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구들 안녕~
오랜만이지?
좀 땡땡이를 쳤단다.
게시판지기로서 직무유기였지?
오랜만에 나의 일상을 전하며 친구들에게 안부를 묻는다.
요즘 긴 시간 꼼꼼하게 아툴 가완디의 책 <Being Mortal(-어떻게 죽을 것인가-라는 제목으로 번역됨)> 읽고 있어.
현대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에 대한 의학자의 성찰이랄까 반성이랄까,
우리가 모두 생각해야 할 노년, 병, 쇠약, 죽음, 의탁, 그리고 그런 시간의 삶의 태도, 선택에 대해 많은 예를 들어 쓰고 있는 책이야.
실제 이 사람은 의사로, 또 인도의 대가족 출신으로 인간의 생로병사를 자연스럽게 보아 온 사람인데, 미국에서 살며 소위 서구의 발달된 의학이 노쇠하고 병약해진 인간의 마지막을 어떻게 다루는가에 대해 아주 담담하고 양심적으로 성찰하며 쓴 책이지.
쉽게 씌여 있어 읽기에 수월한 책이지만, 내용은 많은 생각할 거리를 주지.
이렇게 생각하는 의학자나 다른 대안을 위해 노력하는 활동가들의 생각에 공감하며
읽고 있단다.
자세한 이야기는 나중에 다시 정리해 보도록 하겠지만, 내가 놀랍게 다시 확인한 것은 말이지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있는 분들, 삶의 마지막 부분을 보내는 이들의 공통된 바람이
<일상적인 삶>을 살고 싶다는 거야.
친구와 만나 차 마시고, 카드 놀이를 하고, 자고 싶을 때 자고, 보행기를 잡고라도 내가 걷고, 넘어지더라도 휠체어에 담기고 싶지 않고, 밤에 내 방 문을 잠글 수 있고....
말하자면 안전한 생활보다는 자신의 생활을 유지하고 싶은 욕구가 더 크다는 거지.
자신의 몸과 마음을 통제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우리는 의학의 도움을 받게 되지.
우리의 삶을 통째로 맡기는 건 아닌데, 결국 그렇게 되는 거야.
모든 것이 몸에 집중하게 되고 안전과 보호라는 절대 가치 속에서 손발이 묶이게 되는 거지.
요즘 일상의 일관된 삶에 대해 많이 생각해.
한 석 달 정도 정신없이 바쁜 일이 있었고, 그럭저럭 해결이 되면서 내가 그리워했던 게
일상이었구나 이런 생각을 했어.
나도, 나의 주위도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마음을 나누면서 관계를 만든 거라는 거
많이 느꼈어.
내가 도움을 줬다고 생각했던 것이 착각이었다는 것도 알았고, 긴 세월이 만만한 게 아니라는 것도 느꼈고.
결국은 많은 사람들 덕에 이렇게 살아왔구나 뭐 이런 생각 말이지.
어제는 비가 많이 오는 날이었지만 가족 같은 동료의 생일이어서 동네에 있는 편안한 카페에서 저녁 식사를 했단다.
비교적 자주 가는 편안한 식당이야.
여러가지 종류의 피클을 만들어 내놓는데 맛도 좋고 모양도 얼마나 예쁜지 몰라.
셰프인 아들을 돕는 엄마의 모습도 좋고.
모두 아홉 명이 모였단다.
화덕에 굽는 피자가 나온단다.
우리 친구들과도 갔던 집
작은 공간을 활용해 조그만 정원을 만들어 놓았어.
고양이가 와서 새끼를 여섯 마리나 낳고 갔단다. 그래서 주인이 저렇게 집을...
세상에..... 저렇게 조그만 고양이가 집에 안 들어가고 창을 바라보면서 울고 있어.
고가구 소품이 많이 있단다.
셰프의 딸인데 어찌나 귀엽던지.
비 오는 날 혼자라 너무나 심심해 보였어.
이건 오늘 서비스로 준 샐러드
난 오늘 엔초비 파스타를 먹었는데 굉장히 고소하더라.
식사 후에 케이크를 자른 후 축하 연주를 했단다.
손님이 우리 밖에 없었거든.
비 오는 날 듣는 리코더 소리 좋더구나.
이렇게 비교적 작은 악기는 들고 다니다가 연주하면 참 좋겠더라.
식당을 나와 세차게 쏟아지는 비를 맞으며 좀 걸었지.
며칠 전에 본 전시회야.
인왕산 호랑이전이었는데 조각을 전공하신 분이 소품을 만들어 전시한 거였어.
그리고 밭이란다.
동네에 아는 분이 좀 사용하게 해 주어서 아주 조그만 부분을 얻었단다.
장소는 서오릉!
거기에는 화원이 많아서 꽃구경하는 재미도 크단다.
요게 내 밭이지.
고추 12주, 얼갈이 씨랑 상추씨랑 심었어.
저번 주에 갔더니 얼갈이 싹이 나왔더라.
가지 모종은 벌써 다 없어져서 구할 수가 없었고.
빈 곳에 바질을 심을까 해.
혹시 잘 자라면 은혜가 가르쳐 준대로 바질페스토 만들어서 우리 걷기 모임할 때.....
또 이렇게 친구들과 걸었고
무슨 염원을 담아서 이렇게 산 닭을 꽁꽁 싸놓았는지...
굿 구경도 하고.
일주일에 두 번 함께 하는 중복장애 아이와 산책하는 중 본 황매실.
아무리 흔들어도 안 떨어지더라고.
그리고 이렇게 예쁜 아이들~
이런 나의 일상을 오랜만에 전하며 친구들 안부 묻는다.
12기 게시판지기 잘릴까 봐....^^
- IMG_0026.JPG (55.6KB)(0)
- IMG_0031.JPG (98.1KB)(0)
- IMG_0032.JPG (58.2KB)(0)
- IMG_0035.JPG (54.7KB)(0)
- IMG_0049.JPG (214.8KB)(0)
- IMG_0062.JPG (209.7KB)(0)
- IMG_0064.JPG (199.8KB)(0)
- IMG_0065.JPG (192.3KB)(0)
- IMG_0068.JPG (200.9KB)(0)
- IMG_0074.JPG (185.0KB)(0)
- IMG_0093.JPG (82.1KB)(0)
- IMG_0127.JPG (93.6KB)(0)
- IMG_0129.JPG (91.4KB)(0)
- IMG_0130.JPG (107.7KB)(0)
- IMG_0222.JPG (102.7KB)(0)
- IMG_0232.JPG (105.3KB)(0)
- IMG_0240.JPG (60.1KB)(0)
- IMG_0242.JPG (62.1KB)(0)
- IMG_0243.JPG (101.8KB)(0)
- IMG_0246.JPG (98.0KB)(0)
- IMG_0252.JPG (53.0KB)(0)
- IMG_0253.JPG (62.5KB)(0)
- IMG_0256.JPG (43.3KB)(0)
- IMG_0259.JPG (48.2KB)(0)
- IMG_0266.JPG (51.8KB)(0)
- IMG_0268.JPG (69.7KB)(0)
- IMG_0269.JPG (85.2KB)(0)
- IMG_0270.JPG (76.9KB)(0)
- IMG_0029.JPG (58.8KB)(0)
- IMG_0030.JPG (86.8KB)(0)
- IMG_0041.JPG (82.9KB)(0)
- IMG_0042.JPG (63.6KB)(0)
옥규야, 반갑다!!!
그동안 무슨 일이 있는건지 궁금하고 걱정스럽기도 했었어.
나도 힘겹게 삼사월을 보내고 좀 적응이 되는가 했더니
후유증이 표면으로... 6월 한 달은 병원 찾아다니느라 바빴고
이제 7월은 학기말 마무리로 바쁘겠지.
소소한 일상의 소중함, 그 속에 숨어있는 작은 행복들
오늘은 모처럼 한가하고 선선한 바람까지 여유롭구나.
옥규의 글은 잔잔한 감동과 함께 늘 생각거리를 남겨주네.
삶의 마지막을 어디서 어떻게 맞게 될지 모르지만
노후의 삶에 대해서도 생각 좀 해 봐야겠다.
와, 반갑다 친구야!
일상의 소중함은
일상적이지 않은 곳에 떨어져 있어봐야나 느끼게 되는 것이라 생각해
나도 지난 주 무슨 일로 나의 일상과는 거리가 먼 아주 낯선 곳에 있었어
그리고 힘겹게 내 일상으로 돌아오니
너무도 평범했던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절감하게 되더라.
참 어리석지?
덕분에 소소한 일들에 감사도 하게 되고...
오늘은 간만에 학교 텃밭에 올랐어
옆반 샘이 물을 주려고 올라가보면 누군가 이미 주었더라고 한다
고마운 맘을 전하고 싶은데 예상되는 샘한테 고맙다했더니 아니란다.
누굴까? 갑자기 주변이 환하게 불이 켜지는 느낌이었어.
아, 이런게 감사구나!
그래서 한껏 가라앉았던 맘도
어느새 일상으로 돌아와 씩씩한 발걸음을 옮긴다.
옥규야, 고맙고 반가워!
게시판지기가 글을 안올리면 동기들이 (옥규에게 무슨 일 있나?)
염려해주는 12기가 부럽네요!
7방 좀 보세요. 게시판지기 저 혼자 도배를 하다보니.... 지우고 또 쓰고, 그 위에 또 쓰고
12옥규 후배님, 7방에 비맞은 새끼 고양이 사진 좀 올려주세요.
그리고 그 인왕산 호랑이 사려면 어딜 가야 하는지.... 장소도 정확히 알려주시고요, (부탁드립니다)
7방 식구들은 요즘 카톡이 대세래요~
?
아주 소박하고 평범한 일상이
내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부분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득도하셨네 ~ ㅎ
<행운>이라는 네잎 클로버를 찾기 위해
토끼풀을 짓밟으며 헤맨 기억은 누구에게나 있지.
세잎은 너무 평범해서 쳐다보지도 않고 ~
세잎 클로버는 <일상의 행복>이라는데 말이지.
자잘한 일상이 얼마나 귀한 행복인지 아는 사람도 많지 않지만
그 소중함을 절실히 깨닫고 생각을 바꾸며 사는 사람은 거의 없어.
나는 오늘 낮에 골뱅이 소면 해 먹을거야.
전엔 식구들이 없으면 절대로 음식을 하지 않았어.
나는 늘 식구들 덕에 얻어 먹고 사는 인생이었던 거야.
내 손으로 나를 위해 요리하는 건 우찌 그리 귀찮더란 말이냐 ~
이젠 그렇게 살지 않으려고 해.
내가 먹고 싶은 음식을 정성껏 해서 내게 대접도 할거야.
대단하지?
암튼 이제 그만 요리하러 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