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엔 먼 친척조차 없는 도시 아이인 내가 꽃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 언제부터일까?

 

  어릴 적 우리 집 아랫방에 세 들어 살던 아줌마가 있었어. 엄마는 새댁이라 불렸지. 그 아줌마가 형편이 어려워서인가? 암튼 꽃을 친정에서 가져다 팔곤 했었는데 그 친정이 말죽거리라 했어. 질척질척한 땅이 연상되는 지명이 재미있어 기억하고 있지. 질퍽거리고 꽃 농원이 많던 그곳이 지금은 최고로 땅값이 비싼 곳이 되었네.

아줌마가 꽃을 함지박 가득 가져오면 곁에 앉아 꽃구경을 하면서 꽃 이름을 물어 보곤 했어. 국화, 장미, 글라디올러스, 등꽃, 과꽃......

그중 여름에 볼 수 있는 카라는 나에겐 아주 신기한 꽃이었어. 예사 꽃과는 다른 쭉 뻗은 시원한 모양새며 이국적인 이름이. 아스파라거스는 또 얼마나 섬세하고 우아했는지. 높은 장독대에서 아래로 우아하게 뻗어 내리는 모습을 보면 공작의 깃털이 연상되곤 했지. 나중에 보니 결혼식 날 신부의 부케에 약방의 감초처럼 꼭 끼어있더라고.


  우리 집에 수국이 있었는데 꽃이 필 무렵 식용 색소를 물에 타서 주면 꽃이 색소에 따라 붉은색 푸른색 보라색으로 피어나는 거야. 아줌마 때문이었나? 마당도 넓지 않은 우리 집에 석류나무도 있었고 무화과나무도 있었어. 큰 화분에 길렀지. 겨울엔 넓은 우리 부엌 한쪽에서 보내다가 봄이 되면 마당으로 옮겨지곤 했지. 한여름이 좀 지나 가을로 접어들 때, 절로 터져서 붉은 속살을 드러낼 정도로 농익은 무화과를 베어 물면 얼마나 달콤했는지 몰라. 동생들은 무화과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거의 내 차지였어. 석류는 늦가을까지 따지 않고 두고 보았지. 빨갛고 투명한 보석 알이 알알이 박혀있는 모습이 환상적으로 예뻤지.

 

  새로 지은 기와집이 일렬로 늘어선 우리 동네에서 가장 크고 감히 근접하기 어려운 큰 기와집이 있었어. 그 집엔 철 대문과 나무 중문 사이에 긴 화단이 있었어. 그 화단엔 늘 꽃이 피어있어서 가끔 철 대문 밖에서 들여다보곤 했지. 어느 날 철 대문이 활짝 열려 있기에 호기심에 들여다보니 그 예쁜 화단에 떠돌이 청년이 앉아서 얻어온 밥을 먹고 있는 거야. 그 청년은 키도 크고 멀쑥하게 생겼는데 머리가 살짝? 암튼 밥 때가 되면 집집마다 기웃거리며 밥 줘요. 밥 줘.” 하며 떠돌던 사람이었어. 그 장면이 너무 인상적이어서 지금까지 기억되네. 채송화와 봉숭아가 핀 화단과 그 청년이 어색하지 않고 잘 어울리는 거야.

 

  또 하나 우스운 이야기. 초등학교 다닐 때 일 년에 몇 번쯤 엄마가 사주신 꽃을 가지고 가서 선생님 책상 앞 꽃병에 꽂아 드리곤 했어. 지금 생각엔 글라디올러스나 국화 뭐 그런 꽃 이였던 것 같아. 아침 일찍 가서 꽃병에 물을 받아 꽃을 꽂아 드릴 때면 친구들에게 들킬까 봐 가슴이 콩닥콩닥 했었지. 그런데 일 년에 한 번쯤 엄마가 화분을 들고 오실 때가 있어. 바로 환경정리의 날이야. 소담하게 핀 수국 화분을 교실로 들고 오셔서 교실 한구석을 빛나게 해주셨지. 꽃이 시들면 엄마가 다시 들고 오셨나? 다음 해 환경정리 날 즈음엔 내 새 학급에 그 화분이 또  있었으니까. 엄마가 아주 아끼시는 화분이었나 봐.

 

  조심스럽게 꽃을 한 송이 따곤 날 쳐다보는 손녀를 보니, 가슴을 콩닥이며 교실 꽃병에 꽃 꽂아놓던 그 시절이 생각나며 그립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