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영수 여사님의 미담

충청북도 옥천출신으로서 종관(鍾寬)과 이경령(李慶齡) 사이의 차녀이다.
옥천읍내 죽향국민학교를 마치고 상경하여 배화여고를 졸업한 뒤
옥천여자중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


1950년 전란으로 부산에 피난중일 때 육군 중령 박정희와 혼인하여 슬하에 1남2녀를 두었다.
1961년 박정희장군이 5.16 군사 혁명을 주도하여 성공한 뒤 1963년 10.15총선거에서
6대 대통령에 당선되고 연임됨에 따라 대통령 영부인으로 11년간 내조하였다.


만년의 공직은 양지회(陽地會) 명예회장과 자연보존협회 총재였으나,
평소 재야 여론을 수렴하여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를 계속하는 가운데
'청와대 안의 야당'이라는 말도 들으며 남산에 어린이회관을 설립하는가 하면,
서울 구의동 일대에 어린이대공원을 조성하고 정수기술직업훈련원 설립을 비롯하여


재해대책기금조성과 정신박약아돕기운동 등 그늘진 곳을 직접 찾아다니며
사회복지사업에 분망한 일과를 보내었다.


어린이 잡지 '어깨동무' 창간과 서울대학교 기숙사 정영사를 건립하였다.
경향 각처의 여성회관 건립은 물론 연말마다 고아원, 양로원을 위문하여 따뜻한 구호의 손길을 미쳤고,
전국 77개소의 음성나환자촌까지 일일이 순방하면서 온정을 베풀었다.


1974년 8.15 광복절 기념식이 열린 서울국립극장 단상에서 문세광(文世光)에 저격당하여 서거하셨다.
박정희대통령 저격사건에 희생양이 된 격이어서 애도 인파가 청와대에 연일 쇄도하였는데,


국민장영결식이 8월19일 오전10시 중앙청(현 국립중앙박물관) 광장에서 각국 조문사절과
내외인사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거행되고 이날 오후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묘비는 백일탈상 하루 전인 1974년 11월21일에 제막되었으며,
이듬해 기념사업회도 발적되어 추모책자를 펴냈다.

국민의 가슴을 후비고 지나간 그날의 아픔은 세월과 함께 아득히 잊혀져 가고 있다.
그러나 가난하고 병든 사람,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소외된 사람들의 편에 서서
진심으로  그들을 도우려고 애썼던 육 여사,


어린이와 노약자 그리고 힘없는 사람들을 지성으로 보살피는가 하면
사랑하는 남편의 '밝은 귀'가 되어 국민의 소리를 바르게 전함으로써
국민과 위정자와의 사이에 신뢰의 가교를 놓으려고 노력했던 '
청와대 야당'으로서의 육 여사는 많은 이의 가슴에 오늘도 살아 남아 있다.

글. 김두영 (전 청와대 제2부속실 행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