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회 | 포토갤러리 | - 게시판담당 : 한선민
글 수 2,982
홍콩에서 문화행사도 가졌다.
두 가지 공연을 구경했던 것이다.
그 하나는 몽골 합창단, 다른 하나는 심양 서커스였는데 둘 다 짱! (히히, 이런 말은 잘도 배운다니까…) 이었다.
인류 역사상 최대의 정복자 대 징키스칸의 후예들이라니 궁금증이 앞서면서도 어쩐지 촌스러울 것같은 선입견도 들고
아무튼 못 말리는 호기심이 가득차서 이층버스를 타고 반시간 더 걸려 툰문까지 갔다.
남녀혼성 합창단인데 무대위에 오른 인원은 남자 17 여자 19 에 여자 지휘자 한 사람이었다.
뭐든지 세어보는 걸 좋아하는 기질이 내안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음.
글쎄, 죽을때까지도 제 모습도 다 못 알아본다니까…
지휘자 한 사람이야 당연한 일이지만 내 말의 뜻은 반주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무반주 합창이라는 것이다.
대원들의 복장이라는 것이 또 옛날에 창극하던 사람들처럼 치렁치렁 긴 중국 내리다지에
허리에는 튀는 색갈의 연두빛 허리띠를 우리네 저고리 옷고름처럼 철철 늘어뜨렸다.
남자들도 긴 내리다지에 머리에는 고깔모자 비슷한 갓 (중국식 갓이라고 나는 생각했음) 을 썼다.
남의 나라 고유의 전통복장을 비방할 생각은 추호도 없지만 합창단원들이 그런 복장으로 등장하니 솔직히 처음에 좀 우스꽝스런 기분이 들었다.
“어디, 짱꼴라들 무슨 노래 하나 한번 들어보자.”
하고 별 기대없이 앉아있었다.
반주도 없이 하는 노래라니 더 이상스런 생각이 들었다.
이 모든 나의 짓거리가 다 나의 무식함에서 파생한 죄가 아니었으랴.
반주없이 36명의 단원이 음을 잡고 화음을 맞추고 박자를 놓치지않고 그 아름다운 여러가지 소리를 내다니……..
그들은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하나의 악기같았다.
단원들은 악보도 손에 들고있지 않았다. 모두 부동자세로 지휘자와 눈을 맞추고 나란히 서 있다.
대부분 내가 들어본 적도 없는 몽고 전통음악인데 매우 신비스러웠다.
'어차피 모르는 분야니까 신기해서 더 잘하는것처럼 보일지도 몰라…. '
하는 나의 의심을 풀어주려는듯 레퍼토리에는 서양노래 (늘 많이 들어본) 도 두 곡 있었다.
그 노래를 할 때는 더 신경을 곤두세워 들어보았다.
어디 조금이라도 트집 잡을데가 있을 것 같아서………
열심히 귀를 기울이고 들어서 그런지 나는 완전히 그 합창소리에 녹아들어가 버렸다.
곡이 끝났을 때 나도 모르게 한숨이 다 나왔다.
“하! 대단하구나. “
몽고사람들이라고 공연히 알지도 못하면서 얕잡아본 내 태도가 너무나 부끄러웠다.
두 가지 공연을 구경했던 것이다.
그 하나는 몽골 합창단, 다른 하나는 심양 서커스였는데 둘 다 짱! (히히, 이런 말은 잘도 배운다니까…) 이었다.
인류 역사상 최대의 정복자 대 징키스칸의 후예들이라니 궁금증이 앞서면서도 어쩐지 촌스러울 것같은 선입견도 들고
아무튼 못 말리는 호기심이 가득차서 이층버스를 타고 반시간 더 걸려 툰문까지 갔다.
남녀혼성 합창단인데 무대위에 오른 인원은 남자 17 여자 19 에 여자 지휘자 한 사람이었다.
뭐든지 세어보는 걸 좋아하는 기질이 내안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음.
글쎄, 죽을때까지도 제 모습도 다 못 알아본다니까…
지휘자 한 사람이야 당연한 일이지만 내 말의 뜻은 반주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무반주 합창이라는 것이다.
대원들의 복장이라는 것이 또 옛날에 창극하던 사람들처럼 치렁치렁 긴 중국 내리다지에
허리에는 튀는 색갈의 연두빛 허리띠를 우리네 저고리 옷고름처럼 철철 늘어뜨렸다.
남자들도 긴 내리다지에 머리에는 고깔모자 비슷한 갓 (중국식 갓이라고 나는 생각했음) 을 썼다.
남의 나라 고유의 전통복장을 비방할 생각은 추호도 없지만 합창단원들이 그런 복장으로 등장하니 솔직히 처음에 좀 우스꽝스런 기분이 들었다.
“어디, 짱꼴라들 무슨 노래 하나 한번 들어보자.”
하고 별 기대없이 앉아있었다.
반주도 없이 하는 노래라니 더 이상스런 생각이 들었다.
이 모든 나의 짓거리가 다 나의 무식함에서 파생한 죄가 아니었으랴.
반주없이 36명의 단원이 음을 잡고 화음을 맞추고 박자를 놓치지않고 그 아름다운 여러가지 소리를 내다니……..
그들은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하나의 악기같았다.
단원들은 악보도 손에 들고있지 않았다. 모두 부동자세로 지휘자와 눈을 맞추고 나란히 서 있다.
대부분 내가 들어본 적도 없는 몽고 전통음악인데 매우 신비스러웠다.
'어차피 모르는 분야니까 신기해서 더 잘하는것처럼 보일지도 몰라…. '
하는 나의 의심을 풀어주려는듯 레퍼토리에는 서양노래 (늘 많이 들어본) 도 두 곡 있었다.
그 노래를 할 때는 더 신경을 곤두세워 들어보았다.
어디 조금이라도 트집 잡을데가 있을 것 같아서………
열심히 귀를 기울이고 들어서 그런지 나는 완전히 그 합창소리에 녹아들어가 버렸다.
곡이 끝났을 때 나도 모르게 한숨이 다 나왔다.
“하! 대단하구나. “
몽고사람들이라고 공연히 알지도 못하면서 얕잡아본 내 태도가 너무나 부끄러웠다.
저도 무심코 숫자를 잘 세요.
오이 썰면서도 '스물 일곱, 스물 여덟...'하고 있거든요.
특히 계단을 오르내리며
무수히 세고 다닙니다.
이유는?
도무지 알 수 없어요.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