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들과 정해진 수업이 일찍 끝나거나 왜인지 아이들이 기운이 없어 보일 때면 늘 같이 영화를 봤다. 맡는 애들마다 다 달랐다. 아이들의 성향을 잘 파악해서 그 리듬을 잡아야 했다. 좀 자유롭고 창의적인 아이들은 수업도 신나게 하고 영화도 잘 봤다. 많은 영화를 저장해 놓고 일 년간 끊임없이 봤다. 나는 보고 또 보는 것이지만 아이들과 영화를 보는 시간은 늘 좋았다.
원령공주(모노노케 히메)라는 만화영화는 화면도 아름답고 내용도 좋지만 재미있기도 해서 되풀이 되풀이 보았다.
거짓말처럼 내용은 생각이 자세히 나지 않지만 야쿠시마 그 원령공주의 숲은 내 마음에 자리잡았다.
이 영화를 만든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도 영화를 만들기 전에 그 숲에 왔었다고 했다.
산 위에 올라가 보니 그 영화와 완전 똑같은 광경이어서 모두 아! 하고 웃었다.
모노노케 히메가 흰 늑대를 타고 날던 그 모습.
퇴임을 하고 세 개의 트레킹을 신청했는데 모두 인원이 차지 않아 못 갔다.
이번에 야쿠시마 트레킹도 다섯 명 밖에 신청하지 않았지만 그대로 출발한다고 해서 나섰다.
평소에 운동도 안 하고 걷지도 않다가 갑자기 불끈 힘을 내 가방을 싸면서 말도 안 되는 전의를 불태우며 떠나 죽을 고생을 하곤 하지만, 이번에도 정말 너무 준비도 안 하고 그곳에 대한 공부도 안 하고 갔다 좀 고생을 했다.
일주일에 8일, 한달에 35일, 일년에 13개월 비가 오는 곳이라는 말을 왜 그렇게 흘려 들었는지...
한때 마을이 있었고 마을 사람들은 삼나무를 벌목해 살았다.
학교가 있을만큼 번족한 마을이었다. 무한대의 삼나무가 있었으니까.
그 나무를 이송하기 위한 8키로의 철길이 놓여 있고 그것은 지금도 가끔 쓰인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마을이 없다.
그곳은 유네스코 자연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어 엄중한 보호를 받고 있는 곳이다.
가고시마까지 비행기로 한 시간, 배를 타고 야쿠시마까지 두 시간.
손글씨가 정겹다
야쿠시마 박물관
주로 강수량에 대한 기록이 많이 있다. 이때 알았어야 하는데.....
얼마 전에 화산이 폭발한 섬이 12키로 떨어져 있다.(앞에 보이는 섬)
거기서 나온 화산재가 모래와 나무에 덮여 있네.
이곳은 붉은 거북이 산란하는 곳
거북이 여기 모래 속에 알을 낳고 다시 바다로 가서 캘리포니아까지 갔다 온다고 한다.
날아 온 화산재
이게 그 불가사의한 거북이의 이동이다.
일차선 밖에 없어 앞에서 오는 차를 만나면 아찔한 길가에 이렇게 원숭이, 사슴이 살고 있다.
우리는 민숙이란 곳에서 머물었는데 민숙은 소위 일본의 여관보다는 소박하지만 거의 운영은 비슷하게 하는 곳. 잠자리며 음식도 아주 좋았다.
이게 그 8키로의 기찻길인데 여기 걷는 게 제일 힘들었다.
이 8키로를 걸어야 산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나온다.
기찻길 왕복 16키로, 산길 12키로, 대충 하루에 30키로 정도 되는 트레킹이다.
태초의 숲이니 원시림이니 하는 말을 관념적으로 생각하고 말도 쉽게 했지만 이곳은 좀 충격적이었다.
물론 비가 그렇게 많이 오는 곳이니 생육이 번성한 거야 당연하겠지만 정말 대단했다.
그 속에서 자라 온 나무들의 위용이란...
일본인들도 모두 가이드를 따라 올라가는데 그 행동이 조심스럽기가 짝이 없고 모두 마치 성소에 가는 자세다.
스틱도 되도록이면 사용 안 하고 사용하려면 끝에 꼭지 마개를 껴야 한다.
삼대목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고 처음 알았다.
1 대 조상 나무가 몇천 년 살다가 죽으면서 그 씨앗이 둥치에 묻어 다시 그 썩은 나무에서 자라고, 또 몇천 년이 흘러 그 2 대 나무가 죽으면서 그 위에 삼 세대 나무가 자라는 것이다.
물론 1 대와 2 대 나무는 형체가 없다. 뻥 뚫린 구멍만 있고 그 위에 강건한 나무가 우뚝 자라고 있다.
이 나무 밑에 보이는 구멍이 바로 1 대 2 대 조상 나무가 있던 흔적이고 아무 것도 없이 뻥 뚫려 있다.
6~8천년 정도 된 나무들이라고 하나 정확한 나무 나이에 대해선 여러 의견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에 방사선을 활용한 조사에서 7, 8천년 전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한다.
이렇게 자랐겠지
나무의 구멍 속으로 들어가 위를 본 것
허공 속에서 젊은 3세대 나무가 자라고 있다.
우리 눈에는 건강한 이런 나무만 보이는 것이다.
거의 모든 나무와 바위에는 이끼나 고사리류의 생물이 자라고 있다.
발견 당시 4000년 정도로 추정되었고 현재 7200년 정도 되었다고 알려진 가장 오래 된 조몬스기
잘 보기가 어려웠다.
조몬시대부터 살았다 해서 조몬스기라 하는데 높이가 25미터, 둘레가 16.5미터.
눈이 내려 가지 하나가 꺾였는데 조사해 보니 가지 하나가 천 오백살 정도, 그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나무가 7200살 정도는 되었다고 본다고 한다. 그 나무 위에 자라는 다른 나무 종류도 이십여 종류가 된다니....
- IMG_2792.JPG (51.1KB)(0)
- IMG_2795.JPG (41.1KB)(0)
- IMG_2813.JPG (88.3KB)(0)
- IMG_2824.JPG (70.9KB)(0)
- IMG_2827.JPG (158.2KB)(0)
- IMG_2841.JPG (129.4KB)(0)
- IMG_2843.JPG (26.3KB)(0)
- IMG_2859.JPG (60.6KB)(0)
- IMG_2860.JPG (90.7KB)(0)
- IMG_2862.JPG (223.7KB)(0)
- IMG_2877.JPG (195.5KB)(0)
- IMG_2883.JPG (189.2KB)(0)
- IMG_2887.JPG (142.4KB)(0)
- IMG_2891.JPG (100.3KB)(0)
- IMG_2892.JPG (197.9KB)(0)
- IMG_2893.JPG (193.3KB)(0)
- IMG_2898.JPG (176.4KB)(0)
- IMG_2899.JPG (140.1KB)(0)
- IMG_2902.JPG (152.7KB)(0)
- IMG_2911.JPG (94.9KB)(0)
- IMG_2917.JPG (119.6KB)(0)
- IMG_2919.JPG (167.0KB)(0)
- IMG_2922.JPG (128.1KB)(0)
- IMG_2926.JPG (89.8KB)(0)
- IMG_2931.JPG (100.3KB)(0)
- IMG_2932.JPG (88.8KB)(0)
- IMG_2934.JPG (83.1KB)(0)
- IMG_2937.JPG (69.5KB)(0)
- IMG_2938.JPG (36.5KB)(0)
- IMG_2939.JPG (65.8KB)(0)
- IMG_2943.JPG (63.1KB)(0)
- IMG_2947.JPG (103.6KB)(0)
- IMG_2950.JPG (163.1KB)(0)
- IMG_2951.JPG (188.5KB)(0)
- IMG_2952.JPG (204.5KB)(0)
- IMG_2954.JPG (29.7KB)(0)
- IMG_2960.JPG (131.9KB)(0)
- IMG_2964.JPG (134.1KB)(0)
- IMG_2967.JPG (216.4KB)(0)
- IMG_2972.JPG (222.1KB)(0)
- IMG_2973.JPG (134.5KB)(0)
- IMG_2974.JPG (141.6KB)(0)
- IMG_2978.JPG (121.0KB)(0)
- IMG_2991.JPG (141.3KB)(0)
- IMG_2996.JPG (36.5KB)(0)
- IMG_2997.JPG (31.3KB)(0)
- IMG_3003.JPG (46.0KB)(0)
- IMG_3004.JPG (45.0KB)(0)
- IMG_3008.JPG (205.7KB)(0)
- IMG_3014.JPG (217.2KB)(0)
- IMG_3017.JPG (205.0KB)(0)
- IMG_3036.JPG (183.9KB)(0)
- IMG_3040.JPG (38.9KB)(0)
- IMG_3049.JPG (39.2KB)(0)
- IMG_3050.JPG (46.7KB)(0)
- IMG_3055.JPG (31.1KB)(0)
- IMG_3057.JPG (24.5KB)(0)
- IMG_3059.JPG (35.4KB)(0)
- IMG_3060.JPG (38.7KB)(0)
- IMG_3076.JPG (217.0KB)(0)
- IMG_3077.JPG (230.4KB)(0)
- IMG_3079.JPG (128.1KB)(0)
- IMG_3080.JPG (154.8KB)(0)
- IMG_3082.JPG (219.6KB)(0)
- IMG_3083.JPG (173.9KB)(0)
- IMG_3085.JPG (136.3KB)(0)
- IMG_3086.JPG (165.0KB)(0)
- IMG_3087.JPG (148.1KB)(0)
- IMG_3088.JPG (119.9KB)(0)
- IMG_3089.JPG (263.5KB)(0)
- IMG_3090.JPG (154.8KB)(0)
- IMG_3095.JPG (101.8KB)(0)
- 사본 -IMG_2816.jpg (68.3KB)(0)
- 사본 -IMG_2822.jpg (78.9KB)(0)
- 사본 -IMG_2954.jpg (49.0KB)(0)
옥규의 여행기를 읽다보면
와~~~ 옥규 대단하다 하는 생각 밖에 안들어요.
아름다운 숲속의 나무를 보며 행복했어요.
앞으로 많은 여행기 기대 할께요.
하~
감탄하며 읽고 보고 했어요.
나는 시야가 넓지 못한지 오지랍이 좁아서인지~ ㅎㅎ
다른 깃수들 방을 기웃거리는 일이 거의 없는데......
'야쿠시마' '원령공주' 이런 명칭이 나오는 바랍에
처음으로 12기 방에 나들이를 했네요.
사진과 글을 보면서 눈이~ 마음이 몰입~~
가보고 싶다아~~~
원령공주 책도 다시 읽고 싶다 ~~~
내가 컴 켜놓고 뭘그리 열심히 보고 있나 궁굼해하는
옆지기에게 말했네요.
일본은 먼 나라가 아니니
몸좀 좋아지면 더 늦기 전에
일본 여행 같이 가즈아~~
그니까 어서 약 잘 챙겨 묵고
운동도 더 욜심히 하즈아~~~
너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나도 울창한 산림을 바라보고 있고
좀 더 따라가다 보면 뿌연 안갯 속에서 신비로운 거대목을 마주하게된다
빗속을 걸을며 자연의 웅대함에 놀라워 하고 있을 너의 눈과
태고의 신비를 간직힌 그 숲속에서 숨쉬고 있을 신화의 이야기를 찾게 된다
어느날 문득 너의 경이로운 눈빛과
비를 철철 맞으며 추위에 떨고 있을 네 육신의 간절함도 함께 기억 될 것 같다
고마워 옥규야 다음 여행기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