이 50여 cm의 상자 안에서 뻗어 내린 뿌리 길이를 환산해 보니 무려 1만1200km나 되었다. 거짓말 같았다.
기껏 한 줄기 곡식 초본(草本)인데 거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뿌리가 이렇게 엄청난 길이다.
그 네모진 상자 안에서 영양분을 필사적으로 찾아내야 하는 그 기나긴 뿌리의 헌신적인 역할이야말로 한 생명의 숨은 바탕이었다.
수분을 비롯한 철분 칼리 인산 등을 모래 속에서 빨아내어 줄기와 이파리와 열매를 만들어낸 것이다.
한 알갱이의 라이보리나 밀이 이런 뿌리라는 지하의 어머니 없이는 이 세상에 있지 못한다.
그렇다면 한 인간의 생존에는 도대체 얼마나 많은 공이 들여져야 하는가.
한 사람의 생에는 도대체 얼마나 많은 종류의 역할이 바쳐져야 하는가.
나. 나 하나의 생. 이것이야말로 온 사회, 온 세계, 온 우주의 치열한 은혜의 무궁(無窮)으로 가능한 것 아닌가.
그렇다면 내 일생은 도저히 갚을 길 없는 은혜의 부채 아닌가.
무섭다. 어디에도 숨을 곳이 없다.
다급한 장끼가 제 모가지만 검불 속에 처박는 광경이 어찌 꿩 노릇에만 해당되는가.
오랜만의 친구와 종착역에서 헤어지며 나는 한동안 아무것도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밤의 네온사인은 어둠이었다.
자 여기 걸터앉자꾸나. 내가 말할 테니 네가 들어라.
네가 말하면 내가 듣겠다.
그러노라면 말하기보다 듣는 일이 더 숭고해지는 것을 어느새 알게 되리라.
세상의 모든 장광설이란 얼마나 천박하고 야박한가.
입보다 귀에 평화가 있다.
사랑이 거기서 시작한다. 프랑스의 다변(多辯) 수사학은 이따금 벼락 맞을 일이다.
아니다. 내가 바라는 것은 말하기와 듣기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
일러 설청동시(說聽同時)인 것. 이 경지에 이르러서 누가 입이고 누가 귀인가.
서정의 행운은 사막의 꽃에 물이 닿는 것. 시멘트 벽 틈에서 개밥풀의 목숨이 자리 잡는 것.
서정의 불운은 모순이 모순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과 그것을 알려 하지 않는 것.
서정과 모순 비판은 지상의 인간에게 불가피한 친자(親子)의 정신적 상속권이다.
배운다는 것은 일방적인가. 가르친다는 것도 일방적인가.
배움은 가르치는 사람을 가르치기도 한다. 가르침은 배우는 사람으로부터 배우기도 한다.
아니, 배운다는 것은 자신이 자신을 가르치는 것이다.
가르친다는 것은 그 가르침을 자기 자신이 배우는 일이 된다.
저 라틴아메리카 프레이리의 ‘페다고지’ 실천교육론이 아직은 낡은 것 아닌 바, 가르치는 자가 배우는 자로부터 배우고 배우는 자가 가르치는 자에게서 자신이 내일 알아야 할 것을 오늘 알게 되는 상호교육정신 때문이다.
문맹자와 문자 해독자의 차이는 언젠가 사라진다.
학생과 교사의 궁극적 한계도 언젠가 없어진다.
제삿날 밤 제상 복판에 모신 지방에는 평면의 경우 으레 현고학생부군 현조고학생부군의 ‘학생’이 있다.
여자는 유인(孺人)이니 이것도 학생 냄새가 난다.
나는 주자가례(朱子家禮)적인 이 ‘학생’에 다른 뜻 하나를 보내고 싶다.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끊임없이 배운다는 평생교육론을 넘어서 심지어 죽은 뒤의 망령으로도 영원한 학생이라는 뜻 말이다.
오늘도 나는 가르치는 자이기보다 배우는 자의 축복 속에 있다.
한갓 버러지로부터 배우는 것이 없을진대 스승 100명을 두어 무엇 하랴.
근대의 제도교육 밖의 세상, 저 모퉁이길 돌멩이한테도, 항공기 안에서 내다보이는 구름바다한테도 내가 배워야 할 것은 정녕 엄연하다.
이반 일리치가 왜 그리도 학교와 병원을 부정했던가. 나 또한 학교가 교사와 학생을 구별해 놓는 것이 교육의 첫 맹점이라고 여길 때가 있다.
나는 고대와 근세의 어떤 무사승(無師僧)을 알고 있다. 사자(師資)의 상속으로 굳어진 승려 사회에서 그것은 이례(異例)이다.
어쩌면 스승의 행복보다 스승이 없는 불행이 내 삶의 자발적인 정진을 다그친 것은 아닌가.
내가 살고 있는 사회 각계에 꽉 찬 도제 관계의 발호는 또 하나의 학연 작폐인 것 누가 모르랴.
유교의 군사부(君師父) 논리는 왕권 부권 그리고 사장(師匠)의 절대화로 세상을 지배하는 규범이 된다.
스승의 그림자 밟지 않는다는 옛 계율은 사라졌으나 교사의 기득권 안에 세상이 속해야 하는 현실의 굴레는 아직도 집요한 것이 사실이다.
스승이란 제자의 떡잎이다. 결코 제자의 꽃도 열매도 아니다.
아 진리 앞에서 안회한테 공자는 없다.
가섭 아난이 석가의 가섭 아난이라면 죽음이다.
고은 시인·서울대 초빙교수
Good-morning?
인선언니, 어떤 글이죠? 5기 방에 올린 글?
좀 기다려 보세요. 날라가지는 않았을거에요.
'Have a nice day~.'
인선아 여기 댓글 4개만 이상하게 날아갔더라구.
아!.........변화하는 것에 적응하는 게 이렇게 힘들 수 있니?
바뀐 홈피가 너무 낯설어..........ㅠㅠㅠ
광희님 댓글 없어진 것은 아무 문제가 없는데
이상하게 동문 자유 게시판은 열려지지 않고 도망가네요.
그리고 문제가 있는 것을 레포트 할것이냐고 묻는 화면이 나오고
'센드'를 찍던지 '돈 센드'를 찍든지 싹 날라가 버린답니다.
무슨 말인지 알겠어요?
| ||
에구머니나 ![]() 알아쪄 앞으론 감안할께. 근데 인선아 고은 시인은 노벨상 후보에도 오르는 프로 중 프로야. 실은 최근에 그분은 좀 나와는 성향이 달라서 열외로 친 작가였는데 어제 일간지에 실린 이 글이 마음에 울려 잊어버리기 전에 냉큼 올린거였어 아마츄어는 아마추어답게 쓰는거지 뭐 요즈음 우리나라 수필가들 중에는 그들에게 배우는 사람들의 개성을 무시하고 일정한 틀 속에 갇우는 글쓰기를 지도하는 분들도 있던데 .... 우린 자유로운 글쓰기 아니니 ? 우리 너무 기죽지 말자. ![]() |
야가 혼자 덩그마니 옛날 홈에 앉아 있길래
주워왔다.(꼭 내신세 같구만...ㅉㅉ)
......................................................................................
인선아~!
너 미국글쓰는 주소좀 올려주라.
일전에 즐겨찾기에 추가해놓고 잘 보았는데
내컴이 노트북으로 바뀌어서 즐겨찾기들이 다 날라갔어요.::[
다시 저장해 놓고 읽을라고...
난 프로들의 글도 좋지만 너같이 아마츄어들의 글이
더 재밌단다.(x8)
그러하니 염려 묶어놓고 많이 많이 쓰거라.(:l)
프로들의 글은 이렇게 가끔 경선이가 올려주는 것으로
보면 되~어~ㅎ
경선이 글도 프로에 가깝지만 말야~;:)
내가 인터넷을 알기전엔 한달에 책을 5권씩 읽었는데
요걸 알고 나선 책을 안봐요.
그러니 경선이가 올려주는 주옥같은 글들은 꼭 읽어야 한다구요.(8)
수노야 나 지금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다.
왜냐구? 며칠 전 핸펀 화면이 깨져 고치는 비용이 새 것 사는 비용과 얼추 비슷하더라구
해서 바꿨어. 너무 바꾸기 싫었어. 새것을 익히는 게 두렵기까지 하더라.
30대에 비디오 기기를 샀는데 안내서를 보고 척척 잘도 조작했었는데...
늙으면 죽어야 하는 거니 죽으면 늙어야 하는 거니(흑흑흑)
핸펀을 웬수같이 쳐다보며 한숨만 푹푹 쉬는데
설상가상 홈피가 홀라당 바뀌었네.
광희 말에 의하면 업그레이드를 시키지 않으면 안되서 꼭 바뀌어야했다던데,
우리 같은 논네들은 머릿속이 뱅뱅 돌지 않던?
우리 애들 엄마 늙은 거 알아서 빨리빨리 짝도 찾고 해야할텐데... 전화 왔길래 지금 상황을 엄살없이 말했건만
믿지 않는 눈치....휴우..... 엄마가 뭐 늙었다고 그러냐고....아! 그동안 넘 젊은 척을 했나(이모디콘도 옛 것을 골라 쓰는 보수꼴통 좀 봐!!)
변화에 적응하려면 이마에 흰 끈이라도 묶고 뛰어야 할 것 같혀
아! 늙음은 귀찮은 것이구나
변화는 동화에 나오는 곳감보다 무서운 것이구나
수노 너도 그렇다고 해 그래야 동병상련이쥐
아직은 49이야요.
지금 시작 아닌감요???
새 핸폰은 바로 익숙해지거들랑요.
뽀샤시한 얼굴에, 잘룩한 허리에, 플룻~
여전히 젊음을 과시하시라고요. RRㅆG요.
.gif)
경선아 누구 기죽을 까봐 걱정말고
좋은 글 찾아 올려주기 바란다.
배우는 축복을 많이 누리고픈 사람이다 나도...
그래서 신문에서 보면 그걸 다 타이프 친다는 말이니?
아니면 인터넷 신문에서 읽고 카피하는 것이니?
어쨎든지 너무나 큰 수고다. 고마워.
순호야 www.tinyurl.com/26ad8n
이면 직통 연결 되니까 한번 해보아.
가엾은 우리 경서니~
.gif)
나두 실은즉슨 골때린다.
들어가구 싶은 방은 열리지도 않구...
뭐 야리꾸리 한거이 떠서 으쩌구...저쩌구...
.gif)
하모하모 나두 그렇지~
딸년 출근에 兒 시키는 어린이 집도 몬가고 있네 그랴.
열난다고...
졸찌에 들쳐업구 위아래루 며칠다니다 허리 요절날락한다.
게다가 손전화까지 바뀌었으니 우쩌나~잉~!
다잊고 여행이나 다녀와라.
으떤 ㄴ을 꿰차고 가는지 난 모르것지만
그래두 여행갈수있다는 건강이 을매나 좋으냐~!
인선아~!
저장해 놓았다.
네글도 읽고 딴분들 글도 읽으니 참 좋다.
네글은 너의 얼굴이 떠오르며 늘 웃음짓게 만든단다.
다른 사람들에게 슬며시 힘이 나는 글이야.
계속 건필하기 바란다.
.gif)
나도 바쁘기도 하지만 컴에서 놀다보니 책을 잘 안 읽게 되더라.
그래서 네가 올려주는 엑기스 글 너무 잘 읽고 있어.
아주 유익해.
글고 이건 여담인데 한 20년전에 고은 시인 집에 가게 됬어.
성당에서 어머니 대학을 개설해서 유명한분 모시고 와서 강의 듣는데 내가 홍보를 맡았거든.
그래봤자 집에 모셔다 주는 기사역할이었지만~
고은 시인 강의를 듣고 모셔다 주는 데 집이 안성인지 안양인지 였어.
가는 도중 냉면을 먹고 가자고 하셔서 냉면 얻어 먹고 좋은 얘기도 많이 들었건만 지금 생각나는건 맛났던 냉면 뿐~ㅎㅎ
집이 숲속의 하얀 전원 주택이었어.
차를 들고 나오는 부인이 너무 젊고 따님은 여섯살 정도~
너무 이상했는데 제자라던가 기억이 가물 가물~
지금도 여전히 그 부인과 사시는지 갑자기 궁금해지네.
순호야~
힘들지?
그래도 엔돌핀 솟아 좋지뭐~
너 발꼬락도 아직 여물지 않았을텐데 허리까지 다침 안되니 조심해라.
나도 어제 예은이 머리 깍으러 미장원 가야하는데 못간다고 해서 예은이 미장원에 가서 머리 깍아주고 집에 오니 또 12시야.
무슨 신데렐라 호박마차 타고 오는 것도 아니면서
.gif)
`ㄴㄴ`에 앞에 `ㄴ`이겠지? ㅎㅎㅎ
じさんが わたしの チュレブルの ともだちですょ
알겠느뇨?
.gif)
화림아 호박마차 타고 싶은 건 아니니?
.gif)
.gif)
잘 댕겨오니라~내몫까지~!!!
근디 화리마~!
어떻게 그렇게 늦게 집에오니?
난 암만 이뻐두 그건 못할꺼야.
며칠전에두 애가 열이 많이 나니
응급실 가면서 난 까맣게 몰랐쟎니
좀 미안하지만 잠 하루만 지대루 못자두
다음날 컨이 엉망인줄 갸덜두 이해 하것지.
.gif)
화리마~!
우리사위 자랑 하나 해볼까?
.gif)
사둔어른이 건강검진 결과 이상이 발견되어
작년에 초기에 수술하셨었잖니.
딸한테 내걱정을 하며 건강검진 해드리자고 하더래.
슬쩍 비추길래 난 아산병원에서 하는거 아니믄 안해~했더니
하래더라구...얼마 예산하는데? 하니
ㅋㅋ 2~300 예산한다네.
기려?그럼 내가 거기 맞춰보지 하며 쎈타 찾아가
291짜리 예약했쟎냐. ㅎㅎㅎ
작년 10월에 간단히 했으니 올10월에 전신으루
와장창 할꺼여.
워뗘?
예은애비두 그려?
아니믄 봐주러 가지마~ㅇ
.gif)
니가 날 약 올린다 이거지?
니네 사위 기특하긴 하다.
우리 사윈 무쟈게 구두쇠야.
결혼하기 전 지가 번돈 펑펑쓰다 시집 간 우리딸 절절매.
카드 딱 하나만 쓰게 해서 죽갔디야~
신발장 열어보면 우리 사위 구두는 두어컬레 나머진 다 우리 딸 구두 가득이야.
그래도 그 구두쇠 사위가 우리 남편 환갑 안한다고 했는데도 100 만원과 멋진 스웨터 사 들고 왔더라.
우리 딸은 둘째 아기 때문에 꼼짝도 못하고~
그리고 사돈 어른이 보냈다는 롯데 30만원 짜리 티켓 우리 남편 하두 술먹어서 얄미워서 내 공단 스커트 샀다.
무지 예뻐 담에 입고 갈겨 ~호호호.
내가 12시에 오는 이유~
예은이가 엄마 뺏겼다고 생각되서 서러운가봐.
나한테 넘 집착해.
가려하면 울고 난리야.
그래서 재워놓고 오느라 그렇단다.
집에선 아버님이 늦게 온다고 기다리시고~
왜 이렇게 인기야~
에구 징그러버.
.gif)
.gif)
니네 사위두 이쁘다, 얘~
.gif)
히히히 우리 사위 나 내년환갑에 북유럽 보내준다구
적금 들었댄다.
.gif)
얘~!고만하자.
사위없는애들 보믄 약오르것다.ㅋㅋ
딸들 예쁘겠다 똑똑하겠다 아주 좋은 신랑감이 까꿍 하고 나타날꺼야~
그때 경선이가 사위자랑 무쟈게 해도 돈 받지 말고 그냥 들어주자.
.gif)
순호가 옆에 있으면 당장 물어 볼텐데.
너무 아이 많이 업지 말어라..
아무것도 모르는사이 걸어 온 좁고도 긴 이 길
뒤돌아 보면 저만치 멀리 고향이 보이고
울퉁불퉁한 길과 굽어진 길 지도조차 없지만 그것 또한 인생
아- 흐르는 강물처럼 잔잔하게 어느새 세월은 흘렀네
아- 흐르는 강물처럼 끝도 없이 그저 하늘이 황혼에 물드는 것 뿐 이라네
살아간다는 건 길을 떠나는 것 끝도 없는 이 길을
사랑하는 이와 함께 꿈을 찾으며 비에 젖고 실패한 길이라도
언젠가는 다시 비가 개인 내일이 올테니까
아- 흐르는 강물처럼 온화하게 이 몸을 맡기고 싶어
아- 흐르는 강물처럼 변화하는 계절, 눈이 녹기를 기다리며
아- 흐르는 강물처럼 온화하게 이 몸을 맡기고 싶어
아- 흐르는 강물처럼 언제까지나 파-란 물흐르는소리 들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