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산까지 와준 친구들 모두 고마워.


지난 주에 일이 겹쳐서 잘 만날 수 있을까 걱정했는데.


철쭉이 생각보다 많이 져서 절정을 보여주지 못한 게 아쉬웠지만 ,


대전에서 올라온 승숙이와 또 여기저기서 기꺼이 와준 친구들까지


그동안 외로움과 우울의 빛깔로 칠해져 있던 '다시, 카라의 찻집'이


그 밝은 웃음 소리에 환해지는 느낌이었어.


친구들을 떠올리고 돌아가기를 얼마나 잘했는지.


산본역에서 헤어지고 집에 오니 몰려오는 피곤에 눈이 내려갔지만


은혜 어머님이 떠주신 덧버선, 옥규가 준 초와 부엉이, 승숙이가 준 포도주,


더 좋은 글 쓰라고 영숙이가 준 만년필과 선희가 준 차와


와준 친구들이 한마음으로 만들어서 안겨준 꽃다발이 나를 일으켜 세웠지.


유명 작가가 아니더라도 끝까지 글 써서


같이 겪어내야 하는 아픔들을 다독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하는


가장 순수한 의지를 되살려 주고 간 친구들,


참 멋진 인일 12기 여인들이 얼마나 고맙고 소중하게 여겨지는지  눈물이 핑 돌았어.


그리고 옥규야.


'다시, 카라의 찻집'을 그 짧은 시간에 어찌 그리 많이 담았니.


냉장고는 너무 했고, 누가 보면 꽤 그럴 듯한 공간인 줄 알겠어.


어머니 친구들은 잘 다녀가셨어요 하고 묻는 아들은 내심 좋아하는 눈치던걸.


누구도 집에 들이지 않는 어미가 여고 친구들에게 문 연것만으로도


몹시 놀라워했었거든, 한편으로는 기쁘다고도 했고.


시간되시면 자기가 머무는 왜관 수도원 성물방도 보여드리고 싶다는 말까지


건네는 걸 보면서 나는 나대로 흐뭇했지.


이제는 체칠리아와 다니엘이 알베르또를 그렇게 보낸 슬픔 위에


 잘 자라는 일상의 나무, 평상심의 나무를 심었구나 하는 안도감 때문이었어.


여기까지 쓰고, 옥규 말마따나 빗소리 들으며 나는 또 잘게.


산림욕장과 찻집에서의 친구들 웃음 소리가  따라와 자면서도 웃을거야, 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