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를  걷다
아스팔트  사이에  핀  노오란  민들레꽃을  보면
척박한  땅에서도  뿌리를  내리고  바람을  기다려  씨앗을  날려 보내는  모습이 

꼭  우리  아버지를    닮았다는  생각을  한다.


벌써  6년을 

아버지는  누워  계신다.
파킨스  병으로  운동장애를  겪고  있는  아버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동을  해야  한다는  의사의  조언도  싫은지  바깥출입을  끊으셨다.
학창시절  김구  선생님을  따라  다니며  평생을  바람처럼  살았던  분인데 정말로  기가  막히다.

 

어느  날  집에  가면 
아버지는  눈도  뜨지  못하고  누워  계신다.
엄마에게  물어보면  요즈음  식사도  잘  드시지도  않고  기력이  엉망이란다.
겁이  덜컥난다.
그래도  손녀딸들이  와서  "할아버지"  하고  부르면
눈을  뜨고  웃으며  "우리  병아리들..."  하신다.
그러면  아이들은  "삐약  삐약   "  하며  할아버지에게  다가가  빰에  얼굴을  부빈다.
내  동생은  이런  장면을  볼  때마다  심술이  나는지 

"아버지는  우리는  싫은가  봐"  한다.

 

우리  어릴  적
배우  김진규와  비슷해  잘  생기고  멋장이인  아버지는  무척  엄하셨다.

물론  딸만  내리  일곱을  두셨으니  행여  잘못  될까  얼마나  노심초사  하셨을까?

우리는  그  때  9시가  통행금지  이었으니  더  이상  무슨  말을  할까?
언젠가  아버지께서  입원  중  병문안을  온  내  친구들은 우리   아버지를  보고  깜짝  놀라며
"산학아!  너는  왜  아버지를  닮지  않았니?  아버지를  닮았으면  대단했을텐데.."  라고  할  정도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직업때문일까  아버지와  눈을 마주치면  눈에서  불이  번쩍나  감히  아버지  눈을 쳐다 보지도  못했다.
그런 우리  아 버지가  병때문에  세상과  인연을  끊으신  것이다.


세상을  잃은  대신
아버지의  세상은  우리  가족이  전부가  되었다.
좀  기력을  찾으시면  아버지는  우리에게  일일이  잔소리를  하신다.
아버지의  잔소리를  들으면  이제는  왠지  안심이  되고  옛날  큰소리  치던  때가  그리워  기분이  좋아진다.
이번  주말에도  아버지의  잔소리를  들은  동생은  입술이  부어터져라  불만을  쏟아낸다.
"아버지는  나만  미워해"

 

같은  피를  물려받은  형제도  다  제  각각이다.
우리  막내  여동생은  아버지에게  얼마나  살갑게  하는지.....
주말이면  집에  와서는  아버지의  손톱  발톱  다  다듬어  드리고
뜨거운  물수건으로  정성껏  맛사지까지  해  드린다.
또  셋째는  아버지  병수발로  지친  엄마를  모시고  일본등으로  온천여행을 한다.
그리고  한달에  한번  정도  엄마와  엄마  친구들까지  모시고 가  맛있는  음식을  대접  하기도 한다.
그런데  맏이인  나는  그런  것을  해  본  적도  없고
심지어  아버지의  손을  괜히  쑥스럽다는  이유로  잡아  드린  적도  없으니 이런  불효가  어디  있을까?

 

지금은  대포동  미사일로  알려진 
함경북도  그  언저리  명천이  고향인  우리  아버지는 
백두산  자락에  집이  있어
중학교  때부터  서울에서  공부를  하던  중  방학이면  고향에  가서  말을  타고  놀았다고  하신다.
제사가  있는  날이면  집주위의  산을  다  막아놓고  다른  사람의  범접을  막고  제사를  올렸다고  가끔  고향  이야기를  들려주신다.
전쟁이  터지고  부모형제와  생이별을  하셨으니
평생  가슴  한켠에  아픔을  쌓아두고 사셨음을  모르는  자식이  있을까?
그동안  받은  국민훈장등  메달을  장농  속에  쌓아두고
아버지는  어떤  생각에  싸여  누워만  계신  것일까?

 

그런  우리  아버지는
자식이  크게  잘못  한  일도  그  자식이  자기  아이들만  잘  키우면  무조건   "잘했다"  하신다.
얼마  전에  조카아이가  26살 이라는  앳된  나이에  당당히  국제기구에  들어갔을 때
"장한  우리  손녀딸..."이라며  말을  맺지  못  하셨다.
만약에  당신의  딸  중  한명이라도  그런  자리에  들어  갔으면  정말  효도를  했을텐데.....

 

내일이면
다시  어버이  날이다.
나이가  들수록  회한이  앞서는  것은  내가  바로  그  길을  따라가기  때문일까?
언제나  아프다고
언제나  힘들다고
친정에  가서  철없이  쏟아내던  그  많은  말들이  恨으로  남는다.
내  아이들이  속을  썩일  때마다
"그래  내가  부모에게  못  했는데  무엇을  바랄까"  라며  반성도  한다

 

몸이  약하다고

맏이  라면  벌벌  떨던  우리  아버지.....

고맙습니다.

사랑합 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