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회 | 포토갤러리 | - 게시판담당 : 박화림
글 수 1,334

“나는 가난한 托鉢僧(탁발승)이오. 내가 가진 거라고는 물레와 교도소에서 쓰던 밥그릇과 염소젖 한 깡통, 허름한 料布(요포) 여섯 장, 수건, 그리고 대단치도 않은 평판(評判) 이것뿐이오.”
마하트마 간디가 1931년 9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圓卓會議(원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가던 도중
마르세유 세관원에게 소지품을 펼쳐 보이면서 한 말이다.
K. 크리팔라니가 엮은 ‘간디어록’을 읽다가 이 구절을 보고 나는 몹시 부끄러웠다.
내가 가진 것이 너무 많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적어도 지금의 내 분수로는.
사실, 이 세상에 처음 태어날 때 나는 아무 것도 갖고 오지 않았었다.
살 만큼 살다가 이 지상의 籍(적)에서 사라져 갈 때에도 빈 손으로 갈 것이다.
그런데 살다보니 이것저것 내 몫이 생기게 된 것이다.
물론 일상에 소용되는 물건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없어서는 안 될 정도로 꼭 요긴한 것들만일까?
살펴볼수록 없어도 좋을 만한 것들이 적지 않다.
우리들이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적잖이 마음이 쓰이게 된다.
그러니까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인다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가졌던 것이 도리어 우리를 부자유하게 얽어맨다고 할 때
주객이 전도되어 우리는 가짐을 당하게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흔히 자랑거리로 되어 있지만,
그마만큼 많이 얽히어 있다는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나는 지난 해 여름까지 蘭草(난초) 두 盆(분)을 정성스레, 정말 정성을 다해 길렀었다.
3년 전 거처를 지금의 茶來軒(다래헌)으로 옮겨왔을 때 어떤 스님이 우리 방으로 보내준 것이다.
혼자 사는 거처라 살아있는 생물이라고는 나하고 그 애들뿐이었다.
나는 그 애들을 위해 관계 서적을 구해다 읽었고,
그 애들의 건강을 위해 하이포넥스인가 하는 비료를 바다 건너가는 친지들에게 부탁하여 구해 오기도 했었다.
여름철이면 서늘한 그늘을 찾아 자리를 옭겨 주어야 했고, 겨울에는 필요 이상으로 실내 온도를 높이곤 했다.
이런 정성을 일찍이 부모에게 바쳤더라면 아마 효자 소리를 듣고도 남았을 것이다.
이렇듯 애지중지 가꾼 보람으로 이른봄이면 은은한 향기와 함께 연둣빛 꽃을 피워 나를 설레게 했고,
잎은 초승달처럼 항시 청정했었다.
우리 다래헌을 찾아온 사람마다 싱싱한 蘭(난)을 보고 한결같이 좋아라 했다.
지난 해 여름 장마가 갠 어느 날 봉선사로 耘虛老師(운허노사)를 뵈러 간 일이 있었다.
한낮이 되자 장마에 갇혔던 햇볕이 눈부시게 쏟아져 내리고
앞 개울물 소리에 어울려 숲속에서는 매미들이 있는 대로 목청을 돋구었다.
아차! 이 때에야 문득 생각이 난 것이다. 난초를 뜰에 내놓은 채 온 것이다.
모처럼 보인 찬란한 햇볕이 돌연 원망스러워졌다.
뜨거운 햇볕에 늘어져 있을 난초 잎이 눈에 아른거려 더 지체할 수가 없었다. 허둥지둥 그 길로 돌아왔다.
아니나 다를까, 잎은 축 늘어져 있었다.
안타까워하며 샘물을 길어다 축여 주고 했더니 겨우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어딘지 생생한 기운이 빠져 버린 것 같았다.
나는 이 때 온몸으로 그리고 마음속으로 절절히 느끼게 되었다.
執着(집착)이 괴로움인 것을.
그렇다. 나는 난초에게 너무 집착해 버린 것이다.
이 집착에서 벗어냐야겠다고 결심했다.
난을 가꾸면서는 산철(僧家의 遊行期)에도 나그네 길을 떠나지 못한 채 꼼짝 못하고 말았다.
밖에 볼 일이 있어 잠시 방을 비울 때면 환기가 되도록 들창문을 조금 열어 놓아야 했고,
盆(분)을 내놓은 채 나가다가 뒤미처 생각하고는 되돌아와 들여놓고 나간 적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것은 정말 지독한 집착이었다.
며칠 후, 난초처럼 말이 없는 친구가 놀러왔기에 선뜻 그의 품에 분을 안겨 주었다.
비로서 나는 얽매임에서 벗어난 것이다.
날 듯 홀가분한 해방감.
3년 가까이 함께 지낸 ‘有情(유정)’을 떠나 보냈는데도 서운하고 허전한 마음보다 홀가분한 마음이 앞섰다.
이 때부터 나는 하루 한가지씩 버려야겠다고 스스로 다짐을 했다.
난을 통해 無所有(무소유)의 의미 같은 걸 터득하게 됐다고나 할까.

인간의 역사는 어떻게 보면 所有史(소유사)처럼 느껴진다.
보다 많은 자기네 몫을 위해 끊임없이 싸우고 있는 것 같다.
所有慾(소유욕)에는 한정도 없고 휴일도 없다.
그저 하나라도 더 많이 갖고자 하는 일념으로 출렁거리고 있는 것이다.
물건만으로는 성에 차질 않아 사람까지 소유하려 든다.
그 사람이 제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는 끔찍한 비극도 不辭(불사)하면서,
제 정신도 갖지 못한 처지에 남을 가지려 하는 것이다.
소유욕은 利害(이해)와 정비례한다.
그것은 개인뿐 아니라 국가간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어제의 盟邦(맹방)들이 오늘에는 맞서게 되는가하면,
서로 으르렁대던 나라끼리 친선사절을 교환하는 사례를 우리는 얼마든지 보고 있다.
그것은 오로지 所有(소유)에 바탕을 둔 이해 관계 때문인 것이다.
만약 인간의 역사가 소유사에서 무소유사로 그 向(향)을 바꾼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싸우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주지 못해 싸운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간디는 또 이런 말도 하고 있다.
“내게는 소유가 범죄처럼 생각된다…….”
그가 무엇인가를 갖는다면 같은 물건을 갖고자 하는 사람들이 똑같이 가질 수 있을 때 한한다는 것.
그러나 그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므로 자기 소유에 대하여 범죄처럼 자책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들의 所有觀念(소유관념)이 때로는 우리들의 눈을 멀게 한다.
그래서 자기의 분수까지도 돌볼 새 없이 들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언젠가 한 번은 빈 손으로 돌아갈 것이다.
내 이 육신마저 버리고 홀홀이 떠나갈 것이다.
하고많은 물량일지라도 우리를 어떻게 하지 못할 것이다.
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물건으로 인해 마음을 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한 번쯤 생각해 볼 말씀이다.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는 것은 無所有(무소유)의 逆理(역리)이니까.
2007.09.03 17:10:21 (*.173.16.117)
좋은 글쓰기의 일반원리
1. 글을 잘 쓰겠다는 욕심을 버려야 글쓰기의 두려움도 없어진다.
2. 名文보다는 ‘정확하고 쉬우며 짧은’문장이다.
3. 修飾語보다는 명사와 동사이다.
4. 무엇을 쓸 것인가. 글의 主題를 생각하고 또 생각하라.
5. 낱말의 중복을 최소화한다. 글도 경제적이라야 한다.
6. 모든 글은 30%를 줄일 수 있다. 압축해야 폭발력이 생긴다.
7. 글의 리듬(韻律)을 맞추자. 글을 써놓고 소리내어 읽어본다.
8. 漢子를 適所에 섞어 쓰면 읽기 쉽고 이해가 빠르다.
9. 긴 글엔 긴장이 유지되어야 한다.
10. 語彙力은 독서의 축적이다. 잘 쓰려면 많이 읽어야 한다.
11. ‘잘 쓰기’보다는 ‘많이 쓰기’이다.
12. 글의 원료는 語彙力과 자료와 생각이다.
13. 글은 즐겁게 써야 한다. 글은 말처럼 인간의 본능이다.
14. 名言, 名文, 名연설집, 그리고 사전류를 곁에 둔다. <펌>
1. 글을 잘 쓰겠다는 욕심을 버려야 글쓰기의 두려움도 없어진다.
2. 名文보다는 ‘정확하고 쉬우며 짧은’문장이다.
3. 修飾語보다는 명사와 동사이다.
4. 무엇을 쓸 것인가. 글의 主題를 생각하고 또 생각하라.
5. 낱말의 중복을 최소화한다. 글도 경제적이라야 한다.
6. 모든 글은 30%를 줄일 수 있다. 압축해야 폭발력이 생긴다.
7. 글의 리듬(韻律)을 맞추자. 글을 써놓고 소리내어 읽어본다.
8. 漢子를 適所에 섞어 쓰면 읽기 쉽고 이해가 빠르다.
9. 긴 글엔 긴장이 유지되어야 한다.
10. 語彙力은 독서의 축적이다. 잘 쓰려면 많이 읽어야 한다.
11. ‘잘 쓰기’보다는 ‘많이 쓰기’이다.
12. 글의 원료는 語彙力과 자료와 생각이다.
13. 글은 즐겁게 써야 한다. 글은 말처럼 인간의 본능이다.
14. 名言, 名文, 名연설집, 그리고 사전류를 곁에 둔다. <펌>
2007.09.04 06:10:51 (*.204.58.38)
경선아~
글 올리느라 수고했어.
언젠가 집에 법정스님의 "무소유"가 있길래 읽어보았어.
누구한테 선물받은 책인데 그냥 꽂아두고 잊어버린듯도 싶고~
이렇게 좋은 책을 왜 안읽고 놔뒀을까? 했던 기억이 나네.
우리들도 가끔 느꼈던 감정.
무엇을 소유하고 싶어 안달하면서도 막상 소유하면 그것에 매이는 느낌.
그래도 집착때문에 여전히 끼고 있으니~
명문 릴레이방 너무 좋다.
내가 읽었던 책이면 감회가 새롭고 안 읽은 글은 보게 되니 좋고~
그림과 음악까지 곁들여주니 이 아니 좋을손가~ ㅎㅎ
근데 음악이 안나온다.
나 조금있다 산에 간다.
여름이 비껴가고 가을을 맞을 준비를 하는 산의 정취는 또 얼마나 좋은지~
좋은 하루 보내라.(:c)(:l)
글 올리느라 수고했어.
언젠가 집에 법정스님의 "무소유"가 있길래 읽어보았어.
누구한테 선물받은 책인데 그냥 꽂아두고 잊어버린듯도 싶고~
이렇게 좋은 책을 왜 안읽고 놔뒀을까? 했던 기억이 나네.
우리들도 가끔 느꼈던 감정.
무엇을 소유하고 싶어 안달하면서도 막상 소유하면 그것에 매이는 느낌.
그래도 집착때문에 여전히 끼고 있으니~
명문 릴레이방 너무 좋다.
내가 읽었던 책이면 감회가 새롭고 안 읽은 글은 보게 되니 좋고~
그림과 음악까지 곁들여주니 이 아니 좋을손가~ ㅎㅎ
근데 음악이 안나온다.
나 조금있다 산에 간다.
여름이 비껴가고 가을을 맞을 준비를 하는 산의 정취는 또 얼마나 좋은지~
좋은 하루 보내라.(:c)(:l)
2007.09.04 08:02:36 (*.173.16.117)
어머 왜 음악이 안나올까
음악방 혜경언니가 올린 것을 퍼왔는데(하이구 사방에서 퍼옵니다요 헥~헥)
호로비츠가 연주하는 `위로`(화림이 니가 들으면 좋아할텐데)
`무소유`란 글은 제목에서 벌써 읽는 이들에게 큰 방점을 찍어주는 글이지.
그러니 제목이 얼마나 중요하니
문장자체가 명문인 글도 있지만 작가의 성숙된 사고가 빛이 나는 글도 있고...
종내는 독자들을 감동시키는 글이 좋은 글
어느 정도의 작품에서 감동을 받는지 그 감동의 質까지 구분하자면 프로가 돼야겠지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가슴이 뛰는 사람도 있고
음악을 들을 때,
그림을 감상할 때,
명문을 읽을 때....
가슴 뛰는 양상이 사람마다 다르다면
내 경우 좋은 음악을 들으며 마음에 드는 책을 읽으면서 한 줄의 글이 눈에 띌 때
워즈워드와 같은 증상을 즐긴다(?)
가진 것을 버리기가 얼마나 어려운지(살도 포함 ㅎㅎ)
무소유가 산뜻하게만 생각되어지는 아침에(:f)(:l)
음악방 혜경언니가 올린 것을 퍼왔는데(하이구 사방에서 퍼옵니다요 헥~헥)
호로비츠가 연주하는 `위로`(화림이 니가 들으면 좋아할텐데)
`무소유`란 글은 제목에서 벌써 읽는 이들에게 큰 방점을 찍어주는 글이지.
그러니 제목이 얼마나 중요하니
문장자체가 명문인 글도 있지만 작가의 성숙된 사고가 빛이 나는 글도 있고...
종내는 독자들을 감동시키는 글이 좋은 글
어느 정도의 작품에서 감동을 받는지 그 감동의 質까지 구분하자면 프로가 돼야겠지
하늘의 무지개를 보면 가슴이 뛰는 사람도 있고
음악을 들을 때,
그림을 감상할 때,
명문을 읽을 때....
가슴 뛰는 양상이 사람마다 다르다면
내 경우 좋은 음악을 들으며 마음에 드는 책을 읽으면서 한 줄의 글이 눈에 띌 때
워즈워드와 같은 증상을 즐긴다(?)
가진 것을 버리기가 얼마나 어려운지(살도 포함 ㅎㅎ)
무소유가 산뜻하게만 생각되어지는 아침에(:f)(:l)
2007.09.04 08:15:46 (*.133.164.49)
음악 됴~타~!!!;:)
화리마~!
플레이를 눌러봐.
잘알겠지만...ㅎ
28.29로 결정됐어요.7시
암호 같구만~(x7)
좌우간 무소유 란 좋은글을 읽는데
초치는데는 선수다. (x10)
선배님의 사진이 너무 좋아 배경화면으로 깔았지.
컴 탁 누르면 자욱한 사진이.....ㅋ
화리마~!
플레이를 눌러봐.
잘알겠지만...ㅎ
28.29로 결정됐어요.7시
암호 같구만~(x7)
좌우간 무소유 란 좋은글을 읽는데
초치는데는 선수다. (x10)
선배님의 사진이 너무 좋아 배경화면으로 깔았지.
컴 탁 누르면 자욱한 사진이.....ㅋ
2007.09.04 12:47:14 (*.173.16.117)
암호를 1.2..7로 고치시쥐(x16)
초치기 선수라고 선수치니
암 말 못하겄고.(x19)
그나저나 잡동사니가 넘 많다(x20)
초치기 선수라고 선수치니
암 말 못하겄고.(x19)
그나저나 잡동사니가 넘 많다(x20)
2007.09.05 08:25:31 (*.133.164.3)
암호...1,2,7 ㅎㅎㅎ
언젠가 헐리우드에서 가이더가 우리들을 집어 넣으며
4시에 데리러 온다고 하대.
그럼 아자씨가 오시남유? 하니 딴 사람이 오신다네
그럼 우리 납치해믄 워쩌유~?하며
암호를 정하자 하니 껄껄 웃으며
뭘루 하실꺼예요?-<마늘> 이요.
4시간후에 다른 가이더를 만나 암호가 뭣시요? 하니
ㅎㅎㅎㅎㅎ<마늘>이요~!
해서 오늘날 내가 이 미모로 요기서
요롷게 재미지게 놀구 있지 않것냐?
(아차~! 여기가 명문방인디....워쩌나?(x3))
언젠가 헐리우드에서 가이더가 우리들을 집어 넣으며
4시에 데리러 온다고 하대.
그럼 아자씨가 오시남유? 하니 딴 사람이 오신다네
그럼 우리 납치해믄 워쩌유~?하며
암호를 정하자 하니 껄껄 웃으며
뭘루 하실꺼예요?-<마늘> 이요.
4시간후에 다른 가이더를 만나 암호가 뭣시요? 하니
ㅎㅎㅎㅎㅎ<마늘>이요~!
해서 오늘날 내가 이 미모로 요기서
요롷게 재미지게 놀구 있지 않것냐?
(아차~! 여기가 명문방인디....워쩌나?(x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