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끔 술을 마시지만 막걸리를 즐겨하진 않는다.
막걸리는 마시면 너무 배가 불러서 숨이 차고,
이 막걸리가 순한 듯 입에 들어갈 땐 쉽게 들어가는데,
이게 언제 취했는지 모르는 무서운 술이라는 걸 몇 번 경험하고 나서부터는
잘 안 마시게 되었다.ㅎㅎ
사람마다 약한 술이 있다는 걸 안 건 나중 일이다.
난 막걸리, 맥주에 약하다!
뭘 즐기냐고? 뭘 그런 것까지 아시려고.....
아침에 제고인 한 분이 자유게시판에 사진과 함께 올린 막걸리 이야기를 읽으니
문득 입에 침이 고이면서 갑자기 옛날 생각이 났다.
대학 때 친구들과 함께 하는 써클이 있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함께 서클 활동을 해 온 친구들이었고
고등학교 이후에도 계속 만나다 보니 어떤 때는 가족보다 더 가깝게 느껴지기도 했다.
말이 써클이지 뭐 노느라도 바빴고, 착하기는 한데 암튼 뭔가 복잡한 애들만 모인
재밌는 모임이었다.
하긴, 그 시절 문제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냐마는
암튼 큰 돌덩어리 하나씩 등에다 지고는
내가 세상에서 젤 힘들고 젤 괴롭다는 생각을 하며
우중충하게 오만상을 찌푸리면서
우리는 참 잘도 만났다.
인생아 너 뭐냐?
이런 화두를 끌어안고 치열하게 고민하던 시절의 아이들.
모임을 하는 둥 마는 둥 끝내고 나면 항상 가는 술집이 화평동에 있는 광신주점이었다.
모양만 감자탕인 아주 싼 음식을 내는 허름한 술집이었는데
친구들은 거기가 편했는지 암튼 거의 매일이다시피 거기를 갔다.
돈들도 없을 때라 한 번 시키고나서는 매번 아줌마 국물 좀 더 줘요 소리가 바빴다.
믿기지 않겠지만 그때 나는 술을 마시지 않았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술이란 게 정~말 궁금해서 나 혼자 드라이진 한 병을 사서 학교 등나무 덩쿨 아래에서
마시고 땅이 푹푹 꺼지고 하늘이 도는 상태에서 어찌어찌 걸어 학교 근처 하숙하는
친구집에 가서 자고 그 다음 날 죽을 고생을 한 그 다음부터 살살 마시게 되었던 것 같다.
그때 우리는 주로 신포동에 있는 성지다방에서 만났는데, 거기는 들어서자마자
강렬한 음향이 마치 폭포가 쏟아지는 듯 하던 곳이었다.
우리는 늘 Epitaph를 듣고, The saddest thing을 듣고 송창식 노래 듣고 했는데.....
그런데 자리를 옮겨 그 떠꺼머리 친구들이 광신주점에서 부르는 노래는
항상 흘러간 옛노래들이었다.
뭔 스무 살짜리들이 그렇게 흘러간 옛노래를 했는지 지금 생각해도 우습다.
-단장의 미아리 고개-
이 노래가 항상 마지막 노래였다고 기억한다.
한 아이가 그 노래를 시작하면 나머지 친구들이 전부 젓가락으로 드럼통 위 양은 판을
두드리고
-철삿줄로 두 손 꽁꽁~-부터는 언제나 합창이 되곤 했다.
서로의 고통으로 서로에게 힘이 되었던 그 시절.....
젊고 어렸던 그때 우리 모습이 그립다.
그런데 참 이상한 일이다.
지금 그때의 우리들의 모습을 생각하면 마치 나의 아이와 아이의 친구들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고뇌로 가득 차 깊은 눈빛을 했으나 솜털이 보송보송했던 아이들.
그 시절의 <우리들>의 모습이 안아 주고 싶은 안쓰러운 자식처럼 느껴지는
이 느낌,
이거 뭘까?
오늘 회식이 있는데 막걸리나 한 잔 마셔 볼까나...
한 잔만!
?
우리 어린 시절엔 어른들이 막걸리를 밥처럼 드셨어.
고된 육체 노동 뒤에 내리는 소박한 포상이랄까.
암튼 모든 일을 몸을 써서 해야했던 그 시절에 갈증과 허기를 동시에 잡기 위해 마셨을 거야.
지금처럼 막걸리를 병에 담아 마트에서 팔지 않았지.
술도가에 주전자 들고 가서 받아다 먹곤 했어.
큰 독을 휘휘 저어서 큰 국자로 푹 떠서 노란 양은 주전자에 담아 주었지.
내 기억엔 그래.
어린 아이들 손에 주전자 들려서 술시부름을 보내는게 예사였지.
아이들은 오는 길에 무거워서 한 모금 홀짝 ~
심부름 하기 싫은 걸 억누르고 온 마음 달래느라 또 홀짝 ~
마시다 보면 알딸딸해져서 뭔 맛인지도 모르고 또 홀짝 ~
어찌보면 막걸리는 술이 아니야.
허기진 속을 채우는 음식이지.
농부들에겐 떼어놓을 수 없는 에너지원이라 농주라고도 했지.
요즘은 일본 사람들이 막걸리 맛에 반해 술 마시러 우리나라에 오기도 하더라.
실제로 내 학생들 중에 막걸리 매니아도 많았어.
암튼...
언제 따끈한 해물 파전에 막걸리 한 잔 마셔보자.
?제가 어느 날 술심부름하다가 한모금씩 홀짝이 과했는지 닭장앞에 쓰러져 잠이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어른들이 뭐라고 한 마디씩 하셨던 거 같아요 따뜻하고 햇빛이 잘드는 닭장이었던 기억으로는 요런 초봄이었던 거 같아요 ㅎㅎ
우리는 거의 모두 엄마의 심부름 주전자에서 입문을 했지요.
기본기는 확실히 다졌다고 할까요?^^
수주 변영로의 <명정 40년>이라는 책을 보면
진짜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 장면이 많더라고요.
나중에 시간 나면 올려 볼게요.
얼굴도 못 보았지만 만난 느낌.
우리 홈피에 그런 분 많아요.^^
언니! 제가 여기까지 왔어요. 비 오는 토요일에.
아무려면 아침부터 술에 취해 남의 집을 내집인줄 알고 왔겠어요?
막걸리 익는 냄새에 끌렸다든가, 젓가락 장단에 귀가 솔깃했다면 몰라도.
저도 어렸을 때 주전자를 들고 막걸리 심부름을 한 적이 종종 있습니다.
아버지가 좀체로 집에서 술을 안드셨으니 마시려는 건 아니고 빵 부풀리는데 썼을거예요.
애 다섯이 다 놀고 있어도
엄마는 언제나 나를 불러 시킵니다.
큰것들은 크다고 안시키고, 잔챙이들은 오다가 엎지를까봐 못 시키고 그저 만만한게 셋째.
제가 2006. 1. 16 우리 14기 게시판에 올렸던 글을 끌어 왔습니다.
추억의 넌픽션 겨울방학편
여긴 지난 화요일 (10일) 모두 개학했지만 한국엔 방학이 한창 무르익어 가겠네.
뭐는 안그러랴마는 방학도 우리가 자랄 때 하고는 엄청 다르다. 그지?
어렸을때 겨울방학이면 우리 엄마가 삶은 팥이나 흙설탕을 넣고 찐빵을 만들어 주셨다.
막걸리를 10원 어치쯤 사다가 소다를 넣고 반죽을 하여 한나절쯤 아랫목에 묻어두면
덮어놓은 쟁반이 들썩일 정도로 잘 부푼다.
술을 사오는 심부름은 주로 셋째인 내가 했는데 오면서 주전자 아구리에 그중 긴 손가락을 찔러 몇번 찍어 먹곤 했다.
한소쿠리 쪄놓아도 매일 서너 시쯤 하나씩만 주셔서
난 언제나 하나 더 먹고 싶은걸 참았다.
우리 엄만 많이 먹으면 저녁밥이 맛 없다고 해서 그런가 보다 했어.
하나씩만 해도 다섯개, 둘씩이면 열개.
드는 돈과 품이 만만하지 않아 밥맛 핑게로 둘러대셨다는걸 커서야 알았다.
그래도 방학내내 빵 반죽통이 아랫목에 묻혀져 있었다.
오롱이 조롱이 다섯아이.
새로 사준 고리땡 바지의 무릎이 한겨울을 배겨나지 못하게 사부작거리며 크는 애들이니
세끼 밥만 기다리라고 할 수는 없었겠지.
일일이 돈주고 주전부리를 사댈 형편이야 못 되었을테고.
우리가 장난치다가 반죽통을 덮은 쟁반이 열리는 바람에 반죽이 아랫목에 깔아두는 처네이불에
들러붙어서 현장인원 모두 총채자루로 매타작을 당한 적도 있었다'.
내가 결혼해서 책을 보고 추억의 그 찐빵을 만들어 봤는데 잘 안부풀어서 개떡이 되어 버렸어.
막걸리를 안넣고 이스트을 넣어서 그런지.
요즘 아이들이 들으면 무신 고릿적 얘긴가 하겠지? 불과 사십년 뿐이 안된 얘긴데 말이야.
모든 게 풍족하고 쉽게 얻어지는 세상이니 찐빵 하나의 감질났던 그 맛을 알리가 있나.
행복한 세상이라고 해야 할지 그래도 뭔지 아쉬운 감이 있는 세상인지~
요즘 크는 애들은 나중에 무엇을 추억하며 살까?
그 애들도 나름대로 무궁무진하겠지.
뭣이든 흔한 세상이니 추억인들 안 흔하겠어?
인적 뜸한 우리방에 새해인사겸 추억의 넌픽션 한편을 현해탄 너머로 실어 보내네
어여쁜 아우님 오셨는가?
집 둘레에 수선화는 또 어여쁘게 피어나고 있는감?
아침에 일어나면 창문을 열고 고개를 쏙 내밀어
창밖 작은 밭의 고개를 쏙 내민 수선화를 본다네.
오늘 아침처럼.
며칠 전에 아는 분이 거제도를 다녀 와서는 사진을 올려 놓아서
한참 들여다 보았네.
어디 쯤에 찬정씨네 집이 있을꼬 하면서....
도다리 한 마리 잡고 포시라운 쑥 한 줌 캐어
도다리 쑥국 한 그릇 해 잡수소.
이 한 봄 또 농사 지으려면^^ 힘 내야지 않겠소.
파일 만들어 글 모아 놓으소.
통째로 보고 싶으니.
어제 진달래 개나리 매화 활짝 핀 엄마 산소에 가서 시끌법적 놀다 오니
곤하기는 하나 일년 일 다 한 듯한 마음이 들고
허적하기도 하고 그러네.
잘 지내소.
선배님을 가르친 술은 진토닉이었군요 ㅎㅎ
엄마 젖 같이 생긴 막걸리는
저 위에 있는
찌그러진 양은 주전자에 담아서 찌그러진 잔에 마셔야
더 맛있죠 ㅎㅎ
선배님 막걸리 읽다 보니까
저는 신포동에서
시뻘건 낙지볶음과 그때 처음으로 세상에 나온 쌀막걸리 먹은 기억이 납니다.
먹걸리!!!!
생각나는 거 많은 술이죠~~~