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날 | 포토갤러리 | - 게시판담당 : 12.김춘선
김 진규 은사님을 생각하며 신금재
새벽에 전화벨이 울리면 가슴이 철렁한다. 분명 한국에서 걸려온 전화일 텐데 무슨
일일까. 어머니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은 아닐까 걱정을 하게 된다.
수화기를 들려 하자 벨소리는 멈추었다. 잠시 후 다시 울리기에 얼른 수화기를 들었다.
“여보세요. 거기 캐나다인가요. 혹시 신 금재 씨 댁이 맞는지요.”
귀에 낯익은 목소리, 아 김 진규 선생님
안녕 하세요.
내 목소리는 떨리고 있었다.
1976년 인일여고 3학년 9반 우리 담임선생님
그때 우리 집은 더 이상 가난할 수 없는 아주 어려운 형편이었다.
황해도에서 피난 내려오신 연로하신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대신하여 생계를 꾸려가
던 어머니마저 신장병으로 앓아 누우셨다.
아마도 일 년 전 내가 대장 수술로 몇 개월 입원할 때 어머니는 너무 무리하셨던 게
다.
은사님은 알라스카 크루즈 여행을 하신다고 하셨다.
밴쿠버에서 출발하여 다시 밴쿠버로 돌아오는데 크루즈 여행을 마친 후 로키를 돌아
보고 캘거리 우리 집에 방문하고 싶다고 하셨다.
“네, 물론이지요. 환영합니다.”
은사님이 여행하시는 동안 다행히 카톡이 연결되어 우리 집 마당에 핀 튤립 사진을
보내드렸다.
돌이켜보면 나는 참 성의 없는 제자였다.
2001년 캐나다로 이민 와서 은사님에게 인사도 드리지 못하다가 2006년 첫 수필집 -
로키에 봄이 오면-을 출판할 때 반 친구를 통하여 추천 글을 부탁드렸는데도 흔쾌히
받아주셨다.
단아한 수필의 향기-라는 제목으로 은사님은 우리 학창 시절의 자그마한 일까지도 기
억하셨고 청어 이야기의 비유를 들어 멋진 추천의 글을 써주셨다.
그 후로 나는 캘거리 문인 협회에서 활동하면서 두 권의 시집도 출판하였지만 은사님
을 까마득히 잊고 지내왔다.
중간에 고국 방문을 하면서 은사님이 근무하시는 공주대학교를 방문하였고 학교 근처
를 돌아보며 부여 낙화암을 여행시켜주시던 추억은 간간히 떠오르는 그리움으로 마음
속에 남아있을 뿐.
드디어 은사님이 오시기로 한 날
아들 내외는 근사한 저녁 테이블에 알버타 산 쇠고기로 야채를 곁들인 스테이크를 준
비하였다.
은사님과 사모님은 커다란 장미 꽃다발을 들고 오셔서 환한 웃음을 지으셨다.
우리 동네 살고 계시는 사모님 동창 되시는 선배님도 우리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함께 하시면서 지난 옛 추억을 나누었다.
알라스카를 여행하시는 동안 추우셨다는 이야기
로키를 돌아보면서 아름다운 절경에 감동하셨다는 이야기 등을 나누다가 은사님이 주
머니에서 무언가를 꺼내시더니 집중해주세요, 하셨다.
교회 장로님이시니 우리 가정을 위하여 기도해주시려나 하였는데 작은 메모지에 시를
쓰셨다고 하셨다.
마음으로 피는 꽃/김 진규
입술을 꼭 다문 소녀 인일의 소녀 *미사의 집 뒷마당엔 붉은 채송화가 피어있었다
삶의 무게까지 엷게 미소를 지으며 글쓰기를 너무도 사랑했던 문학소녀
꿈은 날개가 되어 태평양을 건넜겠지 얼마나 추웠으랴 얼마나 외로웠으랴
흔들리는 가지에도 꽃은 피듯이 먼 나라 이곳 캐나다 캘거리에도 미사의 집 앞마당엔
튤립이 피었다
겨울이 추워도 철새는 돌아오듯이 꽃은 미사의 낯익은 몸짓이다 내 몸 찢기어 이룬
사랑이다
아직도 꽃씨를 심고 가꾸는 미사는 꽃을 든 여인이다 마음으로 피는 꽃
(*미사는 지은이의 고등학교 교사 때 제자 신 금재 시인의 아호)
은사님의 시 낭송을 듣자 그냥 눈물이 흘렀다.
누군가 나의 마음을 아니 나의 살아 온 그 세월에 공감해주고 위로해주는 사람이 있
다는 것은 축복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친정어머니가 많이 아프실 때 아마도 나는 결석을 하였고 은사님은 배꼽산 아래 돌
축대 우리 집, 그 누추한 집을 방문하셨고 뒷마당에 피어났던 붉은 채송화를 떠올리셨다.
숭의 교회에 출석하실 때 목사님 설교 집을 탈고해드린 것
이민 살이의 그 깊은 외로움으로 글을 써야만 했던 것
내 몸 찢기어 이룬 사랑-이라는 구절에서는 숨이 턱, 막혀왔다.
은사님이 추천의 글에서 표현한 한 마리 청어로 그 거친 물결을 헤치고 여기까지 왔
다는 안도감이 들었다.
캐나다에서 소수 민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정부에서는 모자이크 문화라고 해서 소수 민족 문화도 존중해주긴 하지만 언어와 문
화가 다른 주류 사람들을 따라가는 것은 어렵다.
그래도 데이케어를 운영하면서 케네디언 학부모를 상대하다 보면 이민자에 대한 배려
를 볼 수 있어 감사한 마음이 든다.
어느 덧 추수 감사절이다.
돌아보면 모든 것이 감사하다.
가장 순수하고 섬세했던 사춘기를 인일의 교정에서 배울 수 있었고 그 교정을 떠난
후에도 언제나 인일의 향기는 내게 남아 나를 키워주는 힘이 되어주고 있다.
들국화가 피는 계절, 지금쯤 인일동산에는 하얀 꽃이 무더기로 피어나겠지.
----------------------
지난 번 총동창회에서 주최한 인일동산에 대한 글 공모전에 출품한 봄날 신금재의 작품입니다.
그냥 거기에 두기 아까워 옮겨 보았습니다.
프로는 프로를 알아 보니까 그렇지 않았을까 짐작할 뿐이지요.
수상 여부가 뭐 중요하겠어요 이렇게 진심이 가득한 글을 쓸 수 있다는 게
중요하겠지요.
언니의 진짜 삶이 들어있는 글처럼요.
금재가 살아 온 날들
김진규 선생님의 제자 사랑
감동으로 눈물 나네요
작가의 글이라 안 뽑아주신 거
맞는 거 같아요
아무렴 어때요
우리가 읽었을 때
깊게 감동할 수밖에 없는 걸요
눈물이 핑 ~~도네요.
옥규님 여기에 옮기신 일은 참 ~~잘하셨어요. 짱!!!
아마도 작가라서 출품작 입상에서 제외시킨것 같아요. 안그런가요?
인일여고엔 확실히 인재들이 많아요.
자랑스럽습니다.
미사 안나 금재후배님이 씩씩하게 잘 살아서 좋습니다.
얼굴도 한번밖에 못봐서인지 가물가물 하네요.
건행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