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사랑
아버지날 즈음에
오스트리아서는 매년 유월 두째주일을 '아버지날'로 부른다.
벌써전부터 거리 곳곳에 `Vatertag`(Fathersday)선전구호와 더불어 선물용품들이 눈을 잡는다.
지난 주말에 친구 아버님이 가꾸시던 전원을 찾았다.
도착하자 마자 너무나 놀라워 한동안 그냥 서있었다.
야생풀이 꽃보다 훨씬 높게 자라나 낯설었다.
200여년전 슈베르트와 그의 친구들이 산책하며 지냈던
시냇물 졸졸흐르는 계곡이 아래로 보이는 중간 언덕 목좋은 곳에 자리잡은
단정하던 전원의 모습은 어디를 봐도 없었다.
재작년부터 전립선암치료를 받으시며 작년까지는 그래도 여름철에 이곳에 지내시더니
올 봄에는 눈수술까지 받고 집에서 요양중이라 한번도 못 나온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날이 올 것을 미리 알았던 것일까?
그해에 땅문서를 자식들이름으로 옮기며
" 이제는 너네들이 가꾸어라. 나는 그저 잠시 쉬러 올 것이니라" 하셨었다.
자식들이 풀을 베고 담장나무를 베는 소리가 온동네로 울려 나간다.
나는 바닥에 떨어져있는 가지와 잎들을 소쿠리에 담아 비료장으로 나른다.
어느 만큼 지나자 나무그늘에 앉아 잡초들을 뜯기 시작했다.
이분은 화단주위에 항상 동글 동글한 돌로 장식을 했었는데
잡초가 무성하여 돌들이 묻혀 잘 보이지가 않는다.
돌이 나올때까지 잡초를 뽑아내는 동안 저절로 그 분의 손길을 느낀다.
( 그분이 가꾸시던 정원의 단정한 모습들)
이 곳에 처음 왔었을 때 그분이 설명하던 것이 떠오른다.
결혼하기전 부터 이곳 작은터를 사기 시작하고
결혼하고서는 퇴직후 전원 주택을 지을 작정으로 옆의 택지가 나올 때마다 사들였다.
그러나 퇴직 하기 10년전에 부인이 병으로 죽고 자식들은 장성하여 모두 비인으로 이주를 하니
이곳에 전원주택 지을 필요가 없어졌다.
그리하여 자그마한 목재 오두막을 짓고 봄부터 가을까지 며칠씩 이곳에 나와
전원가꾸는 것에 취미를 가지고 지냈다.
이 싯점에 친구들 따라 여기를 첨으로 찾아 오면서
두 자식을 부인 몫까지 대신하여 키우며 재혼도 안하고
여가시간에 온 정성을 드리는 전원을 돌아보며
보기드문 분이시구나 ... 존경하게 되었었다.
사람이 늙는다는 것은 기정사실이라지만
건강에 무리가 오면 이렇게 여지 없이 무너지는 것이구나.
50여년 사랑으로 가꾸던 전원이 반년도 못되어 허물어 질 수도 있구나.
첫째가 한달전 나와서 풀을 베고 갔었다는 데도
그 동안 또 이렇게 무성하게 자라나 있는 것이라니...
저절로 이 곳으로 부터 30분 거리에 자리 잡은 우리 전원이 떠 오르며
나도 건강이 허물어 지면 어쩔 수 없게 되리니 장래를 생각하여 신중해야 할 것을 각오하게 된다.
before &
after
"아! 테두리 돌들이 보인다."친구들에게 소리친다.
그들이 가까히 닥아와 내가 뽑아 논 잡초더미를 보더니,
" ㅎㅎ 우리들보다 네가 더 열심이네? 그리 좋니?"
" 그럼..다음주가 아버지날인데 그전에 모두 전처럼 가꾸면 좋잖아."
" 좋지.. 근데 나는 베를린 출장이 있는데..." 첫째가 난감해 한다.
" 내가 또 오지 . 너도 올 거지?" 둘째가 나에게 묻는다.
" 그럼... 사실 아버님을 찾아 뵙고 싶었는데..."
어느새 석양빛에 전원이 곱게 물든다.
모두들 작업복을 벗고 돌아갈 채비를 하느라 분주하다.
곳곳 정원기구 사물함의 자물쇠가 많아 열쇠꾸러미가 제법 크다.
첫째가 둘째에게 열쇠꾸러미를 넘기며 곳곳의 짝을 설명해 준다.
아버님이 첫째에게도 저리 넘겨주었겠지.
떠나 오기 전에 새로 단장된 담장에 서서
마음속 그 분에게 " 또 올께요" 인사드린다.
2015년 6월 6일 피스팅에서
- Piesting IMG_8962.jpg (106.5KB)(31)
- Piesting IMG_8963.jpg (110.8KB)(23)
- August 1.JPG (127.1KB)(32)
- August 2.JPG (126.1KB)(20)
- August 5.JPG (105.7KB)(29)
- August 7.JPG (83.1KB)(32)
- Piesting IMG_8972.jpg (127.8KB)(42)
- Piesting kl IMG_8981.jpg (53.2KB)(36)
- Piesting IMG_8968.jpg (98.9KB)(28)
- Piesting IMG_8975.jpg (111.5KB)(32)
같은 날을 영어와 독일어로 표현한 것이군요.
여기도 '파터탁' 이 이번 닥아오는 주일 이에요.
저도 친정아버지가 많이 그립네요.
현숙후배도 아버지사랑 많이 받으며 자랐나봐요.
사랑은 받아 본 사람이 줄 줄도 안다고 하지요...
저의 어머니가 일찍 돌아 가신후
홀아버지께서 어머니대신 저의 산간호도 사람두어 돌보아 주시고
제대로 살림하는 것도 가르쳐 주시며
우리 형제들을 돌보아 주셨었어요.
특히 맏딸인 저를 많이 의지하셨었는데
제가 비인으로 온다음 13년동안은 고국방문때나 만날 수 있었지요.
이제 도리켜 생각하면 아버지께 그 점이 많이 미안해요.
떨어져 지내며 자식 도리를 제대로 못한것이 ...
이제 돌아가신지 13년이 되었는데
요즘 자주 아버지의 모습이 떠 오르는 거에요.
아내를 먼저 보내고 20년 동안 당뇨로 고생하시며 내면으로 얼마나 외로우셨을까 싶고요.
우리자식들이 어찌 아내의 자리와 대등하였겠어요.
제가 이리 나이가 들어가니 아버지의 마음을 헤아리게 되네요
외국에서 지내는 딸과 외손녀에게 용기와 사랑의 글로 보내주셨던
누렇게 변해버린 편지를 펴 보며 아버지의 숨결을 느낍니다.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저의 모녀를 딸과 손녀딸처럼 아껴주시는
이 곳 친구의 아버님께 정성으로 해드리고 싶은가 보아요.
이렇게 누군가와 마음을 주고 받을 수있는 대상을 만나는 것도 다행이지요.
현숙후배와 두런 두런 얘기를 하다보니
아버지께서 옆에 빙그레 웃고 서 계신듯...
오늘은 이만 안녕할께요.
아버지날 지난 그 다음 주에 어르신께서 오시겠다는 연락을 받고
그 분이 오시기 전에 미리 정리하려고 찾았던 날,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가운데 오두막 청소를 하였다.
곳곳에 거미줄이 그동안의 적조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청소를 마치니 비도 멈추고 그 분이 오셔서도
그 동안의 어지러움에 놀라지 않고 지낼 수 있슴에 가벼운 마음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리고 다음 주가 되자,
오신김에 나의 생일을 축하해 주시겠다는 어르신말씀에
불고기를 재워가 생일식사를 겸해 딸애와 더불어 구워 먹는데,
젓가락질을 딸애에게 배우며 맛있게 드시는 모습에 흐뭇했다.
딸애는 보리수 나무 아래 자리한 오두막에 붙혀진 할아버지 문패를 보더니
' 호? 여기 오두막에도 문패가 ? ㅎㅎㅎ'
할아버지의 자세한 설명에 귀를 기우리는 모습을 보며 친정아버지가 그리웁다.
캐나다는 다음 주 화더스 데이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사진 카드 만드려고 준비해봅니다
아버지---라는 이름이 새롭게 다가오는 요즈음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