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실   ;    수봉 도서관 지하1층,  8월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교재배부

 

"'사람이 이렇게 살면 안 되지'라고 듣는 기회를 단 한 번도 갖지 않는 것과 1주일에 한 번, 한 두시간만이

라도 듣는 것과는 차이가 크죠. 사람들 교회 다니잖아요. 교회 가는 날 하루라도 죄를 짓지 않는다면 그 자체로 의미가 있을 수 있는 거예요. 이런 시간을 더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면 좋은 거죠. 자꾸 그런 생각을 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많아지는 거니까요." - 이우재 '고전을 공부하는 공간, 溫故齋(온고재)' 공동대표

'사람에 대한 학문'을 배우는 인문학이 인천에서도 '날개짓'을 시작하고 있다.

자기를 되돌아보고 우리 동네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사회를 바꿀 수 있는 '나비의 펄럭거림'이 인천지역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아직은 작지만 큰 움직임을 만들어낼 인천의 인문학은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고 있을까?

고전을 공부하는 공간, 溫故齋(온고재)

지난 2009년 9월 개원한 온고재는 인천에서 유일하게 민간이 운영하는 인문학 강좌다.

이곳은 논어나 금강경 등 주로 고전을 함께 읽고 배우는 공간이지만, 성서와 러시아혁명사를 비롯해 자본론 등 다양한 강좌를 병행하고 있다. 또 인천사와 인천문화사-강화와 관련된 역사 유적 탐사, 인문 기행, 중국기행 등 체험활동도 함께해 수강생들의 흥미를 더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딱딱한 내용보다 훨씬 명쾌하게 온고재를 설명하는 말이 있었다.

정한식 목사와 함께 온고재를 운영하는 이우재 선생은 기자와의 첫 대면에서 "우린 여기서 책보고 술먹고 노는데 뭘 건질 게 있다고 왔느냐"라고 말한다.

함께 중국어 원서로 된 책을 읽고 그 뜻에 대해 공부하고, 열 번 강좌 중 8~9번은 뒷풀이가 있으니 딱 들어맞는 말이리라. 더 이상 사족이 필요없는 명쾌한 설명이다.

온고재의 주 강좌인 동양고전에 대해 이우재 선생은 다음과 같이 얘기한다.

1286500698-43.jpg

이우재 선생

"동양고전은 우리 대한제국이 멸망하기 전까지 한반도를 지배했던, 소위 운명의 이데올로기 아닙니까? 옛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갖고 그런 일들을 했을까. '왜 옛날에 우리 선조들은 그렇게 살아서 왜놈한테 먹혔을까' 이런 생각도 할 수 있죠. 거슬러 올라가면 다 연관된 거예요. 성리학이 뭘까. 우리에게 철학적 차원에서는 훌륭한데, 소위 형이하학이라고 할까. 물질세계를 등한시할 수 있다는(우려가 있죠)…. 결국은 그 바람에 동아시아 전체가 일본을 빼놓고 침략을 당한거죠."

동양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선조들의 생각을 살펴봄과 동시에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큰 도움을 주지만, 일반 시민들이 다가가기에는 아직 부족한 감이 있다.

이우재 선생은 "평소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공자왈, 맹자왈, 예수님 가라사대' 이렇게 하다 보면 지극히 타당한 말씀이라고 여긴다"면서 "누구나 다 아는 '살인하지 말라' 등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지극히 타당한 말인 것 같아도 나름 논리구조나, 왜 그런 주장을 하는지 근거가 있다"라고 말한다.

그는 "그 사람들의 체계가 있고, 이렇게 연관해서 읽으면 재밌게 느껴질 수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게 읽기 힘들다"라며 "강의라고 하면 '왜 이런 말을 공자가 하는가', '공자에게서 효라는 것은 무슨 의미를 갖는가', '왜 공자가 효를 강조하는가' 등 배경 설명을 하기 때문에 일관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책에만 쓰인 내용만으로는 "단편적으로 다 좋은 얘기만 한다"라고 생각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재미가 없어진다는 말이다. 예수님과 부처님, 공자님 말씀이 큰 틀 안에서는 같아도 각론에서는 다르다는 것이다.

앞서 온고재의 시작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기는 했지만, 그만이 전부는 아닐 터이다. 이들이 '고전을 공부하는 공간'을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

1286500727-3.jpg
- 정 목사나 나나 옛날에 민주화 운동을 같이 했던 경험이 있어요. 지금 시대 전체가 운동의 위기라고 생각했죠. 1960~70년대까지만 해도 마르크스주의적 제안 같은 것들이 모색되곤 했는데, 동구권 몰락 이후에 대안적 기능을 상실해 버렸죠.

역사가 다시 돌아가지는 않으니까. "지금 다시 마르크스를 읽자"고 그래도 복귀는 안 됩니다. 역사를 공부해 봐서 아는데, 똑같은 반복은 일어나지 않거든요.

그런데 신자유주의 폐해는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어요. 그러면 사람이 어떻게 가야 하나 생각할 때 우리 생각에 해답은 고전에 있다. 해답은 고전에 있다.(반복)

인간이 무리를 지어서 사회를 이루고 산 이래 공자님이나 소크라테스, 부처님 얘기나 지금 보면 물질적 환경이 다를 뿐이지 내면적 본질에 관한 것들은 변하지 않았어요.

다시 고전으로 돌아가는 운동을 해야 한다. 고전을 찾자.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미래를 다시 조망할 수밖에 없다. 고전읽기 운동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처음 '쭈빗쭈빗' 한 것에는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컸어요. 우리가 온고재를 열어서 과연 독자적으로 유지할 수 있겠는가. 하여튼 1년은 어떻게 끌어왔는데, 해봐야죠.

고전 중에 이우재 선생이 생각하는 '우리 시대에 가장 어울리는 말'은 무엇일까?

- 어느 시대나 똑같은 말일 것 같은데. 공자식으로 얘기하면 '인(仁)'이고, 예수 식으로 얘기하면 '사랑'이고. 똑같이 사람을 사랑하란 얘긴데. '자본주의'나 '신자유주의' 이런 것들이 모든 사람을 '만인 대 만인을 투쟁의 상대'로 보니까요. 적대적으로.

경쟁이죠. 경쟁이 있어야 한다는 건 부정하진 않아요. 경쟁이 없어지면 나태해지고 느려지는 건 있는데, 사람이 문명을 이루고 살 수 있었던 것은 '경쟁'이 아닌 '사랑'이 있었기 때문이예요. 모두 같이 했기 때문이죠.

사람이 피곤하게 만인을 적으로 규정하고 살고 있다. 그게 무슨 대단한 철학인 것처럼 떠들고. 불안해서 어떻게 살아요. 밤 중에 길거리도 못 다니지.

사람이 사람을 믿고 사랑을 해야죠. 그런 말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것 같아요. 되레 요즘이 더 각박하고. 돈이 신이 돼버렸으니까요.

이왕 말하는 김에 '온고재'를 홍보하는 시간도 마련했다.

- 고전은 혼자 공부하기 힘들어요. 재미도 없고. 부담 갖지 말고 오세요. 고전을 혼자 하려면 진도도 잘 안 나가고, 한 두 달 지나면 다시 구석에 쳐박아서 먼지만 쌓여요. 나도 예전에 그랬으니까요. 혼자 읽기 힘드니까 같이 읽어요.

온고재 홈페이지: http://cafe.daum.net/ongo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